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천식 이슈토론] 연말연시 앞두고 현명한 ‘술 문화’ 위한 해법은?

[신천식 이슈토론] 연말연시 앞두고 현명한 ‘술 문화’ 위한 해법은?

21일 오전 중도일보 스튜디오
'술 마시며 건강하게 살아남기'주제

  • 승인 2022-11-21 16:52
  • 수정 2023-01-05 08:40
  • 신문게재 2022-11-22 3면
  • 한세화 기자한세화 기자
이슈토론1121
11월 21일 오전 중도일보 스튜디오에서 '술 마시며 건강하게 살아남기'라는 주제로 신천식의 이슈토론을 진행했다. 왼쪽부터 신천식 박사, 김종성 충남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사진=윤주원 기자>
2022년을 마무리하는 시점과 거리두기 해제가 맞물리면서 술자리 횟수가 급증하는 가운데 올바른 음주문화에 관한 해법으로 '과유불급(過猶不及)' 인식의 중요성이 제기됐다.

'술 마시며 건강하게 살아남기'라는 주제로 21일 오전 중도일보 스튜디오에서 열린 신천식의 이슈토론에는 김종성 충남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가 참석해 의학적 관점으로 바라보는 '건강하게 술 마시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제시했다.

시장조사 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전국의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2022 직장인 회식문화 관련 인식조사'(2022년 4월 13일~18일)를 진행한 결과, 코로나19 이전 회식의 유형 중 10명 중 9명꼴인 87.6%가 '2차까지 술자리'라는 응답이 나왔다.



김 교수는 "우리나라 정서 중 하나인 '배려'에 관한 태도가 음주문화에서도 여실히 반영돼 술을 잘 못 마시는 사람도 분위기나 상대의 눈치를 보면서 어쩔 수 없이 마시는 경우가 있다"며 "술을 마셨을 때 얼굴색 변화를 잘 봐야 한다. '아세트알데하이드' 물질이 체내에 반응하면서 피부색이 변하는 것이며, 붉은색으로 변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알코올로 인한 건강 손실이 훨씬 크다"고 설명했다.

회식 자리에서 흔히 마시는 '폭탄주'에 대해 김 교수는 "주로 맥주와 소주를 섞어 폭탄주를 만드는데, 의학적으로 맥주의 낮은 알코올 농도와 소주의 농도가 합쳐져 희석되는 농도로 체내에 흡수된다"고 덧붙였다.



예컨대, 소주 2~3잔은 혈중알코올농도 0.03으로 이성을 통제하는 '대뇌'를 마취시켜 말이 많아지는 경향을 보이며, 소주 1명은 혈중알코올농도 0.1로 균형과 운동을 담당하는 '소뇌'를 마비시켜 운전했을 때 큰 위험이 따르게 된다는 게 김 교수의 설명이다. 이에 국내는 물론 미국 등 해외 여러 국가에서는 0.08부터 단속을 강화하고 있다.

소주 3병을 마시게 됐을 때 일명 '필름이 끊기는' 증상으로 '중뇌'가 마취됐기 때문이며, 혈중알코올농도 0.4가 되면 뇌의 깊숙한 기관으로 심장박동과 호흡을 주관하는 '연수'가 마취돼 사망률이 발생하는 수치이기도 하다는 설명이다.

