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에서] 트럼프에게 친구란

  • 오피니언
  • 편집국에서

[편집국에서] 트럼프에게 친구란

김흥수 경제부 차장

  • 승인 2025-07-15 10:32
  • 신문게재 2025-07-16 18면
  • 김흥수 기자김흥수 기자
KakaoTalk_20191013_171443825
김흥수 경제부 차장
'친구라며 동맹국들에 삥을 뜯는 그가, 친구라며 빵셔틀 시키는 학교 일진들과 뭐가 다른지 모르겠네요.'

최근 본 한 인터넷 댓글이 눈에 확 띄었다. 요즘 내 마음과 같아서다.

올해 글로벌 경제 최대 이슈는 미국의 관세 조치로 전 세계는 지금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발언에 주목하고 있다. 경제부 기자인 나 역시 자고 일어나면 말을 뒤집는 그의 관세정책에 피곤함을 느끼고 있다. 지역 경제계도 처음에는 그의 입에 촉각을 곤두세웠지만, 몇 개월째 계속되자 지쳤는지 무뎌진 분위기다. 당장 생존과 직결된 기업인들조차 "이젠 잘 모르겠다"며 혀를 내두를 정도다.

자유무역주의를 선도해왔던 미국이 이제 와 자국 보호무역주의를 내세우는 것도 아이러니하고, 동맹국을 비롯해 전 세계를 상대로 강도짓을 벌이고 있는 모습을 보고 있자면 코미디가 따로 없다.



트럼프는 제조업 부흥과 무역적자 개선이라는 명분으로 관세부과를 정당화하고 있지만, 이는 국가 간 신뢰를 저버린 몰상식한 행태다. 단순한 힘의 논리로 우리나라와 체결한 한미 FTA(자유무역협정)도 한순간에 지워버렸다. 개인 간 약속인 계약을 넘어 국가 간 약속인 협정도 무의미한 시대가 찾아온 것이다. 신뢰를 쌓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리지만, 신뢰를 무너뜨리는 건 한순간이라는 격언이 떠오르는 순간이다.

그동안 세계 평화를 수호하며 지구방위대를 자처한 미국은 트럼프 집권 이후 180도로 변했다. 상호관세를 유예하며 시간을 끌어온 트럼프가 8월 1일부터 한국 등 세계 교역국들에 고율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서한을 보내와서다. 물론 그동안 'TACO(Trump Always Chicken Out·트럼프는 항상 꽁무니를 뺀다)'라는 조롱을 들을 정도로 말 뒤집기를 해왔던 그였기에 이번에도 번복할 수도 있지만, 최근 정세를 보면 끝까지 밀어붙일 것도 같아 보인다. 미국 내 반(反)트럼프 시위행진이 이어지고 있고, 지지율은 역대 최저 수준으로 추락했다는 외신 보도가 잇따라서다. 궁지에 몰린 트럼프가 지지층 결집을 위해 이번에는 관세 카드를 쓸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전문가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그러면 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현실적으로 단순 외교협상만으로 관세 면제 또는 인하를 기대하긴 어려워 보인다. 미국에 납작 엎드려 자국 언론으로부터 '굴욕외교'라는 비판을 받은 일본도 결국 우리와 같은 25% 관세율을 부과받아서다. 분단국가인 우리에게 한미동맹은 매우 중요한 가치지만, 영원한 우방인 줄 알았던 미국이 돌변한 현시점에 협상 타결만이 정답은 아닐 수도 있다. 어쩌면 EU 등 세계 각국과 연대해 대응하는 것도 나쁜 선택지가 아니라는 생각이다. 물론 정부의 산업 보호와 굳건한 국방 안보정책이 뒷받침 돼야겠지만.
/김흥수 경제부 차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충청 메가시티 잇는 BRT… 세계적 롤모델 향해 달린다
  2. 32사단 과학화예비군훈련장 세종에 개장… '견고한 통합방위작전 수행'
  3. 유성선병원 변승원 전문의, 산부인과내시경학회 학술대회 우수상
  4. 밀양시 아리랑대축제, 시민 빠진 무대 '공감 부재' 지적
  5. 대전시의사회, 성분명 처방 의무화 반대 성명…"의약분업의 기본 원칙 침해"
  1. 자치경찰제 논의의 시작은..."분권에 의한 민주적 통제 강화"
  2. 아산시 소재 고등학교에 나흘 사이에 2번 폭발물 설치 허위 신고
  3. 세종 장애인승마 이종하 선수, 국가대표 선발
  4. 세종TV, 창립 15주년 기념식 열어 새 비전 제시
  5. 골프존 GDR아카데미, 신규고객 첫 구매혜택 프로모션

헤드라인 뉴스


충청 메가시티 잇는 BRT… 세계적 롤모델 향해 달린다

충청 메가시티 잇는 BRT… 세계적 롤모델 향해 달린다

행정중심복합도시의 간선급행버스체계인 BRT '바로타' 이용자 수가 지난해 1200만 명을 돌파, 하루 평균 이용객 3만 명에 달하며 대중교통의 핵심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행복청은 '더 나은 바로타'를 위한 5대 개선 과제를 추진해 행정수도 세종을 넘어 충청권 메가시티의 대동맥으로, 더 나아가 세계적 BRT 롤모델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청장 강주엽·이하 행복청)은 행복도시의 대중교통 핵심축으로 성공적으로 자리매김한 BRT '바로타'를 세계적 수준의 BRT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17일 밝혔다. 행복청에 따르면..

32사단 과학화예비군훈련장 세종에 개장… `견고한 통합방위작전 수행`
32사단 과학화예비군훈련장 세종에 개장… '견고한 통합방위작전 수행'

육군 제32보병사단은 10월 16일 세종시 위치한 예비군훈련장을 첨단 ICT(정보통신기술)를 융합한 훈련시설로 재개장했다. 제32보병사단(사단장 김지면 소장)은 이날 최민호 세종특별자치시장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세종 과학화예비군훈련장 개장식을 갖고 시설을 점검했다. 과학화예비군훈련장은 국방개혁 4.0의 추진과제 중 하나인 군 구조개편과 연계해, 그동안 예비군 훈련 간 제기되었던 긴 대기시간과 노후시설 및 장비에 대한 불편함, 비효율적인 단순 반복형 훈련 등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추진됐다. 제32보병사단은 지난 23년부터..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가치 재확인… 개방 확대는 숙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가치 재확인… 개방 확대는 숙제

조선시대 순성놀이 콘셉트로 대국민 개방을 염두에 두고 설계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3.6km)'. 2016년 세계에서 가장 큰 옥상정원으로 기네스북에 오른 가치는 시간이 갈수록 주·야간 개방 확대로 올라가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의 주·야간 개방 확대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주간 개방은 '국가 1급 보안 시설 vs 시민 중심의 적극 행정' 가치 충돌을 거쳐 2019년 하반기부터 서서히 확대되는 양상이다. 그럼에도 제한적 개방의 한계는 분명하다. 평일과 주말 기준 6동~2동까지 매일 오전 10시, 오후 1시 30분, 오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 나에게 맞는 진로는? 나에게 맞는 진로는?

  •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