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人 칼럼] 와일드 클레이(Wild Clay)

  • 오피니언
  • 문화人 칼럼

[문화人 칼럼] 와일드 클레이(Wild Clay)

조부연 도자디자이너

  • 승인 2025-04-23 15:20
  • 신문게재 2025-04-24 19면
  • 김지윤 기자김지윤 기자
2025031901001413700056541
조부연 도자디자이너.
비 갠 후 도로의 고운 흙이 가라앉은 물웅덩이를 보기가 어렵다. 당연히 아스팔트로 포장한 도로는 비포장도로만큼 물웅덩이를 많이 만들지 않는다. 가끔 물웅덩이가 도로 가장자리에 만들어지기는 하지만 고운 흙 대신 도로에서 깎인 모래가 대부분이다. 도시의 중심가와 근교를 돌아다녀도 어디나 포장도로가 깔려있다. 시골로 내려가도 마찬가지다. 마을로 들어가는 좁은 길, 농로마저 시멘트로 포장되어 있다. 사람들이 도시로 모두 떠나고 세월지나 허름한 시골집이 무너져도 시멘트 포장도로는 남아있다. 간혹 장맛비에 도로가 씻겨나가 모두 떠내려가도 시멘트 포장도로는 최후까지 그나마 살아남는다.

고등학교에 다니던 80년대 중반의 기억이다. 그 시절엔 직행버스, 고속버스에도 입석이라는 게 있었다. 버스회사는 입석을 가득 채워 돈벌이를 했다. 명절에 입석을 최대한 실은 직행버스는 고속도로 진입을 할 수 없었다. 그게 규정이었는지 정확하지는 않다. 대전, 연무대 간 호남고속도로를 거쳐 부여 가는 만원 직행버스는 연산과 논산으로 우회하는 비포장도로를 이용해만 했다. 직행버스 후미의 조그만 창문으로 사람을 태우는 꼼수까지 써가며 콩나물시루가 된 버스 안은 생지옥이었다. 운전기사는 승객 사정 안 봐주고 울퉁불퉁한 비포장도로를 내달렸다. 그때마다 버스 안은 비명이 가득했다. 어쩌다 서울행 고속버스를 가끔 타면 40년 전 직행버스의 고약한 경유 냄새가 코를 찌르고 속이 울렁거린다.

부여 촌놈이라서 비포장도로(흙길)를 꽤 많이 걸었다. 부여 읍내에 아스팔트가 모두 깔려 있던 80년대 말까지도 고향 시골집 가는 도로는 비포장이었다. 여름방학에 친구들과 함께 서천 춘장대 해수욕장에 놀러 갔을 때였다. 고향 집에 하루 머물기로 하고 부여에서 시내버스를 탔다. 까까머리에 불량스런 사복 차림의 남학생들이 맨 뒤 좌석에 앉았다. 덜컹거릴 때마다 엉덩이가 의자에서 떨어졌다. 그때마다 놀이기구에 탄 것처럼 비명을 지르고 깔깔거렸다. 참다못한 기사 아저씨의 불호령이 있기까지 철없는 사내애들은 놀이기구를 타고 있었다.

미대 입시를 준비하면서 도예를 전공하겠다고 생각했지만, 깊이 알지는 못했다. 막연히 도자기를 동경했다. 산업미술학과에 디자인계열과 공예계열이 함께 있던 시절이었다. 당시 유망하다던 디자인계열 전공을 선택할 수 있었지만 결국에는 도자기 전공을 선택했다. 그렇게 도자기를 만들게 되었다. 도예가에겐 흙(점토)이 가장 중요한 재료다. 도자기 재료상에서 청자토, 백자토, 분청토, 흑토 등을 주문하면 택배로 온다. 돈 주고 사서 쓴다. 세상 좋아져 중국이나 미국, 일본의 점토도 쉽게 살 수 있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돈 주고 사서 쓰는 점토가 마뜩잖다.



