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단만필] 새로운 시작, 우리는 안녕

  • 오피니언
  • 교단만필

[교단만필] 새로운 시작, 우리는 안녕

이윤희 공주교동초 교사

  • 승인 2025-03-28 11:34
  • 신문게재 2025-03-28 18면
  • 오현민 기자오현민 기자
20250327_공주교동초 교사 이윤희
이윤희 공주교동초 교사
새로운 학기가 시작됐다. 올해는 조금 더 특별한 출발이다. 지난 5년간 근무했던 학교를 떠나 새로운 학교로 오게 됐기 때문이다. 낯선 복도, 아직 어색한 교무실, 처음 마주하는 동료 교사들과 아이들. 출근 첫날, 교문을 들어서며 느낀 긴장감은 마치 처음 교단에 섰던 날과도 같았다. 하지만 그 낯선 느낌도 잠시, 아이들의 반짝이는 눈빛과 해맑은 미소가 나를 맞아줬다. "안녕하세요." 건네는 아이들의 따뜻한 인사가 내 마음을 차분하게 만들어 준다.

그러나 사실, 새학기 첫날의 밤은 쉽게 잠들지 못했다. 낮 동안 아이들에게 받은 온기를 되새기면서도, 나는 여전히 이곳에서 내가 잘할 수 있을지, 이 아이들에게 필요한 선생님이 될 수 있을지 스스로에게 묻고 또 물었다. 새로운 교실에서 나는 어떤 의미로 남게 될까. 이곳이 나의 자리일까. 두려운 마음과 설렘이 교차하는 밤, 그 고민은 쉽사리 가라앉지 않았다.

첫 수업시간. 박준 시인의 그림책 '우리는 안녕'을 읽었다. 안녕, 이라는 말이 참 신기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헤어짐과 만남, 그 사이 어디쯤에서 우리는 안녕을 주고받는다. 그리고 그 안녕이 어떤 마음으로 건네지느냐에 따라 서로에게 닿는 온도가 달라진다. 책 속의 인물처럼, 나도 이곳에서 내가 건넨 '안녕'이 어떤 의미로 남을지 궁금해졌다.

책을 읽고 아이들과 이야기를 나눴다. "안녕이라는 말이 너희한테는 어떤 의미야?"



한 아이가 조심스럽게 입을 열었다. "전학을 왔을 때 무서웠는데, 친구들이 안녕이라고 해줬어요."

또 다른 아이는 "안녕이라고 했는데, 친구가 다시 안녕이라고 해줬어요."라고 덧붙였다. 그 말에 마음 한편이 따뜻해졌다. 우리는 생각보다 쉽게 연결되고, 생각보다 쉽게 서로를 안아줄 수 있는 존재들이구나. 이 아이들의 말 한마디가 내 마음을 한 걸음 더 앞으로 나아가게 했다.

낯선 곳에서 마음을 여는 일은 쉽지 않다. 하지만 작은 순간들이 모여 어느새 익숙함이 된다. 쉬는 시간, 한 아이가 내 손을 잡아끌었다. "선생님! 우리가 제일 잘하는 놀이 보여줄게요!" 그렇게 시작된 놀이 시간. 나는 처음엔 조용히 지켜보려 했지만, 어느새 아이들 틈에서 함께 웃고 뛰고 있었다. 교실에 울려 퍼지는 웃음소리 속에서, 나는 깨달았다. 이곳에서의 자리도, 나를 향한 아이들의 마음도, 그렇게 하나둘 채워지고 있다는 것을.

하루의 일과를 마무리하며 다시 우리는 안녕을 떠올렸다. 아이들에게 물었다. "이 책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은 뭐였어?"

한 아이가 손을 번쩍 들며 말했다. "안녕이라고 했을 때, 꼭 다시 만날 거라는 거요!"

또 다른 아이는 "처음엔 헤어지는 줄 알았는데, 다시 만나는 거였어요."라고 말했다. 아이들의 대답이 나에게 위로처럼 들렸다. 안녕이라는 말 속에 담긴 따뜻한 의미를, 이 아이들은 이미 알고 있었다.

그날 이후, 나는 아이들과 인사하는 순간을 더 소중하게 생각하게 됐다. 교실 문을 열며 건네는 "안녕", 복도에서 마주치며 나누는 짧은 눈맞춤, 쉬는 시간 작은 손을 흔들며 보내는 미소. 어쩌면 교육이라는 것은 그렇게 소소한 순간들 속에서 시작되는 것이 아닐까.

