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人 칼럼] 와일드 클레이(Wild Clay)

  • 오피니언
  • 문화人 칼럼

[문화人 칼럼] 와일드 클레이(Wild Clay)

조부연 도자디자이너

  • 승인 2025-04-23 15:20
  • 신문게재 2025-04-24 19면
  • 김지윤 기자김지윤 기자
2025031901001413700056541
조부연 도자디자이너.
비 갠 후 도로의 고운 흙이 가라앉은 물웅덩이를 보기가 어렵다. 당연히 아스팔트로 포장한 도로는 비포장도로만큼 물웅덩이를 많이 만들지 않는다. 가끔 물웅덩이가 도로 가장자리에 만들어지기는 하지만 고운 흙 대신 도로에서 깎인 모래가 대부분이다. 도시의 중심가와 근교를 돌아다녀도 어디나 포장도로가 깔려있다. 시골로 내려가도 마찬가지다. 마을로 들어가는 좁은 길, 농로마저 시멘트로 포장되어 있다. 사람들이 도시로 모두 떠나고 세월지나 허름한 시골집이 무너져도 시멘트 포장도로는 남아있다. 간혹 장맛비에 도로가 씻겨나가 모두 떠내려가도 시멘트 포장도로는 최후까지 그나마 살아남는다.

고등학교에 다니던 80년대 중반의 기억이다. 그 시절엔 직행버스, 고속버스에도 입석이라는 게 있었다. 버스회사는 입석을 가득 채워 돈벌이를 했다. 명절에 입석을 최대한 실은 직행버스는 고속도로 진입을 할 수 없었다. 그게 규정이었는지 정확하지는 않다. 대전, 연무대 간 호남고속도로를 거쳐 부여 가는 만원 직행버스는 연산과 논산으로 우회하는 비포장도로를 이용해만 했다. 직행버스 후미의 조그만 창문으로 사람을 태우는 꼼수까지 써가며 콩나물시루가 된 버스 안은 생지옥이었다. 운전기사는 승객 사정 안 봐주고 울퉁불퉁한 비포장도로를 내달렸다. 그때마다 버스 안은 비명이 가득했다. 어쩌다 서울행 고속버스를 가끔 타면 40년 전 직행버스의 고약한 경유 냄새가 코를 찌르고 속이 울렁거린다.

부여 촌놈이라서 비포장도로(흙길)를 꽤 많이 걸었다. 부여 읍내에 아스팔트가 모두 깔려 있던 80년대 말까지도 고향 시골집 가는 도로는 비포장이었다. 여름방학에 친구들과 함께 서천 춘장대 해수욕장에 놀러 갔을 때였다. 고향 집에 하루 머물기로 하고 부여에서 시내버스를 탔다. 까까머리에 불량스런 사복 차림의 남학생들이 맨 뒤 좌석에 앉았다. 덜컹거릴 때마다 엉덩이가 의자에서 떨어졌다. 그때마다 놀이기구에 탄 것처럼 비명을 지르고 깔깔거렸다. 참다못한 기사 아저씨의 불호령이 있기까지 철없는 사내애들은 놀이기구를 타고 있었다.

미대 입시를 준비하면서 도예를 전공하겠다고 생각했지만, 깊이 알지는 못했다. 막연히 도자기를 동경했다. 산업미술학과에 디자인계열과 공예계열이 함께 있던 시절이었다. 당시 유망하다던 디자인계열 전공을 선택할 수 있었지만 결국에는 도자기 전공을 선택했다. 그렇게 도자기를 만들게 되었다. 도예가에겐 흙(점토)이 가장 중요한 재료다. 도자기 재료상에서 청자토, 백자토, 분청토, 흑토 등을 주문하면 택배로 온다. 돈 주고 사서 쓴다. 세상 좋아져 중국이나 미국, 일본의 점토도 쉽게 살 수 있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돈 주고 사서 쓰는 점토가 마뜩잖다.



비 갠 후 시골길은 물웅덩이가 많이 생긴다. 울퉁불퉁한 길에 여지없이 물웅덩이가 만들어진다. 이때 이상한 일이 벌어진다. 비가 오면 옴폭 파인 길에 흙이 조금씩 씻겨 흘러 들어간다. 흙 속에 있던 모래나 작은 돌들은 무게 때문에 아래로 가라앉고 고운 흙물이 위에 뜬다. 하루이틀 지나면 마른 논바닥처럼 고운 흙이 쩍쩍 갈라진다. 이 마른 흙이 바로 와일드 클레이다. 작업장으로 가져와 물을 붓고 주물럭거리면 도자기를 만들 수 있는 점토로 쓸 수 있다. 사실 이 방식은 선사시대 토기를 만들던 고대인들이 점토를 채취한 방법의 하나로 가장 원초적인 것이다. 요즘 꿈꾼다. 아침에 일어나 웅덩이의 와일드 클레이를 작업장으로 가져와 하루에 쓸 양의 점토를 만들고 그릇을 만든다. 주변의 와일드 클레이가 동나면 비를 기다린다. 비가 오면 물웅덩이에 내 흙이 쓸려 들어간다. 그런데 이 도시엔 흙물을 머금은 물웅덩이를 찾을 수 없다.