음주로 인한 '숙취' 해소를 위한 방법으로 곁들이는 안주의 종류가 중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김 교수는 "알코올의 흡수와 분해, 배출이라는 3단계로 볼 때, 흡수량을 적게 해주는 음식으로 고기나 우유 같은 단백질류를 추천한다"며 "알코올 분해 과정에서 필요한 NAD(조효소)가 많이 들어있는 음식으로 과일과 꿀, 콩나물 성분이 도움이 되며, 과당의 경우 최대 분해속도를 50% 이상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좋은 음주법'에 대해 김 교수는 "소주나 맥주, 막걸리, 와인 등 술의 종류에 따라 마시는 잔의 모양이 다르다. 주류별로 1잔에 들어가는 순수알코올이 14g이라는 점에서 옛 선인들의 현명한 음주문화를 엿볼 수 있다"며 "2018년 기준 전 세계 의학단체들이 권고하는 음주량으로 20도 소주의 경우 최대 2병을 넘지 말아야 하며, 억지로 술을 권하는 분위기에서 서로의 몸 상태를 배려해 자유롭게 마시는 술 문화로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세화 기자 kcjhsh9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베일 벗은 대전역세권 개발계획…내년 2월 첫삽 확정
  2.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 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업 놓고 '설왕설래'
  3. 전국 학교 릴레이 파업… 20일 세종·충북, 12월 4일 대전·충남
  4. [기고] 디지털포용법과 사회통합
  5. 어기구 의원, ‘K-스틸법’ 후속 국가재정법 개정안 대표 발의
  1. 양상추 가격 급등 현상에 대전 소상공인도 직격탄... 높아진 가격에 한숨만
  2.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3. '사건 25%↑' 대전경찰, 우수부서 찾아 시상…서부署·중부署 등
  4. 대전상의-국정원 '기업 기술유출 예방 설명회' 개최
  5. 설동호 교육감 시정연설 "모두 균등한 기회 누리는 든든한 대전교육 만들 것"

헤드라인 뉴스


충청권 집값 `온도차`… 대전·충남은 감소, 세종·충북은 상승

충청권 집값 '온도차'… 대전·충남은 감소, 세종·충북은 상승

충청권 부동산 가격이 지역별로 뚜렷한 온도차를 보이고 있다. 대전과 충남 집값은 여전히 하락세를 이어간 반면, 세종은 오름폭을 키우며 상승세를 이어갔다. 충북은 보합에서 상승으로 전환했다. 20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1월 셋째 주(17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전국 매매가격은 0.07% 올랐다. 전주(0.06%)보다 0.01%포인트 오른 수치인데, 서울과 수도권, 지방 모두 상승했다는 분석이다. 충청권에선 대전의 집값은 0.02% 내렸다. 올해 들어 꾸준한 하락세를 보이며 누적 하락률이 2.11%를 기록했..

특수공집방·국회법 위반 이장우 대전시장·김태흠 충남지사 유죄
특수공집방·국회법 위반 이장우 대전시장·김태흠 충남지사 유죄

국회 패스트트랙(Fast Track: 신속처리안건) 충돌 사건으로 기소된 이장우 대전시장과 김태흠 충남지사에게 유죄가 선고됐다. 당시 대표였던 황교안 전 국무총리와 원내대표였던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을 비롯한 자유한국당 인사들도 마찬가지다. 서울남부지법 형사합의 11부(장찬 부장판사)는 19일 오후 2시 특수공무집행방해와 국회법 위반 등의 혐의로 기소된 황교안 전 총리와 나경원 의원, 이장우 시장과 김태흠 지사 등 26명에 대한 선고 공판에서 유죄를 인정하고 벌금형을 선고했다. 나 의원은 특수공무집행방해 등 혐의로 벌금 2000만원,..

[단독] 대전 법동 으뜸새마을금고, 불법 선거 논란
[단독] 대전 법동 으뜸새마을금고, 불법 선거 논란

사상 첫 직선제로 이사장을 선출한 대전 대덕구 법동 으뜸새마을금고가 불법 선거 논란에 휩싸였다. 이에 대해 수사를 벌인 경찰은 최근 사전 선거 운동 혐의 등으로 올해 7월 당선된 이사장 A씨를 검찰에 넘긴 것으로 알려졌다. 20일 경찰과 법조계에 따르면 올해 법동 으뜸새마을금고 이사장에 선출된 A씨는 공식 선거 운동 예정일 전부터 실질적인 선거유세를 펼쳤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는 2021년 제6대 선거까지 간선제로 진행됐지만, 올해 치러진 제7대 선거는 금고 설립 이후 처음으로 전체 회원이 투표에 참여했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