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뉴욕의 김환기에게 고향의 맛은 무엇이었을까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뉴욕의 김환기에게 고향의 맛은 무엇이었을까

  • 승인 2025-06-25 17:45
  • 신문게재 2025-06-26 18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KakaoTalk_20250625_094419280
KakaoTalk_20250625_094346706
장맛비가 내리는 휴일 아침에 이불을 박차고 나오는 것은 쉽지 않다. 시계를 보니 8시 30분이 막 넘었다. 사과 한 개와 찐계란, 빵에 잼을 발라서 먹었다. 며칠 전 살구잼을 만들었다. 태어나 처음 해본 잼. 과정은 녹록지 않았다. 지지난 주말 아침 보문산에 가던 중 살구나무를 보고 입이 떡 벌어졌다. 가지가 찢어질 것처럼 살구가 주렁주렁 열려 있었다. 대사동 보문산 자락엔 오래된 집들이 많다. 그 중 길 가 높이 자리잡은 집에 역시 오래된 살구나무가 있다. 살구 익는 6월이면 길바닥에 떨어져 깨진 살구가 천지다. 재작년엔 어쩐 일인지 주인어르신이 비닐봉지에 가득 담은 살구를 2천원씩 팔아 맛있게 먹었다. 크기가 자그맣고 전체적으로 주황빛에 주근깨가 톡톡 박힌 볼빨간 빨강머리 앤의 뺨처럼 붉은 기가 도는 토종 살구다.

나는 고개를 들고 큰소리로 불렀다. "아저씨이!" 내 외침에 삽살개가 짖어대자 할아버지가 얼굴을 빼꼼히 내밀고 나를 내려다 봤다. 살구 안 파시냐고 물으니 안으로 들어오라고 손짓했다. 주인어르신 부부는 몇 년 전만 해도 정정했는데 어느새 허리가 바짝 굽었다. 나는 살구가 어쩜 이렇게 많이 열렸냐고 감탄을 연발했다. "작년엔 냉해 때문에 살구꽃이 제대로 피기 전에 다 저버려서 하나도 안 열렸는데 올해는 실하게 열렸어." 살구나무 아래엔 그물을 쳐 놓아 떨어진 살구 상태가 온전했다. 마침 할머니가 다라에 살구를 주워 담고 있었다. 나도 거들었다. 할아버지는 임자 만났다는 듯 집 자랑에 침을 튀겼다. "우리 집 전망이 기가 맥히잖어? 가끔 집 팔라고 오는 사람들이 있어. 카페 하기 좋은 터니께. 난 안 팔어." 내가 땅값이 비싸겠다고 하자 "여기선 젤 비싸지"라고 대꾸했다. 아닌 게 아니라 대전 시내와 식장산이 훤히 보여 눈이 시원했다. 인심 좋은 할아버지는 할머니에게 "더 드려. 많이 드려"라고 재촉했다.

살구잼을 만들기로 한 것은 할아버지의 조언 덕분이었다. "살구는 버릴 게 없어. 잼도 맛있고. 씨도 얼매나 좋은 건디. 기침에 좋아. 콜드크림에 살구씨 가루 개서 얼굴에 바르면 피부도 좋구." 할아버지는 작년에 담근 살구잼 맛도 보여줬다. 며칠 후 퇴근하고 저녁을 먹고 잼 만들기에 돌입했다. 깨끗이 씻어 씨를 발라낸 살구를 믹서에 넣고 갈았다. 곱게 간 살구는 영락없는 호박죽이었다. 거기에 설탕을 붓고 센불에 끓이다가 불을 확 줄이고 뭉근히 끓였다. 시간이 지나자 되직해졌다. 그러더니 화산 분화구의 용암처럼 부글부글 끓으면서 점액질이 위로 튀어올라 냄비 밖 사방으로 떨어졌다. 재빠르게 냄비 주위에 신문을 깔았다. 수저로 저으면서 '앗 뜨거'를 연발했다. 그런데 언제 불을 꺼야 하는지 가늠이 안됐다. 수저로 살짝 퍼서 쩝쩝거리며 맛을 계속 보는 사이에 결국 꾸덕꾸덕한 젤리가 돼버렸다. 사랑은 타이밍이라는데 잼도 타이밍일세. 다음엔 꼭 성공하고 말거야!

