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미지=소상공인연합회·연합뉴스 제공] |
소상공인 10명 중 8명은 코로나19 여파로 매출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이 줄면서 인력감축은 물론 근로시간까지 단축해 생계를 근근이 이어갔다.
소상공인 연합회는 지난해 10월 13일~11월 3일 소상공인 1000명을 대상으로 '소상공인 사업 현황 실태조사'를 한 결과, 코로나19로 매출이 줄어든다는 응답이 80.2%에 달했다. 그렇지 않다는 답변은 19.8%였다.
매출 감소 비율은 5% 이상~25% 미만이 33.0%로 가장 많았다. 이어 25% 이상~50% 미만(27.6%), 50% 이상~75% 미만(18.2%), 75% 이상(11.0%), 5% 미만(10.2%)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코로나19 위기 대응으로는 근로시간 조정(24.4%), 기존 인력 감축(19.2%), 신규채용 축소(19.0%), 사업축소(16.7%), 임금체계 개편(12.0%) 등으로 꼽았다.
1년 미만의 초보 창업자들의 폐업은 90% 이상을 차지했다.
폐업 소요 기간을 보면 3개월 미만이 43.3%로 가장 많았다. 이는 폐업을 결심하고 실제로 폐업 조치가 이뤄진 기간이다. 이어 3개월 이상~ 6개월 미만(28.7%), 6개월 이상~9개월 미만(10.7%), 9개월 이상~12개월 미만(8.3%)이었다.
12개월 이상은 9.0%에 불과했다.
폐업 소요 비용은 1000만 원 미만이 55.3%로 절반이 넘었다. 폐업의 주된 원인은 매출 부진이 70.3%를 꼽았다.
최저임금 영향도 미쳤다. 최저임금인상에 따른 고용부담으로 고용감소는 50.9%로 확인됐다. 10명 중 7명 이상은 고용에 영향을 미쳤다고 응답했다.
김임용 소상공인연합회 회장 직무대행은 "최저임금 인상과 코로나 사태 등에 인력 감축으로 대응하는 소상공인들을 위해 다양한 소상공인 지원 사업들이 실질적으로 펼쳐나가겠다"고 말했다.
대전 서구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A씨는 "코로나19 사태로 손님들의 발길이 오래전부터 끊기면서 매출에 상당한 타격을 받고 있다"며 "임시방편으로 직원들의 근무시간 등을 조정하고 있지만, 이 또한 한계에 다다랐다"고 하소연했다.
박병주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