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2023-03-21
제158강:移木之信(이목지신) : (공손앙이)나무를 옮겨 백성의 신임을 시험함 글 자 : 移(옮길 이) 木(나무 목) 之(어조사 지) 信(믿을 신) 출 전 :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 상군열전(商君列傳) 비 유 : 남을 속이지 않거나 약속을 반드시 지킨다는 것을..
2023-03-07
제157강: 得魚忘筌(득어망전) : 물고기를 잡으면 통발을 버린다. 글 자 : 得(얻을 득), (魚물고기 어), 忘(잊을 망/ 버릴 망), (筌통발 전) 출 처 : 장자, 외물편(莊子, 外物篇) 비 유 : 바라던 바를 이루고 나면 이를 이루기 위하여 했던 일들을 잊어버..
2023-02-21
제156강:七縱七擒(칠종칠금) : (적을) 일곱 번 놓아주었다가 일곱 번 사로잡음. 글 자 : 七(일곱 칠) 縱(늘어질 종, 용서할 종) 擒(사로잡을 금) 출 전 : 三國志演義(삼국지연의) 蜀書 諸葛亮傳(촉서 제갈량전) 비 유 : 상대방을 자유자재로 요리하는 재주를 비..
2023-02-14
제156강:夜臥八尺(야와팔척) : 집이 천 칸인 큰 집이라도 누워 잠자는 공간은 여덟 자면 충분. 글 자 : 夜(밤 야) 臥(누울 와/ 누워 자다) 八(여덟 팔) 尺(자 척/길이를 나타냄) 출 처 : 도연명(陶淵明)의 독산해경(讀山海經)의 詩 비 유 : 욕심 없이 일신..
2023-02-07
제154강: 蚌鷸之勢(방휼지세) : 조개와 도요새의 세력 다툼 글 자 : 蚌(민물조개 방) 鷸(도요새 휼) 之(관형격 조사/ ~~의) 勢(기세 세) 출 처 : 전국책(戰國策) 연책(燕策) 비 유 : 서로 맞서서 양보하지 않고 다투는 형세(대립하는 두 세력이 잔뜩 버티고..
2023-01-31
제153강:白龍魚服(백룡어복) : 흰 용이 물고기의 옷을 입는다. 글 자 : 白(흰 백) 龍(용 룡) 魚(물고기 어) 服(입을 복) 출 처 : 서한인(西漢人) 유향(劉向)의 설원(說苑) 정간(正諫)편 비 유 : 신분이 높은 분이 서민의 옷을 입고 미행(微行)하는 것을..
2023-01-24
제152강: 眞僞視次(진위시차) : 진실과 거짓은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글 자 : 眞(참 진) 僞(거짓 위) 視(볼 시) 次(버금 차) 출 처 : 고사성어 속담사전(故事成語 俗談事典), 한국고사성어(韓國故事成語) 비 유 : 실제 눈으로 본 사실도 다를..
2023-01-17
제151강: 계묘년(癸卯年)이 힘찬 기운(氣運)으로 밝았다. 예외 없이 모든 사람들은 새해의 희망을 기원하고, 도약(跳躍)의 약속을 믿고 있다. 근래 유래 없이 단기간 내에 고도의 성장을 이룩한 '대한민국!' 위대하고 자랑스럽다. 토끼를 글자로 표현한 묘(卯)자는 '밝..
2023-01-10
제150강: 暮夜無知(모야무지) : 이슥한 밤중에 하는 일이라 아는 사람이 없다. 일명 四知(사지) : 네 가지가 알고 있다. 곧 [천지(天知), 지지(地知), 자지(子知), 아지(我知)] 로 더 많이 알려져 있다 글 자 : 四(넉 사/ 네 번째) 知(알지) 출 처 :..
2022-12-29
제149강:南柯一夢(남가일몽) : 남쪽으로 뻗은 나뭇가지 아래 한바탕의 꿈 글 자 : 南(남녘 남) 柯(나뭇가지 가) 一(하나 일) 夢(꿈 몽) 출 처 : 당(唐)나라 이공좌(李公佐)의 전기소설(傳奇小說) 남가태수전(南柯太守傳) 비 유 : 명예(名譽) 또는 한 때의 부..
2022-12-15
제148강: 母價擇選-2(모가택선-2) : 어머니의 가치 있는 선택 글 자 : 母(어머니 모) 價(가치 가, 최고 가) 擇(가릴 택) 選(가릴 선. 좋을 선) 출 처 : 한국의 야사(韓國의 野史), 박재형(朴在馨)의 해동속소학(海東續小學) 비 유 : 아들을 훌륭하게 키..
2022-12-06
제147강 利他利己(이타이기) : 남을 이롭게 하면 자신도 이롭게 된다. 글 자 : 利(이로울 이, 날카롭다), 他(다를 타, 다른 사람), 己(자기 기) 비 유 : 남에게 봉사하고 베풀면 나에게도 언젠가는 그 보답을 받는다. 우리는 남을 위해 봉사하기는 어렵게 생각하..
2022-11-15
제144강: :起死臥死(기사와사) : 서서 죽으나 누워서 죽으나 죽는 것은 마찬가지 글 자 : 起(일어날 기), 死(죽을 사), 臥(누울 와), 출 처 : 고금청담(古今淸談), 임종대(林種大)의 한국고사성어(韓國故事成語) 비 유 : 이러나, 저러나 결과는 마찬가지를 비..
