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23일 대덕구청 청렴관에서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선도하는 지역화폐 대덕e로움이 나아갈 방향 모색을 위한 공개포럼을 개최했다. 대덕구제공 |
대전 대덕구가 발행해 운영 중인 지역화폐 대덕e로움이 지역경제에 긍정적 효과를 주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정세은 충남대 교수는 지난 23일 구청에서 열린 지역화폐 대덕e로움 역할 정립 및 방향 모색을 위한 전문가 초청 공개포럼에서 이같이 밝혔다.
첫 발표자로 나선 정세은 충남대 교수는 “대덕e로움 발행효과 분석과 지역화폐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 등을 통해 볼 때, 지역화폐 발행은 지역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특히 대덕e로움은 코로나19가 확산되는 상황에서도 대덕구 소상공인 매출이 작년 동기 대비 증가하는 이변을 가져옴에 있어 강력한 소비촉진 인프라 역할을 담당해 왔다”고 주장했다.
신규철 인천e음 운영위원은 “인천시 서구 사례에 비춰볼 때 상권 활성화와 주민소통 강화를 위해 대덕e로움 플랫폼 서비스 기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발표했다.
세 번째 발표자로 나선 김성훈 지역화폐협동조합 이사는 “한밭레츠·한밭페이 등 민간 지역화폐와 대덕e로움 공존모델 구축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플랫폼 연계, 민관협치 구조 마련과 각자의 역할을 존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주제발표 후 진행된 토론에서 패널들은 대덕e로움이 지역경제에 양(+)의 경제적 효과를 창출함에 있어 결정적 역할을 했다는 것에 대해 대부분 찬성하는 입장이었으며, 비대면 소비활동 증가에 따라 대덕e로움 플랫폼에 배달앱·점포홍보 등의 콘텐츠를 가미해 소상공인을 위한 경제포털시스템으로 변모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날 포럼에서 지역화폐 발행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인천 서구 사례와 대덕e로움 시즌2를 위한 제언, 지역화폐 민관협력 활성화 방안에 대한 전문가 발표 후 각 주제들에 대한 토론으로 진행됐다.
박정현 구청장은 "대덕e로움은 나이로 보면 이제 첫 돌을 갓 지난 어린아이와 같지만,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기여를 해왔고 대덕구를 대표하는 브랜드로 확실히 자리 잡았다"고 말했다.
한편, 인천의 지역화폐는 전국에서 성공한 대표 사례로 꼽히고도 있다. 이는 다른 지방자치단체의 벤치마킹의 대상이 되고 있기도 하다. 지역화폐의 목적은 역외소비를 역내 소비화함으로써 지역 경제를 선순환시키는 데에 있다. 이를 통해 지역 내 소상공인은 자연스럽게 매출을 늘리게 된다. 그동안 다양한 상품권이 혜택을 대상자 판매자에게 둠으로써 성공하지 못했다면, 지역화폐는 혜택의 대상을 소비자에게 둠으로써 자연스럽게 그 과실을 판매자가 누리게 되는 구조다. 결제의 선택권은 소비자에게 있다는 것을 인정한 방식이다. 지역화폐의 경쟁자는 신용카드, 체크카드다. 신용카드 만큼 쓰기 편해야 하고, 범용성을 패치지 않아야 하고, 혜택은 시용카드 보다 2% 정도는 높아야 소비자들의 선택을 받을 수 있다.
김소희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