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포함 충청권 '간호·간병 서비스' 전국 최저 수준

  • 정치/행정
  • 세종

세종시 포함 충청권 '간호·간병 서비스' 전국 최저 수준

건보공단, 6월 25일 서비스 활성화 방안 세미나 개최
서비스 참여 기관과 병상수 비중, 의료 취약지, 간호사수 등 실태 공개
세종시 비롯한 충청권, 병상수와 참여 비중, 의료취약지, 인구 천명당 간호사 전반 열악

  • 승인 2024-06-26 07:43
  • 수정 2024-06-26 15:19
  • 이희택 기자이희택 기자
KakaoTalk_20240625_175054533_01
25일 토론회 참가자들이 패널들의 발언을 주의 깊게 듣고 있다. 사진=건보공단 제공.
세종시를 비롯한 충청권 간호·간병 통합 서비스가 타 지역 대비 크게 열악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보호자 등이 상주하지 않고 간호사와 간호조무사 및 그 밖의 간병 지원인력에 의해 포괄적으로 제공되는 입원 서비스를 뜻하는데, 부모님 등의 간병 치료에 공백이 발생하고 있다는 진단이다. 2015년 시범사업으로 시작한 뒤 2023년 12월 21일 개선안 발표 등 상황은 조금씩 나아지고 있다.

충청권의 현주소는 25일 오후 2시 세종시 아름동 국민건강보험공단 대전·세종·충남지역본부 2층 대회의실에서 열린 간호·간병 통합 서비스 지역발전 활성화 방안 세미나에서 수면 위에 올라왔다.

건보공단이 이날 공개한 자료를 보면 2023년 기준 전국의 서비스 참여 가능 대상기관은 1543곳이며 이중 충청권은 상급종합 4곳과 종합병원 33곳, 병원 101곳 등 모두 138곳(8.94%)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인천·경기 24.43%, 서울·강원 20.29%, 부산·울산·경남 19.44%, 광주·전라·제주 16.53%, 대구·경북 10.37%과 비교하면 최하위 수준이다.



참여 기관의 병상수(일반 병상 제외) 비중도 낮았다. 전체 17만 7787개 중 1만 6916개(9.51%)로, 인천·경기 31%, 부산·울산·경남 20.9%, 서울·강원 20.2%보다 절반 이상 낮았다.

상급 종합은 2550개, 종합병원은 7510개, 병원은 6856개를 확보하고 있다. 여기서 통합 병상 수는 상급 685개, 종합 3334개, 병원 2264개를 더한 6441개로 파악됐다.

전국적인 간호·간병 의료 취약지 96곳 중 19곳(19.4%)도 충청권의 몫이 됐다. 의료취약지로 분류된 충남 당진과 보령, 예산의 의료기관은 각 3개, 서산은 각 2개, 청양과 태안은 아예 없었다. 충북에선 단양이 1개도 없고 충주가 5개, 음성 및 괴산이 각 2개에 그쳤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분석 결과도 열악한 간호·간병 서비스 실태를 보여줬다. 병실 침대에서 떨어지는 등의 낙상 사고율은 올해 38.31%p 증가로 전국 평균(32.61%p)을 상회했다.

인구 1000명 당 간호사 수에선 세종시가 2.67명으로 가장 적었다. 대전(6.11명)과 충남(3.47명), 충북(3.69명) 등 주변 지역에 비해서 크게 낮았다. 타 지역에선 광주가 7.23명, 대구가 6.79명, 부산이 6.71명, 서울이 6.66명으로 상위에 자리했다.

세종시는 간호사 사직률에서도 37%로 불명예 1위를 기록했다. 대전(24.2%)과 충북(20.4%), 충남(19.2%), 광주(22.4%), 인천·경기(21.7%) 등과 격차가 컸다.

이 같은 실태 아래 간호·간병 서비스 참여율도 낮았다. 충청권에선 병원 기준 미참여율이 논산 100%, 홍성 91.7%, 서산 90%, 세종 87.5%로 전국 상위에 올랐고, 병상 기준 미적용 비율은 논산 100%, 세종 95.3%, 서산 94.5%, 공주 94.2%, 홍성 92.4%, 충주 90.4%, 청주 83%, 제천 82.1%, 천안 76%, 대전 동부 74%, 서부 68.4%로 집계됐다.

