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人칼럼] 목척교(木尺橋)

  • 오피니언
  • 문화人 칼럼

[문화人칼럼] 목척교(木尺橋)

조부연 도자디자이너

  • 승인 2024-04-03 17:41
  • 김지윤 기자김지윤 기자
조부연
조부연 도자디자이너
목척교는 대전광역시 동구 중앙동과 중구 은행동을 잇는 대전천의 교량이다. 현재 모습의 원형은 일제강점기인 1912년에 건설했던 폭 5m, 길이 70m 크기의 나무다리였다. 1929년에 콘크리트 교량으로 다시 지어졌다. 도시화 과정에서 하천을 숨기는 복개천(覆蓋川)이 속속 만들어질 때인 1974년 목척교는 묻혔다.

복개된 다리 양옆에 중앙데파트와 홍명상가가 들어섰다가 2008년 철거되면서 목척교가 다시 모습을 드러냈고 2010년 8월, 목척교 복원 및 구조물 설치 공사가 완료되었다.

목척교라는 이름이 붙은 설화가 두 가지 있다. 일제가 놓았던 나무다리 자리에는 원래 징검다리가 있었다고 한다. 새우 장수가 지게를 받쳐 놓고 쉬는 모습이 마치 목척(木尺) 같다고 하여 목척교라는 이름이 생겼다는 유래가 있다. 다른 하나는 일제가 만든 나무다리의 촘촘한 나무 기둥에서 유래했다는 설이다.

지난해 목척교와 주변의 수변공간을 새로 단장하는 '목척교 야간경관 개선사업'을 2023년 5월에 마무리했다. '대전 0시 축제'를 앞두고 개선 사업이 필요했을 것이다. 철재 조형물에 현란한 조명을 달아 매일 밤 레이저 조명 쇼를 연출한다. '대전 0시 축제와 연계해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할 계획'이라며 새로운 명소를 자랑했다.



필자는 그다지 좋아 보이지 않는다. 낮에 멀리서 바라본 목척교의 조형물은 목척교를 짓누르고 있는 것 같다. 생김새부터 불편하다. 게다가 주변의 도시 모습과 너무나 생경하다. 남북으로 이어지는 대전천의 흐름을 가로막는 거대한 철벽처럼 느껴진다. 보문고등학교 옆의 하상도로를 지나 목척교 방면으로 자주 차를 몰곤 한다. 그때마다 '저 철재 조형물을 걷어내면 어떨까'라는 상상을 항상 한다.

필자만의 생각일까 싶었다. '대전의 새로운 야간명소로 재탄생한 목척교'라는 일간지의 인터넷판 기사에 여러 개의 날 선 댓글이 달려있다. "목척교는 과거 홍명상가와 중앙데파트 시절이 제일 좋았더랬다. 거꾸로 가는 대전이다. 목척교 주변의 포장마차가 그립다. 교통혼잡만 만들어낸 세금 낭비다."라는 비판적인 댓글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밤에 화려하게 변신하는 목척교를 좋아할 것이라는 기대를 품고 치적으로 삼으려는 사람들이 있다. 하지만 우렁각시처럼 잠시 나타났다 사라지는 야경의 화려함이 전부가 아니다. 새벽부터 한밤까지, 레이저 조명이 켜지기 전까지의 목척교는 철재 조형물에 가려있다. 한낮에 다리 위를 오가는 행인과 분주히 움직이는 차량을 견뎌내는 목척교는 밤에도 쉬지 못한다.

마치, 철재 조형물은 목척교 교각 옆에 똬리를 틀고 앉아있는 뱀과 흡사하다. 자세히 들여다보면 목척교 교각 바로 옆에 무지막지한 콘크리트 기초를 만들고 철재 조형물을 올려놓았다. 해괴한 모양의 상부 구조물이 시선을 끌어 눈여겨보지 않으면 지나치기 쉽다. 모름지기 다리는 상판을 받치는 교각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멋진 다리는 기둥도 멋지다. 그런데 우리의 목척교, 기둥은 거대한 나무 그늘에 가려 키가 크지 못한 화초 같다. 거대한 철재 기둥에 가려 애처롭기까지 하다.

젊은 시절을 대전에서 보낸 사오 육칠 팔구십 먹은 대전시민이라면 홍명상가 앞 물다방을 모르는 이가 없을 것이다. 중앙데파트 앞 광장과 쌍벽을 이루는 만남의 장소였다. 밤이건 낮이건 약속 장소는 둘 중 하나였다. 커피 자판기에서는 쉴 새 없이 뜨거운 커피가 담긴 종이컵이 튀어나왔고 달큰한 커피향이 주변을 감쌌다.

