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人칼럼] 목척교(木尺橋)

  • 오피니언
  • 문화人 칼럼

[문화人칼럼] 목척교(木尺橋)

조부연 도자디자이너

  • 승인 2024-04-03 17:41
  • 김지윤 기자김지윤 기자
조부연
조부연 도자디자이너
목척교는 대전광역시 동구 중앙동과 중구 은행동을 잇는 대전천의 교량이다. 현재 모습의 원형은 일제강점기인 1912년에 건설했던 폭 5m, 길이 70m 크기의 나무다리였다. 1929년에 콘크리트 교량으로 다시 지어졌다. 도시화 과정에서 하천을 숨기는 복개천(覆蓋川)이 속속 만들어질 때인 1974년 목척교는 묻혔다.

복개된 다리 양옆에 중앙데파트와 홍명상가가 들어섰다가 2008년 철거되면서 목척교가 다시 모습을 드러냈고 2010년 8월, 목척교 복원 및 구조물 설치 공사가 완료되었다.



목척교라는 이름이 붙은 설화가 두 가지 있다. 일제가 놓았던 나무다리 자리에는 원래 징검다리가 있었다고 한다. 새우 장수가 지게를 받쳐 놓고 쉬는 모습이 마치 목척(木尺) 같다고 하여 목척교라는 이름이 생겼다는 유래가 있다. 다른 하나는 일제가 만든 나무다리의 촘촘한 나무 기둥에서 유래했다는 설이다.

지난해 목척교와 주변의 수변공간을 새로 단장하는 '목척교 야간경관 개선사업'을 2023년 5월에 마무리했다. '대전 0시 축제'를 앞두고 개선 사업이 필요했을 것이다. 철재 조형물에 현란한 조명을 달아 매일 밤 레이저 조명 쇼를 연출한다. '대전 0시 축제와 연계해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할 계획'이라며 새로운 명소를 자랑했다.



필자는 그다지 좋아 보이지 않는다. 낮에 멀리서 바라본 목척교의 조형물은 목척교를 짓누르고 있는 것 같다. 생김새부터 불편하다. 게다가 주변의 도시 모습과 너무나 생경하다. 남북으로 이어지는 대전천의 흐름을 가로막는 거대한 철벽처럼 느껴진다. 보문고등학교 옆의 하상도로를 지나 목척교 방면으로 자주 차를 몰곤 한다. 그때마다 '저 철재 조형물을 걷어내면 어떨까'라는 상상을 항상 한다.

필자만의 생각일까 싶었다. '대전의 새로운 야간명소로 재탄생한 목척교'라는 일간지의 인터넷판 기사에 여러 개의 날 선 댓글이 달려있다. "목척교는 과거 홍명상가와 중앙데파트 시절이 제일 좋았더랬다. 거꾸로 가는 대전이다. 목척교 주변의 포장마차가 그립다. 교통혼잡만 만들어낸 세금 낭비다."라는 비판적인 댓글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밤에 화려하게 변신하는 목척교를 좋아할 것이라는 기대를 품고 치적으로 삼으려는 사람들이 있다. 하지만 우렁각시처럼 잠시 나타났다 사라지는 야경의 화려함이 전부가 아니다. 새벽부터 한밤까지, 레이저 조명이 켜지기 전까지의 목척교는 철재 조형물에 가려있다. 한낮에 다리 위를 오가는 행인과 분주히 움직이는 차량을 견뎌내는 목척교는 밤에도 쉬지 못한다.

마치, 철재 조형물은 목척교 교각 옆에 똬리를 틀고 앉아있는 뱀과 흡사하다. 자세히 들여다보면 목척교 교각 바로 옆에 무지막지한 콘크리트 기초를 만들고 철재 조형물을 올려놓았다. 해괴한 모양의 상부 구조물이 시선을 끌어 눈여겨보지 않으면 지나치기 쉽다. 모름지기 다리는 상판을 받치는 교각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멋진 다리는 기둥도 멋지다. 그런데 우리의 목척교, 기둥은 거대한 나무 그늘에 가려 키가 크지 못한 화초 같다. 거대한 철재 기둥에 가려 애처롭기까지 하다.

젊은 시절을 대전에서 보낸 사오 육칠 팔구십 먹은 대전시민이라면 홍명상가 앞 물다방을 모르는 이가 없을 것이다. 중앙데파트 앞 광장과 쌍벽을 이루는 만남의 장소였다. 밤이건 낮이건 약속 장소는 둘 중 하나였다. 커피 자판기에서는 쉴 새 없이 뜨거운 커피가 담긴 종이컵이 튀어나왔고 달큰한 커피향이 주변을 감쌌다.

해가 뉘엿해지면 중앙, 아카데미, 대전극장으로 삼삼오오 찾아들었고 깊은 밤이면 다시 모여 광장 주변 포장마차에서 연탄 내 맡으며 술에 취하곤 했다. 그때 포장마차의 백열등 불빛이 레이저 조명 못지않았다. 그 시절 우리는 광장에 서서 여명과 노을을 바라봤고 왕복 4차선 아래에 묻혀있던 목척교를 잊지 않고 있었다.

백 년 전 징검다리를 건너던 새우젓 장수가 목척교의 철재 조형물을 본다면 지게를 세우던 목척(木尺)을 휘두를 것만 같다. '깡깡 깡깡' 쇠기둥을 후려치는 소리가 귀에 들린다. 이 소리는 목척교 기둥 사이를 흐르며 이렇게 바뀐다. 목척교는 말한다. 제발 이 흉물을 걷어내 줘!

조부연 도자디자이너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의정부시, 시민 김지민 씨 저소득층에 성금 100만 원 전달
  2. 김해시, 2026년 노인일자리 7275명 확대 모집
  3. 인천 미추홀구, ‘시 특색 가로수길 평가’ 최우수기관 선정
  4. 대전을지대병원, 바른성장지원사업 연말 보고회 개최
  5. 대전상의, 청양지회-홍성세무서장 소통 간담회 진행
  1.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2. 이장우 시장 맞은 충남대병원, "암환자 지역완결형 현대화병원 필요" 건의
  3. 공공사업 낙찰 규모 계룡건설산업 연말에 1위 탈환할까
  4. 노사발전재단 충청중장년내일센터, '대전 기업 밋업데이' 개최
  5. 대청호 가을녹조도 하향추세…조류경보 '관심'으로

헤드라인 뉴스


`K-스틸법` 국회 본회의 통과… 대한민국 철강산업 재도약 발판

'K-스틸법' 국회 본회의 통과… 대한민국 철강산업 재도약 발판

침체를 겪는 대한민국 철강산업의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할 이른바, ‘K-스틸법’이 27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국가 경제의 탄탄한 동력을 확보하게 됐다. 충청 의원들이 대표 발의한 여러 민생법안들도 국회 문턱을 넘었으며, 여야 갈등의 정점인 국민의힘 추경호 의원 체포동의안도 국회 가결됐다. 국회는 이날 오후 본회의장에서 여야 합의로 상정된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및 탄소중립 전환을 위한 특별법안’(K-스틸법)에 대한 표결을 진행한 결과, 재석 의원 255명 중 찬성 245명, 반대 5명, 기권 5명으로 가결했다고 밝혔다. K-스틸..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