조부연 도자디자이너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KINS 기밀 유출 있었나… 보안문서 수만 건 다운로드 정황에 수사 의뢰
  2. 수도권 뒤덮은 러브버그…충청권도 확산될까?
  3. [춘하추동]새로운 시작을 향해, 반전하는 생활 습관
  4. 3대 특검에 검사 줄줄이 파견 지역 민생사건 '적체'…대전·천안검찰 4명 공백
  5. aT, 여름철 배추 수급 안정 위해 총력 대응
  1. [행복한 대전교육 프로젝트] 세상을 설계하는 대덕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
  2. 김태흠 충남지사 "5개 비전으로 진정한 지방자치 실현"
  3. 사단법인 사랑의 사다리,기획재정부 공익법인 지정
  4. 2025 농촌 재능나눔 대학생 캠프 스타트...농촌 삶의 질 개선 기여
  5. 농협, 'K-라이스페스타'로 쌀 소비 붐 조성

헤드라인 뉴스


대전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 대전시에 공청회 요구... 경쟁 입찰 조회수 부풀리기 의혹 제기도

대전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 대전시에 공청회 요구... 경쟁 입찰 조회수 부풀리기 의혹 제기도

대전 중앙로지하상가 비상대책위원회와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가 상가 정상 운영을 위한 대전시민 1000여 명의 서명을 받아 대전시에 공청회 개최를 요구하고 나섰다. 비대위는 경쟁 입찰 당시 상인 대부분이 삶의 터전을 잃을까 기존보다 많게는 300% 인상된 가격으로 낙찰을 받았는데, 높은 조회수를 통해 조바심을 낼 수밖에 없도록 조작한 게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했다.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와 대전참여연대는 2일 대전시청 북문에서 '지속 가능한 중앙로 지하상가 운영을 위한 시민참여 공청회 청구 기자회견'을 열고 대전시에서 입찰을 강행한 결과 여..

요즘 뜨는 대전 역주행 핫플레이스…반석역 3번출구, 버드내초인근 상권 등
요즘 뜨는 대전 역주행 핫플레이스…반석역 3번출구, 버드내초인근 상권 등

숨겨진 명곡이 재조명받는다. 1990년대 옷 스타일도 다시금 유행이 돌아오기도 한다. 이를 이른바 '역주행'이라 한다. 단순히 음악과 옷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권은 침체된 분위기를 되살려 재차 살아난다. 신규 분양이 되며 세대 수 상승에 인구가 늘기도 하고, 옛 정취와 향수가 소비자를 끌어모으기도 한다. 원도심과 신도시 경계를 가리지 않는다. 다시금 상권이 살아나는 기미를 보이는 역주행 상권이 지역에서 다시금 뜨고 있다. 여러 업종이 새롭게 생기고, 뒤섞여 소비자를 불러 모으며 재차 발전한다. 이미 유명한 상권은 자영업자에게 비싼..

"직원 대부분 반대·이직 동요"…해수부 이전 강행 무리수
"직원 대부분 반대·이직 동요"…해수부 이전 강행 무리수

"해수부 전체 직원의 86%, 20대 이하 직원 31명 중 30명이 반대하고, 이전 강행 시 48%가 다른 부처나 공공기관으로 이직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최민호 세종시장이 7월 2일부터 예고한 '해수부 이전 철회' 1인 시위에 돌입했다. 이날 어진동 정부세종청사 5동 해수부 정문 앞에서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 옳지 않은 것은 옳지 않은 것입니다'란 캐치프레이즈와 함께 거리로 나섰다. 해수부 이전 철회를 촉구하는 입장을 정부부처 공무원을 넘어 시민들과 함께 나누기 위한 발걸음이다. 그가 해수부 이전에 반대하는 입장은 '지역 이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의정활동 체험 ‘재미있어요’ 의정활동 체험 ‘재미있어요’

  • 도심 열기 식히는 살수차 도심 열기 식히는 살수차

  •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 대전시에 공청회 요구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 대전시에 공청회 요구

  •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