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각종 청년 정책을 소개하는 창원청년정보플랫폼<제공=창원시> |
주거 안정부터 일자리, 교육, 문화까지 아우르는 종합 대책을 통해 청년이 머무르는 도시를 만든다는 목표다.
◆ 청년 주거 안정, 2028년까지 2000호 공급
시는 '청년 주거 기본조례'와 '공공기여형 청년주택 등 지원 조례'를 지난 10일부터 시행했다.
청년 주거 정책을 한시적 지원에서 중장기 대책으로 전환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이다.
올해 348호를 포함해 2028년까지 2000호의 청년주택을 공급할 계획이다.
청년 월세 지원, 신혼부부 전세자금 대출이자 지원, 주거 피해 예방 정책도 강화한다.
◆ 양질의 일자리 지원, 청년 취업 활성화
시는 신산업 연계 일자리 사업(150명), 일경험 지원사업(50명) 등을 운영해 청년들의 실무 경험을 지원한다.
구직단념 청년 1240명에게 맞춤형 취업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최대 350만 원의 수당과 인센티브를 지급한다.
청년 기술창업 수당(월 최대 70만 원)과 청년 창업 아이디어 경진대회를 통해 창업 지원도 확대한다.
청년내일통장(500명)과 모다드림 청년통장(200명) 등 자산 형성 지원도 추진한다.
◆ 고급인재 양성, 교육환경 개선
시는 지역 대학 및 특성화고와 협력해 산업 맞춤형 교육을 강화한다.
특성화고 5곳과 연계한 실무 교육을 확대하고, 창원대학교의 첨단과학기술 단과대학 설립도 지원한다.
경남대학교의 글로컬대학 본지정 추진과 지역 대학 RISE 사업 연계를 통해 청년 인재 육성을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 청년 문화 기반 확충, 생활 만족도 향상
시는 '청년 스포츠패스' 지원 대상을 확대하고, 청년 문화예술복합공간 '스펀지파크'를 활성화한다.
청년 커뮤니티 공간 '청년꿈터' 4곳을 선정해 3월부터 운영하며, 청년 콘텐츠 산업 지원에도 19억 원을 투입한다.
'창원 콘텐츠컨벤션' 개최, 청년 문화예술패스(최대 15만 원) 지원 등으로 청년 문화 기반을 강화한다.
홍남표 시장은 "청년이 정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인구 유출을 막고, 지속가능한 청년 친화 도시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창원=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