'살구꽃 핀 마을은 어디나 고향 같다'는 시도 있지만 고향을 떠난 사람에게 고향은 남다른 정서를 불러일으킨다. 내 고향집은 지금 어떤 모습일까. 집 뒤에선 엄지손만한 보리수가 빨갛게 익어갈텐데. 6월 초 우리 가족은 1박2일 강원도 평창과 강릉을 다녀왔다. 우리는 강릉에서 '김환기 전시회'를 보는 감격을 맛봤다. 청록색 바탕에 별처럼 무수한 점들이 박힌 그림을 보고 있노라면 아득해진다. 안락한 자리를 박차고 나이 50에 뉴욕으로 떠나 그 곳에서 생을 마감한 화가. 김환기는 뉴욕의 밤하늘을 보면서 신안 안좌도의 고향 바다를 떠올렸을까. 작품에 매번 등장하는 푸른 점은 뉴욕에서 고국을 그리며 바라본 밤하늘의 별이기도 했을 터. 결핍은 예술가에게 창작의 원천이다. 그 시절 뉴욕의 김환기가 그리워한 고향의 맛은 무엇이었을까. <지방부장>
우난순 수정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4658만$ 수출계약 맺고 거점 확장"… 김태흠 지사, 중국·베트남 출장 마무리
  2. 전공의 돌아온 대학병원 '활기' 속에 저연차 위주·필수과목 낮은 복귀율 '숙제'
  3. 예산 서부내륙고속도로서 승용차가 중앙분리대 들이받아… 1명 숨져
  4. 합참의장에 진영승 공군 전략사령관 내정, 군내 4성 장군 전원 교체
  5. 충청권 의대 중도이탈자 증가… 의대 모집정원 확대에 수도권행 심화
  1. 폭염 속 건설현장 근로자 마음응원 캠페인…마음구호 키트 나눔도
  2. [2026 수시특집-배재대] 1863명(정원 내) 선발… "수능최저 없애고 전과·융합전공 자유롭게"
  3. "탈시설을 말하다"… 충북장애인인권영화제 4일 개최
  4. [2026 수시특집-나섬이가 소개하는배재대] 장학금 받고 유학 가고… 공부는 ‘카공족’ 공간에서
  5. 건양대병원, 차세대 보행 재활 로봇 활용해 스스로 걷기에 도움

헤드라인 뉴스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시가 2026년 정부 예산안에서 역대 최대인 4조 7309억 원을 확보했지만, 일부 현안 사업에 대해선 국비를 따내지 못해 사업 정상 추진에 빨간불이 켜졌다.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운영비와 웹툰 IP 클러스터, 신교통수단 등 지역민 삶의 질 향상과 미래성장 동력 확충과 직결된 것으로 국회 심사과정에서 예산 확보를 위한 총력전이 시급하다. 1일 대전시에 따르면 2026년도 정부 예산안에서 제외된 대전시 사업은 총 9개다. 앞서 시는 공공어린이 재활병원 운영지원 사업비(29억 6000만 원)와 웹툰 IP 첨단클러스터 구축사업 15억 원..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지사가 지천댐 건설 재검토 지시를 내린 김성환 환경부 장관을 향해 "자격이 있는지 의문"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지천댐 건설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는 김돈곤 청양군수에 대해서도 "무책임한 선출직 공무원"이라고 맹비난했다. 김 지사는 1일 도청에서 열린 2026 주요정책 추진계획 보고회에서 김 장관에 대해 "21대 국회에서 화력발전 폐지 지역에 대한 특별법을 추진할 때 그의 반대로 법률안이 통과되지 못했다"라며 "화력발전을 폐지하고 대체 발전을 추진하려는 노력을 반대하는 사람이 지금 환경부 장관에 앉아 있다. 자격이..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특별자치시가 2030년 완성기까지 '국가상징구역'과 '중앙녹지공간'을 중심으로 또 다른 변화를 맞이할 전망이다. 1일 세종시 및 행복청의 2026년 국비 반영안을 보면, 국가상징구역은 국회 세종의사당 956억 원, 대통령 세종 집무실 240억 원으로 본격 조성 단계에 진입한다. 행정수도 추진이란 대통령 공약에 따라 완전 이전을 고려한 확장 반영이란 점에서 의미가 크다. 내년 국비가 집행되면, 국회는 2153억 원, 대통령실은 298억 원까지 집행 규모를 키우게 된다. 국가상징구역은 2029년 대통령실, 2033년 국회 세종의사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 마지막 물놀이 마지막 물놀이

  •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