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류동사진관] 다시보는 충청의 역사적 순간 : ④ 93대전엑스포

[오류동사진관] 다시보는 충청의 역사적 순간 : ④ 93대전엑스포

제4편 대전엑스포의 상징들

  • 승인 2021-08-26 16:59
  • 수정 2021-09-02 14:23
  • 이성희 기자이성희 기자
컷-오류동사진관

 

 

 

 

 

93대전엑스포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게 마스코트인 꿈돌이다. 과학과 산업의 발전을 통한 미래상을 제시하고 꿈과 희망을 줄 수 있는 아기 외계인의 모습을 형상화했다. 

 

엑스포37
대전엑스포의 마스코트인 꿈돌이와 한빛탑의 모습.
꿈돌이의 성별은 남성이고 분홍색의 꿈순이라는 여성 짝꿍도 있었다. 당시 꿈돌이의 인기는 대단했다. 기념품점은 꿈돌이가 새겨진 기념품을 사려는 관람객들로 문전성시를 이뤘고 주요 포인트마다 설치된 꿈돌이와 기념사진을 찍으려는 사람들로 긴 줄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엑스포43
꿈돌이동산 개막식에도 참석한 꿈돌이와 꿈순이.
다양한 캐릭터와 마스코트가 등장하며 아이들의 슈퍼스타였던 꿈돌이는 잊혀져갔다. 그나마 엑스포장에 세워져 명색을 유지하던 모습도 엑스포 재창조사업이 시작되며 2014년 10월 철거돼 지금은 한빛탑에서 볼 수 있다.



20141022-엑스포과학공원 철거1
2014년 10월 엑스포 재창조사업에 의해 서문에 있던 꿈돌이가 철거되는 모습. 뒤로 서문의 상징이 보인다.
그런 꿈돌이가 다시 대중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마스코트 서바이벌 프로그램에서 1위를 차지하며 그동안 잊고 지내던 시민들의 향수를 자극, 각종 굿즈와 이모티콘으로 재탄생했다. 하지만 반짝 인기가 아닌 옛날의 영광을 다시 되찾기 위해선 저작권을 보유한 대전마케팅공사와 시민들의 더 많은 관심과 아이디어가 필요한 실정이다.

엑스포45
남문쪽에 세워져 있던 꿈돌이 조형물.
높이 93m의 첨성대 모양을 기초로 한 엑스포의 또 다른 상징물인 한빛탑은 30여 년이 돼가지만 아직 그 자리에 그대로 있다.



엑스포46
높이 93m를 자랑하는 대전엑스포의 또 다른 상징물 한빛탑.
위로 갈수록 뾰족한 모양을 나타내며 중간에 둥근 도넛을 끼운 모양인데 이 곳에 올라가면 대전 전망을 볼 수가 있다.

엑스포56
전망대까지는 엘리베이터를 타야지 올라갈 수 있었다. 당시 엘리베이터 버튼을 눌러주던 도우미의 모습도 보인다.
1층에서 전망대까지는 엘리베이터를 타고 가는데 올라가는 동안 우주세계를 구경할 수 있다. 지금은 코로나 시국에 많은 사람이 찾지 않아 한가히 구경할 수 있지만 93년에는 그야말로 핫플레이스로 자리매김하며 조금이라도 늦게 입장하면 관람을 포기할 정도였다. 엑스포다리와 더불어 대전을 상징하는 건축물로 남아 있다.

엑스포53
전망대 내부의 모습. 발 아래 투명창을 설치해 관람객의 긴장감을 유발시켰다.

엑스포58
한빛탑 기념품을 팔던 기념품점.
엑스포52
한빛탑의 야경 모습.
엑스포다리는 대전엑스포가 진행되는 동안 남문을 통해 입장한 관람객들이 가장 먼저 봤던 엑스포의 상징이었다.