2022-11-08
제143강: 氣過必禍(기과필화) : 기(氣)가 지나치면 반드시 화(禍)를 입는다. 글 자 : 氣(기운 기), 過(지날 과/ 지나치다), 必(반드시 필), 禍(재화 화) 출 처 : 조선명인전(朝鮮名人傳), 한국의 인간상(韓國의 人間象) 비 유 : 너그럽고 온화한 성품을..
2022-11-01
제142강: 권심상수(權心常守) : 권력을 가진 자의 마음은 항시 그 권력을 지키는 데 있다 글 자 : 權(권세 권) 心:(마음 심) 常(항상 상) 守(지킬 수) 비 유 : 가진 자는 가진 것을 지키기 위해서 애쓰고 권력자는 항상 권력을 지향 출 전 : 오상원 우화(吳..
2022-10-11
제 140강: 打草驚蛇(타초경사) : 풀을 쳐서 뱀을 놀라게 하다. 글 자 : 打(칠 타, 때리다) 草(풀 초) 驚(놀랄 경) 蛇(뱀 사) 출 처 : 단성식(段成式)의 유양잡조(酉陽雜俎). 병법(兵法)삼십육계(三十六計) 비 유 : 주변을 경고함으로 당사자를 각성케 한다..
2022-09-29
제 139강: 윤언접종(輪言漸腫) : 말은 굴릴수록 점점 부풀려진다. 글 자 : 輪( 바퀴 륜). (말씀 언). 漸(점점 점). 腫(종기 종/부풀리다) 출 처 : 오상원(吳尙源) 우화(寓話), 임종대(林鐘大)의 한국고사성어(韓國故事成語) 비 유 : 헛소문은 입에서 입으..
2022-09-20
제138강: 孝而忠同(효이충동) : 효도(孝道)와 충성(忠誠)은 같다. 글 자 : 孝(효도 효), 而(말 이을 이), 忠(충성 충), 同(한가지 동/ 같을 동) 출 처 : 효경대의(孝經大義), 한국고사성어(韓國故事成語) 비 유 : 부모에게 효도하는 사람이 나라에도 충성..
2022-09-14
제137강: 天高馬肥(천고마비) : 하늘은 높고 말은 살찐다. 글 자 : 天(하늘 천), 高(높을 고), 馬(말 마), 肥(살찔 비)로 구성되어있다. 출 전 : 사기(史記) 흉노열전(匈奴列傳), 한서(漢書) 흉노전(匈奴傳) 비 유 : 맑고 상쾌한 가을 날씨 곧 가을은..
2022-09-06
제136강: 계륵(鷄肋) : 닭의 '갈빗대'라는 뜻으로 버리기는 아깝고 먹기에는 얻을 것이 없는 것 글 자 : 鷄(닭 계), 肋(갈비 륵, 갈빗대 륵) 출 전 : 삼국지(三國志) 위서(魏書), 나관중(羅貫中)의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비 유 : 어떤 것을 취해보아도 이..
2022-08-30
제135강: 一鳴驚人(일명경인) : 한 번 울면 사람들을 놀라게 한다. 글 자 : 一(하나 일), 鳴(울 명), 驚(놀랄 경), 人(사람 인/타인들을 지칭함) 출 전 : 사마천의 사기 골계열전(司馬遷 史記 滑稽列傳) 비 유 : 웅지(雄志)를 품은 자가 때를 기다리다가..
2022-08-23
제 134강: 隨序成志(수서성지) : 순서를 따르면 뜻을 이룬다. 글 자 : 隨(따를 수), 序(순서 서/차례 수), 成(이룰 성), 志(뜻 지). 출 처 : 여담천리(餘談千里), 한국의 고사성어(韓國의 故事成語) 비 유 : 어떤 일의 뜻을 이루고자 하면 그 일의 순서..
2022-08-16
제133강: 興淸亡請(흥청망청) : 흥에 겨워 마음껏 즐기며 거드럭거리는 모양 글자 : 興(일어날 흥) 淸(맑을 청) 亡(망할 망) 請(청할 청) 출전 : 성종실록(成宗實錄), 한국의 인간상(韓國의 人間像) 한국고사성어 비 유 : 돈이나 물건 따위를 아끼지 않고 함부로..
2022-08-09
제 132강: 橘中之樂(귤중지락) : 감귤 열매 속에서 나누는 즐거움 글 자 : 橘(귤나무 귤), 中 (가운데 중), 之(갈 지/어조사 지), 樂(즐거울 낙) 출 처 : 당(唐)나라 우승유(牛僧孺)의 현괴록(玄怪錄). 술이기(述異記) 망우청락당집 (忘憂淸樂堂集) 비 유..
2022-07-19
제 131강: 甘井先竭(감정선갈) : 물맛이 좋은 우물은 빨리 마른다. 글 자 : 甘(달 감) 井(우물 정) 先(먼저 선) 竭(다할 갈) 출 전 : 장자외편(莊子外篇) 제20편 산목(山木) 비 유 : 재주가 뛰어난 사람이 일찍 쇠(衰)함을 비유한 말 유능한 인재(人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