해가 뉘엿해지면 중앙, 아카데미, 대전극장으로 삼삼오오 찾아들었고 깊은 밤이면 다시 모여 광장 주변 포장마차에서 연탄 내 맡으며 술에 취하곤 했다. 그때 포장마차의 백열등 불빛이 레이저 조명 못지않았다. 그 시절 우리는 광장에 서서 여명과 노을을 바라봤고 왕복 4차선 아래에 묻혀있던 목척교를 잊지 않고 있었다.

백 년 전 징검다리를 건너던 새우젓 장수가 목척교의 철재 조형물을 본다면 지게를 세우던 목척(木尺)을 휘두를 것만 같다. '깡깡 깡깡' 쇠기둥을 후려치는 소리가 귀에 들린다. 이 소리는 목척교 기둥 사이를 흐르며 이렇게 바뀐다. 목척교는 말한다. 제발 이 흉물을 걷어내 줘!

조부연 도자디자이너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진명 작가 '세종의 나라'에 시민 목소리 담는다
  2. 대전문화방송과 한화그룹 한빛대상 시상식
  3. 세종 '행복누림터 방과후교육' 순항… 학부모 97% "좋아요"
  4. 전교생 6명인 기성초등학교 길헌분교 초대의 날 행사
  5. 대한전문건설협회 대전시회, 한국건축시공학회와 업무협약 체결
  1. 사나래복지센터, 이웃들과 따뜻한 정 나누기 위한 사랑의 김장나눔
  2. [인터뷰]장석영 대한언론인회 회장
  3. 대전 향토기업 '울엄마 해장국'...러닝 붐에 한 몫
  4. 따르릉~ 작고 가벼운 '꼬마 어울링' 타세요!
  5. 세종시 빛축제, 시민 힘으로 다시 밝힌다

헤드라인 뉴스


"일본 전쟁유적에서 평화 찾아야죠" 대전 취재 나선 마이니치 기자

"일본 전쟁유적에서 평화 찾아야죠" 대전 취재 나선 마이니치 기자

"일본에서도 태평양전쟁을 겪은 세대가 저물고 있습니다. 80년이 지났고, 전쟁의 참상과 평화를 교육할 수 있는 수단은 이제 전쟁유적뿐이죠. 그래서 보문산 지하호가 일본군 총사령부의 것이었는지 규명하는 게 중요합니다."일본 마이니치 신문의 후쿠오카 시즈야(48) 서울지국장은 5일 대전 중구 보문산에 있는 동굴형 수족관 대전아쿠아리움을 찾아왔다. 그가 이곳을 방문한 것은 올해만 벌써 두 번째로 일제강점기 태평양전쟁의 종결을 앞두고 용산에 있던 일본군 총사령부를 대전에 있는 공원으로 옮길 수 있도록 지하호를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그..

학생·학부모 10명 중 8명 "고교학점제 폐지 또는 축소해야"… 만족도 25% 미만
학생·학부모 10명 중 8명 "고교학점제 폐지 또는 축소해야"… 만족도 25% 미만

올해 고1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고교학점제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도 시행 첫 학기를 경험한 응답자 중 10명 중 8명 이상이 '제도를 폐지하거나 축소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학생들은 진로 탐색보다 대학입시 유불리를 기준으로 과목을 선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종로학원은 10월 21일부터 23일까지 고1 학생과 학부모 47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75.5%가 '만족하지 않는다'고 답했다고 6일 밝혔다. 반면 '만족한다'는 응답은 4.3%, '매우 만족한다'는..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 개장 한달만에 관광명소 급부상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 개장 한달만에 관광명소 급부상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이 개장 한 달여 만에 누적 방문객 22만 명을 돌파하며 지역 관광명소로 주목받고 있다. 6일 대전시에 따르면 갑천생태호수공원은 9월 말 임시 개장 이후 하루 평균 7000명, 주말에는 최대 2만 명까지 방문하는 추세다. 전체 방문객 중 약 70%가 가족·연인 단위 방문객으로, 주말 나들이, 산책과 사진 촬영, 야간경관 감상의 목적으로 공원을 찾았다. 특히 추석 연휴 기간에는 10일간 12만 명이 방문해 주차장 만차와 진입로 혼잡이 이어졌으며, 연휴 마지막 날에는 1km 이상 차량 정체가 발생할 정도로 시민들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과학기술인 만남 이재명 대통령 과학기술인 만남 이재명 대통령

  • ‘사랑 가득한 김장 나눠요’ ‘사랑 가득한 김장 나눠요’

  • 수능 앞 간절한 기도 수능 앞 간절한 기도

  • 국민의힘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 국민의힘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