엑스포55
남문을 통해 입장하면 가장 먼저 건너게 되고 구경하게 되는 엑스포다리.
갑천 위에 설치된 엑스포다리는 순수 보행 다리로 아치도장, 교량상판 방수도장, 보도 우드데크 설치 등 다리보행 환경개선을 통해 걷고 싶은 다리로 설치돼 있다.

엑스포48
한창 공사가 진행중인 엑스포다리의 모습.
코로나가 발생하기 전 1월1일11시11분11초에 맨몸마라톤이 진행되던 곳이기도 하다. 야간에 다리 점등 시 야경이 아름다워 전국의 사진작가들이 출사를 나오기도 하며 운동을 하는 시민들에게 또 다른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기도 하다.

엑스포54
93년 당시 갑천과 엑스포다리의 모습.

엑스포 야경
엑스포다리와 인근의 야경 모습. 사진작가들에게 인기가 있다.
다음 편부터는 대전엑스포의 전시관을 소개하기로 한다. 이성희 기자 token7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환자 목부위 침 시술 한의사, 환자 척수손상 금고형 선고
  3. 대전서 교통사고로 올해 54명 사망…전년대비 2배 증가 대책 추진
  4. 인천 연수구, ‘집회 현수막’ 단속 시행
  5. 인문정신 속의 정치와 리더십
  1. 대학 라이즈 사업 초광역 개편 가능성에 지역대학 기대·우려 공존
  2. 대전교육청 교육위 행감서도 전국 유일 교권보호전담변호사 부재 지적
  3. "행정수도 세종 완성, 당에서 도와달라"
  4. 당진읍성광장, 주민 손으로 활짝 펴다!
  5.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헤드라인 뉴스


충남도, 보령에 2조원 투입해 도내 3번째 AI 데이터센터 건립

충남도, 보령에 2조원 투입해 도내 3번째 AI 데이터센터 건립

충남 보령에 도내 3번째 AI 데이터센터가 들어선다. 도는 2조 원의 사업비가 투입되는 해당 센터를 통해 전력 절감, 일자리 창출 등의 기대효과가 있을 것이라 내다봤다. 김태흠 지사는 18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김동일 보령시장, 김용호 웅천에이아이캠퍼스 대표와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르면 웅천에이아이캠퍼스(이하 캠퍼스)는 보령 웅천산업단지 내 10만 3109㎡의 부지에 AI 특화 최첨단 데이터센터를 건립한다. 캠퍼스 측은 민관 협력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을 구성하고, 내년부터 2029년까지 2조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데이터..

대전시 국방·우주반도체 공급망 중심축 만든다
대전시 국방·우주반도체 공급망 중심축 만든다

K-방산 산업의 미래 경쟁력과 국가 안보를 위한 국방·우주반도체 개발 및 제조 생태계 구축에 대전시와 산학연이 뭉쳤다. 대전시와 KAIST,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화시스템, 대전테크노파크는 18일 시청에서 '국방·우주반도체 국내 공급망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이장우 대전시장, 이광형 KAIST 총장, 방승찬 ETRI 원장, 손재일 한화시스템㈜ 대표, 김우연 대전테크노파크 원장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국가 안보에 필수적인 국방·우주반도체 개발 및 제조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협약 기관들은..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 성황리 마무리… `풋살 기량 뽐냈다`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 성황리 마무리… '풋살 기량 뽐냈다'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11월 15~16일 이틀간 충남 청양공설운동장에는 선수들을 향한 환호와 응원으로 떠들썩했고, 전국에서 모인 풋살 동호인들은 신선한 가을 하늘 아래 그동안 갈고닦은 기량을 맘껏 뽐냈다. 중도일보와 청양군체육회가 공동으로 주최·주관하고, 청양군과 청양군의회가 후원한 이번 대회엔 대전, 세종, 충남, 충북 등 충청권 4개 시도를 비롯해 서울, 경기, 대구, 경북, 전북 등 전국 각지에서 선수들과 가족, 지인, 연인 등 2500여 명이 참여해 대회 분위기를 뜨겁게 달궜다. 이날..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