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남도청 전경<제공=경남도> |
감사에서 조인종 의원은 "도민 330만 명을 대상으로 한 매체임에도 개인 구독률이 0.1% 수준에 불과하다"며 홍보 부족 문제를 강하게 비판했다.
현재 '경남공감'은 매월 3만 부를 우편으로 발송하고, 1만2000부는 시·군·읍·면·동 행정기관 및 유관기관에 배부하고 있다.
그러나 의원들은 이 같은 배포 방식이 실질적인 정보 전달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일부 지역에서는 행정기관이 정기적으로 구독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배부 대상에 포함돼 있어 불필요한 예산 낭비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
또한, 기관 및 단체에 배포된 홍보지가 도민들에게까지 전달되지 못하고 그대로 방치되거나 폐기되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어 실질적인 홍보 효과에 대한 의문이 제기됐다.
조 의원은 "구독자 수가 낮은 이유는 단순한 인쇄 배포 방식에 의존한 결과"라며 "도민이 직접 구독을 신청하고, 필요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구독 유도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공보관실 관계자는 "온라인 뉴스레터를 병행해 홍보 효과를 높일 계획"이라며 "향후 온라인 구독 서비스를 강화하고, SNS·포털사이트와의 연계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구독자 확대를 위한 도민 대상 홍보 캠페인 진행 및 콘텐츠 개선 작업을 추진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일부 의원들은 "단순한 배포 방식 개선만으로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않는다"고 주장하며 "실제 도민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담아 흥미를 유발하는 방향으로 콘텐츠를 개편하는 것이 우선"이라 강조했다.
한편, 타 지자체 도정 홍보지 운영 방식을 참고해 '경남공감' 운영 방향을 재정비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예를 들어, 충청북도의 '충북소식'은 유튜브와 SNS 플랫폼을 적극 활용해 매월 1만 명 이상 신규 구독자를 유치하고 있으며, 모바일 앱을 통해 도정 뉴스를 실시간 제공하고 있다.
이에 비해 '경남공감'은 여전히 인쇄 중심 배포 방식에 의존하고 있어 디지털 미디어 환경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도의회는 '경남공감'이 단순 발행량 확대보다 도민과의 실질적인 소통 창구로 기능할 수 있도록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온라인 플랫폼 활용, 콘텐츠 차별화, 구독 유도 전략 강화 등의 방안을 마련해 도정 홍보의 효과를 높여야 한다는 것이 의원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경남=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