그리고 나는 문득 깨달았다. 내가 두려워했던 것은 새로운 환경이 아니라, 익숙하지 않은 내 모습이었다는 것을. 하지만 매일 아이들에게 건네는 안녕 속에서 나도 변해가고 있다. 나는 이곳에서 서서히 나의 자리를 찾아가고 있다. 아이들의 목소리, 웃음소리, 그리고 하루의 끝에서 "선생님, 내일도 만나요!"라고 말하는 맑은 목소리가 나를 다시 세운다.

아이들의 작은 손이 내 손을 잡고, 그 온기가 나를 감싼다. 낯선 교실이 어느새 익숙한 곳이 돼간다. 나는 오늘도 아이들에게 인사를 건넨다. "안녕, 내일 또 만나자." 그리고, 그 안녕이 또 다른 내일을 이어간다. 새로운 시작이지만, 이제 확신한다. 이곳에서, 아이들과 함께하는 이 순간들이야말로 내가 있어야 할 자리라는 것을. /이윤희 공주교동초 교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서울공항 인근 도심 상공 전투기 곡예비행... 안전불감증 도마
  2. 옛 파출소·지구대 빈건물 수년씩… 대전 한복판 중부경찰서도 방치되나
  3. <속보>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 별세
  4. AI 시대 모두가 행복한 대전교육 위해선? 맹수석 교수 이끄는 미래교육혁신포럼 성료
  5. [기고] 전화로 모텔 투숙을 강요하면 100% 보이스피싱!
  1. 충남도 "해양생태공원·수소도시로 태안 발전 견인"
  2. ['충'분히 '남'다른 충남 직업계고] 논산여자상업고 글로벌 인재 육성 비결… '학과 특성화·맞춤형 실무교육'
  3. 충남교육청 "장애학생 취업 지원 강화"… 취업지원관 대상 연수
  4. 태안국제원예치유박람회 조직위, 준비상황보고회 개최
  5. "도민 안전·AI 경쟁력 높인다"… 충남도, 조직개편 추진

헤드라인 뉴스


납세자 늘어도 세무서 3곳뿐… 대전시 세정 인프라 태부족

납세자 늘어도 세무서 3곳뿐… 대전시 세정 인프라 태부족

대전의 경제 규모가 커지면서 납세자가 급증하고 있지만, 세무서가 3곳에 불과해 세무서 신설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조승래 의원(대전 유성구갑)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대전시의 2024년도 주요 세목별 신고인원은 2019년 대비 부가가치세 17.9%, 종합소득세 51.9%, 법인세는 33.9% 증가했다. 또 대전의 2023년도 지역내총생산(GRDP)은 54조원으로, 전년 대비 3.6% 성장해 전국 17대 시·도 중 두 번째로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납세 인원 역시 2019..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가치 재확인… 개방 확대는 숙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가치 재확인… 개방 확대는 숙제

조선시대 순성놀이 콘셉트로 대국민 개방을 염두에 두고 설계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3.6km)'. 2016년 세계에서 가장 큰 옥상정원으로 기네스북에 오른 가치는 시간이 갈수록 주·야간 개방 확대로 올라가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의 주·야간 개방 확대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주간 개방은 '국가 1급 보안 시설 vs 시민 중심의 적극 행정' 가치 충돌을 거쳐 2019년 하반기부터 서서히 확대되는 양상이다. 그럼에도 제한적 개방의 한계는 분명하다. 평일과 주말 기준 6동~2동까지 매일 오전 10시, 오후 1시 30분, 오후..

전국 대학 실험실 발생 사고 매년 200건 이상…4월 사고 집중 경향
전국 대학 실험실 발생 사고 매년 200건 이상…4월 사고 집중 경향

최근 3년간 대학 내 실험실에서 발생한 사고로 매년 200명 이상이 부상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문정복 의원(더불어민주당, 경기 시흥갑)이 한국교육시설안전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부터 2025년 8월까지 최근 3년간 전국 대학 연구실 사고로 총 607명의 부상자와 1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같은 기간, 대학 내 실험실 사고로 지급된 공제급여는 총 8억 5285만 원에 달한다. 특히 4월에 매년 사고가 집중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2023년 4월에 33명, 2024년 4월에 32명, 2..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 나에게 맞는 진로는? 나에게 맞는 진로는?

  •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