비 갠 후 시골길은 물웅덩이가 많이 생긴다. 울퉁불퉁한 길에 여지없이 물웅덩이가 만들어진다. 이때 이상한 일이 벌어진다. 비가 오면 옴폭 파인 길에 흙이 조금씩 씻겨 흘러 들어간다. 흙 속에 있던 모래나 작은 돌들은 무게 때문에 아래로 가라앉고 고운 흙물이 위에 뜬다. 하루이틀 지나면 마른 논바닥처럼 고운 흙이 쩍쩍 갈라진다. 이 마른 흙이 바로 와일드 클레이다. 작업장으로 가져와 물을 붓고 주물럭거리면 도자기를 만들 수 있는 점토로 쓸 수 있다. 사실 이 방식은 선사시대 토기를 만들던 고대인들이 점토를 채취한 방법의 하나로 가장 원초적인 것이다. 요즘 꿈꾼다. 아침에 일어나 웅덩이의 와일드 클레이를 작업장으로 가져와 하루에 쓸 양의 점토를 만들고 그릇을 만든다. 주변의 와일드 클레이가 동나면 비를 기다린다. 비가 오면 물웅덩이에 내 흙이 쓸려 들어간다. 그런데 이 도시엔 흙물을 머금은 물웅덩이를 찾을 수 없다.

조부연 도자디자이너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전공의 돌아온 대학병원 '활기' 속에 저연차 위주·필수과목 낮은 복귀율 '숙제'
  2. 충청권 의대 중도이탈자 증가… 의대 모집정원 확대에 수도권행 심화
  3. "탈시설을 말하다"… 충북장애인인권영화제 4일 개최
  4. 합참의장에 진영승 공군 전략사령관 내정, 군내 4성 장군 전원 교체
  5. [2026 수시특집-나섬이가 소개하는배재대] 장학금 받고 유학 가고… 공부는 ‘카공족’ 공간에서
  1. 인천의 '극지연구소'는 부산 이전 불발...세종시는?
  2. [꿈을JOB다! 내일을 JOB다!] 게임 좋아하던 중학생, 게임 개발자가 되다
  3. [2026 수시특집-배재대] 1863명(정원 내) 선발… "수능최저 없애고 전과·융합전공 자유롭게"
  4. 서천 호우주의보 발효…충남 남부 중심 매우 강한 비
  5. 자신의 금융정보 넘겨 대포 통장·폰 개설 도운 20대 실형

헤드라인 뉴스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시가 2026년 정부 예산안에서 역대 최대인 4조 7309억 원을 확보했지만, 일부 현안 사업에 대해선 국비를 따내지 못해 사업 정상 추진에 빨간불이 켜졌다.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운영비와 웹툰 IP 클러스터, 신교통수단 등 지역민 삶의 질 향상과 미래성장 동력 확충과 직결된 것으로 국회 심사과정에서 예산 확보를 위한 총력전이 시급하다. 1일 대전시에 따르면 2026년도 정부 예산안에서 제외된 대전시 사업은 총 9개다. 앞서 시는 공공어린이 재활병원 운영지원 사업비(29억 6000만 원)와 웹툰 IP 첨단클러스터 구축사업 15억 원..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지사가 지천댐 건설 재검토 지시를 내린 김성환 환경부 장관을 향해 "자격이 있는지 의문"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지천댐 건설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는 김돈곤 청양군수에 대해서도 "무책임한 선출직 공무원"이라고 맹비난했다. 김 지사는 1일 도청에서 열린 2026 주요정책 추진계획 보고회에서 김 장관에 대해 "21대 국회에서 화력발전 폐지 지역에 대한 특별법을 추진할 때 그의 반대로 법률안이 통과되지 못했다"라며 "화력발전을 폐지하고 대체 발전을 추진하려는 노력을 반대하는 사람이 지금 환경부 장관에 앉아 있다. 자격이..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특별자치시가 2030년 완성기까지 '국가상징구역'과 '중앙녹지공간'을 중심으로 또 다른 변화를 맞이할 전망이다. 1일 세종시 및 행복청의 2026년 국비 반영안을 보면, 국가상징구역은 국회 세종의사당 956억 원, 대통령 세종 집무실 240억 원으로 본격 조성 단계에 진입한다. 행정수도 추진이란 대통령 공약에 따라 완전 이전을 고려한 확장 반영이란 점에서 의미가 크다. 내년 국비가 집행되면, 국회는 2153억 원, 대통령실은 298억 원까지 집행 규모를 키우게 된다. 국가상징구역은 2029년 대통령실, 2033년 국회 세종의사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 마지막 물놀이 마지막 물놀이

  •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