고위기 청소년 맞춤 지원 사업 본격 추진

  • 사람들
  • 뉴스

고위기 청소년 맞춤 지원 사업 본격 추진

대전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
고위기 청소년 집중 심리클리닉 및 고위기 청소년 종합심리평가 진행

  • 승인 2023-08-24 00:56
  • 한성일 기자한성일 기자
image01
대전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의 고위기 청소년 맞춤 지원 사업 포스터


대전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센터장 장래숙)는 오는 9월부터 2023년 여성가족부의 고위기 청소년 맞춤형 지원 강화 사업의 일환으로 청소년 자살, 자해 위험성을 완화하기 위해 고위기 청소년에 특화된 심리,정서 지원을 추진하는 '고위기 청소년 맞춤 지원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할 예정이다.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2011년부터 2021년까지 11년째 청소년의 사망원인 1위는 고의적 자해(자살)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건복지부 2022 자살예방백서에 따르면 11~20세의 자살 동기는 정신과적 문제(57.8%), 가정 문제(11.5%)로 나타나 해당 어려움이 다른 연령 대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자살, 자해 위험성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청소년의 특성과 어려움을 고려한 심리,정서적 개입이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대전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는 고위기 청소년에 특화된 개입을 위해 고위기 청소년 맞춤 지원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센터는 첫 번째로 고위기 청소년 집중 심리클리닉을 운영하기로 했다. 고위기 청소년 집중 심리클리닉에서는 표준화된 심리검사를 통해 청소년의 자살,자해 위험 수준을 사전,사후로 파악하고 전문 상담을 비롯한 심리상태 평가와 부모 교육, 기관 연계 등을 지원하고 있다.

두 번째, 임상심리사의 종합심리평가를 실시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청소년상담복지센터 내에서 청소년을 통합지원 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고 있다. 종합심리평가를 제공받을 수 있는 대상은 대전 지역 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서 자살,자해를 비롯한 가정 폭력, 학교폭력, 인터넷 중독 등 고위기 사례로 상담받고 있는 청소년 중 복합적인 증상과 원인이 의심되는 경우이다.

장래숙 센터장은 "청소년 자살,자해가 증가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청소년이 위기 상황을 잘 극복하고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지원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청소년상담복지센터는 청소년들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 심리상담, 교육, 복지지원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청소년상담전문기관으로, 24시간 청소년전화 1388을 운영하고 있고, 센터 홈페이지(www.dj1388.or.kr)를 통해서도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한성일 기자 hansung00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서울공항 인근 도심 상공 전투기 곡예비행... 안전불감증 도마
  2. 옛 파출소·지구대 빈건물 수년씩… 대전 한복판 중부경찰서도 방치되나
  3. <속보>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 별세
  4. AI 시대 모두가 행복한 대전교육 위해선? 맹수석 교수 이끄는 미래교육혁신포럼 성료
  5. [기고] 전화로 모텔 투숙을 강요하면 100% 보이스피싱!
  1. 충남도 "해양생태공원·수소도시로 태안 발전 견인"
  2. ['충'분히 '남'다른 충남 직업계고] 논산여자상업고 글로벌 인재 육성 비결… '학과 특성화·맞춤형 실무교육'
  3. 충남교육청 "장애학생 취업 지원 강화"… 취업지원관 대상 연수
  4. 태안국제원예치유박람회 조직위, 준비상황보고회 개최
  5. "도민 안전·AI 경쟁력 높인다"… 충남도, 조직개편 추진

헤드라인 뉴스


납세자 늘어도 세무서 3곳뿐… 대전시 세정 인프라 태부족

납세자 늘어도 세무서 3곳뿐… 대전시 세정 인프라 태부족

대전의 경제 규모가 커지면서 납세자가 급증하고 있지만, 세무서가 3곳에 불과해 세무서 신설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조승래 의원(대전 유성구갑)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대전시의 2024년도 주요 세목별 신고인원은 2019년 대비 부가가치세 17.9%, 종합소득세 51.9%, 법인세는 33.9% 증가했다. 또 대전의 2023년도 지역내총생산(GRDP)은 54조원으로, 전년 대비 3.6% 성장해 전국 17대 시·도 중 두 번째로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납세 인원 역시 2019..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가치 재확인… 개방 확대는 숙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가치 재확인… 개방 확대는 숙제

조선시대 순성놀이 콘셉트로 대국민 개방을 염두에 두고 설계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3.6km)'. 2016년 세계에서 가장 큰 옥상정원으로 기네스북에 오른 가치는 시간이 갈수록 주·야간 개방 확대로 올라가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의 주·야간 개방 확대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주간 개방은 '국가 1급 보안 시설 vs 시민 중심의 적극 행정' 가치 충돌을 거쳐 2019년 하반기부터 서서히 확대되는 양상이다. 그럼에도 제한적 개방의 한계는 분명하다. 평일과 주말 기준 6동~2동까지 매일 오전 10시, 오후 1시 30분, 오후..

전국 대학 실험실 발생 사고 매년 200건 이상…4월 사고 집중 경향
전국 대학 실험실 발생 사고 매년 200건 이상…4월 사고 집중 경향

최근 3년간 대학 내 실험실에서 발생한 사고로 매년 200명 이상이 부상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문정복 의원(더불어민주당, 경기 시흥갑)이 한국교육시설안전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부터 2025년 8월까지 최근 3년간 전국 대학 연구실 사고로 총 607명의 부상자와 1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같은 기간, 대학 내 실험실 사고로 지급된 공제급여는 총 8억 5285만 원에 달한다. 특히 4월에 매년 사고가 집중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2023년 4월에 33명, 2024년 4월에 32명, 2..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 나에게 맞는 진로는? 나에게 맞는 진로는?

  •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