전문 진료 질병군의 자체 입원 충족률 역시 세종은 29.7%에 그쳤다. 대전은 85.6%, 충남은 62.3%, 충북은 69.5%, 서울은 87.7%로 의료 서비스 격차를 여실히 드러냈다.

이날 참가자들은 충청권 간호·간병 서비스 실태를 접하면서 다양한 우려를 쏟아냈다. 시간이 지나면, 자신의 가족을 떠나 당사자에게 다가올 현실이기 때문이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한화이글스의 도전이 끝나는 순간! 마지막 육성응원 최강한화 1
  2. 대전의 가을밤을 뜨겁게 달군 과학관 응원단장! 한화팬-대전시민여러분께 1
  3. 대전사랑메세나, 취약계층과 지역주민이 함께한 '더 노은로 작은음악회' 성료
  4. 샛별재가노인복지센터, 가을나들이 행사 진행
  5. 식장산부터 장동까지 평화견학…제8회 평화발자국 참가자 모집
  1. 대전과학기술대 여자 배드민턴부, 전국종별배드민턴대회 3위 쾌거
  2. 군의관과 간호장교 부부에서 시작, 을지재단 창립 69년 기념식
  3. 심사평가원 대전충청본부, 보건의료지원단 빅데이터 역량 교육
  4. 건양사이버대-대덕파트너스, 미래 인재 양성 위해 맞손
  5. 육군군수사령부, '미식별 선박 대응체계 고도화' 발표 32사단 최우수상 선정

헤드라인 뉴스


대전 부동산시장 "민간임대 비율 조정" 목소리 커져

대전 부동산시장 "민간임대 비율 조정" 목소리 커져

지방에서 미분양이 쏟아지는 등 부동산 한파가 심각한 가운데 지방 도시개발사업에서 천편일률적인 임대주택건설 의무 비율 조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대전시는 이 같은 여론을 주시하면서 지역 부동산시장의 면밀한 분석을 통한 '조정'카드를 만지작 거리고 있어 주목된다. 민간임대주택의 장점과 수요를 침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건설 경기 부양 등 지역경제 활성화까지 염두한 최대공약수 찾기에 나선 것이다. 최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9월까지 분양이 이뤄진 아파트 단지 청약 미달률은 1순위 기준 41.9%에 달했다. 반면 서울만 0%를..

`호남고속도로지선 확장 공사`예타 통과
'호남고속도로지선 확장 공사'예타 통과

대전의 숙원 사업인 '호남고속도로지선 확장 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함에 따라 충청과 호남의 축 병목 해소에 청신호가 켜졌다. 최근 대전시에 따르면 '호남고속도로지선 확장 사업'은 10월 31일 기획재정부 제10차 재정사업평가위원회 예비타당성조사 심의 결과 최종 통과했다. 이 사업은 총사업비 3522억 원 규모로 호남고속도로지선 서대전분기점~회덕분기점 구간(총 18.6㎞)이 4차로에서 6차로로 확장하는 사업이며 사업기간은 약 8년으로 계획하고 있다. 대전시와 지역 정치권은 이 구간을 '충청·호남을 잇는 병목지점'으로 지목하며..

대전 소상공인·전통시장 경기 체감 지수 상승 뒤 유지... 11월 전망지수도 `밝음`
대전 소상공인·전통시장 경기 체감 지수 상승 뒤 유지... 11월 전망지수도 '밝음'

대전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상인들이 느끼는 경기 체감 지수가 상승 곡선을 그린 뒤 유지하고 있다.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원 등으로 반등한 지수가 우상향하고 있는 것인데, 11월 경기 상황을 내다보는 전망 지수도 올라서면서 경기가 나아질 것이란 희망을 내비친다. 2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발표한 '소상공인시장 경기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대전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상인들의 10월 경기 체감 지수는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원으로 상승한 이후 평행선을 유지 중이다. 경기 동향 조사는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사업체 운영자의 체감 경기 파악..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