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창원시청 전경<제공=창원시> |
그러나 지난해 행정사무감사에서 이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면서, 민간 유치 전략 부실과 추가 재정 부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창원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의원들은 창원문화복합타운 운영자 공모가 계속 실패하고 있는 원인을 집중적으로 지적했다.
특히 3층부터 6층까지 공간이 미완공 상태로 방치돼 있으며, 이 공간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최소 50억~100억 원 인테리어 공사가 추가로 필요하다는 점이 걸림돌로 작용했다.
시의회 한 의원은 "애초부터 미완성된 공간을 포함한 운영자를 모집하면서, 민간 투자 유치를 기대한 것이 현실성이 없었다"며 "시설 완공 후 공모를 진행했어야 했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창원시 투자유치단장은 "불확실한 시장 상황과 운영자 모집의 어려움 때문에 공공 운영으로 전환할 수밖에 없었다"며 "민간 공모가 실패할 위험이 커서 창원문화재단이 운영하는 방안으로 결정했다"고 답변했다.
공공 운영 전환에 따라, 추가적인 시 재정 부담 문제가 불가피하다는 점도 행정사무감사에서 거론됐다.
의원들은 "시설 미완공 상태에서 운영 주체를 찾는 것은 어렵다는 것이 명확한데, 이를 고려하지 않고 공모를 추진한 것은 행정의 무책임한 태도"라고 지적했다.
또한 "공공 운영으로 전환할 경우, 시민 세금이 추가적으로 투입될 수밖에 없다"며 "공사비 조달과 운영비 절감 대책을 철저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투자유치단장은 "문화재단이 운영을 맡게 되면, 시비(市費)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다양한 대안을 검토하겠다"며 "예산 부담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찾겠다"고 답변했다.
시의회는 창원시가 단순히 운영 주체를 공공으로 전환하는 것에 그칠 것이 아니라, 문화복합타운의 운영 방향과 활용 계획을 명확히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시민들이 실질적으로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시설 활성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의원들은 "창원문화복합타운이 단순히 세금이 투입되는 문화 공간이 아니라, 지속 가능한 운영이 가능한 시설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시가 적극적인 계획을 마련해야 한다"며 "운영 성과를 정기적으로 평가하고, 필요 시 민간 재위탁도 고려하는 유연한 운영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창원시는 향후 시설 완공 계획과 예산 확보 방안을 구체적으로 수립하고, 시민 의견을 반영한 운영 방향을 제시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창원문화복합타운이 세금 낭비 논란을 벗어나 실질적인 문화 활성화의 거점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창원=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