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단편영화 '삼겹살' 인도 케랄라영화제 출품…"외국인 한국생활 보여주는 소재"

  • 문화
  • 영화/비디오

대전 단편영화 '삼겹살' 인도 케랄라영화제 출품…"외국인 한국생활 보여주는 소재"

인도 케랄라 영화제 상영작에 '삼겹살'
베트남 유학생 대전 적응기 담은 영화
8월 30일 대전서 국제단편영화제 개막

  • 승인 2025-03-22 08:02
  • 수정 2025-03-24 18:48
  • 신문게재 2025-03-24 7면
  • 임병안 기자임병안 기자
화면 캡처 2025-03-22 075326
배기원 감독의 단편영화 '삼겹살'이 인도 케랄라 영화제에서 상영된다.
대전을 배경으로 제작한 배기원 감독의 단편영화 '삼겹살'이 인도 제5회 케랄라 영화제 상영작으로 결정됐다. 인도 최남단 케랄라 주에서 주로 예술 및 독립 영화를 초청해 매년 개최되는 영화제로, '삼겹살'은 4월 인도에서 상영될 예정이다. 단편영화 삼겹살은 배기원 감독이 대전을 배경으로 유학생들의 낯선 한국 적응기를 담은 2024년 영화다. 베트남에서 유학 온 학생 밍과 그녀의 동생 비 대전에서 대학교 수업을 받으며 틈틈이 아르바이트하면서 겪는 어려움과 이를 극복하는 과정을 그렸다. 지난해에는 영화 출연 배우의 고향인 베트남 다낭에서 상영회를 개최해 뜨거운 호응을 얻은 바 있다.

2024년 기준 대전시에 거주하는 외국인은 총 2만5583명으로 이중 유학생은 9585명으로 대전 거주 외국인 중 37.5%가 학생이다. 대전 거주 외국인의 국적은 베트남(9241명)이 가장 많고 중국(4160명) 순이다.

KakaoTalk_20250322_074817013_edited
단평영화 '삼겹살'을 연출한 감독과 출연 배우가 3월 20일 청춘학교에서 관객과 만나 대화하는 시간을 가졌다.  (사진=임병안 기자)
영화를 제작한 대흥영화사는 케랄라 단편영화제 상영을 앞두고 3월 20일 은행동 청춘학교에서 감독과 배우가 관객을 만나 대화(GV)하는 시간을 가졌다. 영화 상영 후 배우와 관객 30여 명은 실제로 삼겹살을 구우며 대화했다. 영화 '삼겹살'에서 주인공 '밍'으로 출연한 레티탄냔 씨는 이날 "코로나19가 한창 유행할 때 한국에 입국해 격리되고 아르바이트를 구할 수 없어 어려웠던 때가 가장 기억에 남는다"라며 "연기는 이번이 처음이었지만 감독님과 친구들이 많이 도와줘 잘 마칠 수 있었다"라고 소회를 밝혔다. 영화에서 '밍'의 여동생으로 등장하는 또 다른 주인공 '비' 역의 황티민투 씨는 목원대에서 2개 학과를 복수 전공할 정도로 학업에 몰두하는 과정에 영화까지 촬영했다. 황티민투 씨는 "작년 여름 무척 더울 때 고생하며 연기했던 게 어제 일처럼 기억되고 베트남에서 익힌 전통무용을 영화에서 선보일 수 있어서 무척 좋았다"고 전했다. 영화에서 '뒤엣니' 역으로 등장하는 베트남 국적의 '응웬티뒤엣니' 씨는 목원대에서 연극영화영상학부에 재학하며 연출에도 관심을 갖는 영화 학도다. 응웬티뒤엣니 씨는 "영화에서 삼겹살은 외국인이 한국에 와서 어떻게 생활하는지 보여주는 소재인데 출연 후 많은 분들의 응원을 받아 감사한 마음을 갖고 있다"라고 밝혔다.

배기원 감독은 재개발지역에서 전개되는 철거민과 용역인부의 갈등을 비춰 인간사회의 부조리를 묘사한 '인터뷰-사죄의 날' 영화로 2017년 프랑스 칸 국제영화제에 초청받은 바 있고, 2021년 소제동을 배경으로 한 '하루', 3·8민주의거를 담은 '대전, 1960', 조선후기 대덕구 송촌동 김호연재의 삶을 담은 '화전놀이'를 제작했다.



배 감독은 "지난해까지 3회째 개최한 대전국제하루영화제를 올해 8월 30일 엑스포시민광장에서 대전국제단편영화제라는 이름으로 이어서 개최할 예정"이라며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자생 가능한 영화제가 대전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형 라이즈' 13개대학 643억 투입 83개 과제별 사업 수행
  2. 대선정국 도심단절 철도 도로 입체화 관철시급
  3. 이재명, 사법 리스크 극복하고 세 번째 대권 도전 성공할까
  4. 대전 기간제 교사 5년간 400여명 늘었다… 정교사는 감소세
  5. SKT 유심교체 첫날, 대전 대리점 곳곳 긴 줄… 노년층 혼란 극심
  1. [기고] 대전·충남 통합의 과제와 전망
  2. 대전 당원 만난 한동훈 대선 경선 후보
  3. "충남미술관 성공적 건립 위해" 지역 예술계 상생·협력의 장 마련
  4. 유심 교체의 긴 줄
  5. 늘봄학교 이후 수입 줄어… 설자리 잃은 방과후 강사들

헤드라인 뉴스


대전 토끼봉에 일제 방공호 2개 "길목에 만든 일본군 참호"

대전 토끼봉에 일제 방공호 2개 "길목에 만든 일본군 참호"

대전에서 충북 옥천을 잇고 한때는 청주 방향으로 분기하던 교통 요충지에서 일제강점기 방공호 동굴 2개가 추가로 확인됐다. 밖에서 동굴 입구가 보이지 않도록 벽을 세워 숨겼고, 산봉우리 아래 4개의 동굴을 각기 다른 방향으로 팠다는 증언까지 나왔다. 대전 동구 신상동 오리골마을에서 만난 송정의(91) 옹은 벚꽃길로 유명한 회남로 주변에 일제강점기 조성된 동굴에 대해 증언했다. 백남우 대전향토문화연구회장이 마을 역사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지하 방공호 이야기를 듣고 세상에 알려지게 됐다. 이곳은 1975년 대청댐이 준공되어 수몰되기 전에는..

5월 충북 1448세대 분양… 대전·세종·충남 분양 없어
5월 충북 1448세대 분양… 대전·세종·충남 분양 없어

충청권 내 5월 아파트 분양은 1400여 세대 규모로 모두 충북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세종·충남은 분 물량이 없어 '공급 절벽'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28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5월 전국 분양예정 물량은 22개 단지 1만 7176세대(일반분양 1만 1065세대)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일 실적과 비교해 7% 줄어든 물량이다. 권역별로 보면, 수도권 1만1697세대, 지방 5479세대가 공급된다. 전국적으로 보면 수도권은 ▲경기 6603세대 ▲서울 4333세대 ▲인천 761세대가 예정돼 있고, 지방은 ▲부산..

예산 급감·정부 무관심 ‘도심융합특구’, 정치권이 불씨 살린다
예산 급감·정부 무관심 ‘도심융합특구’, 정치권이 불씨 살린다

정부가 지역소멸 해결을 위해 추진한 ‘도심융합특구’ 조성사업이 방치되면서 정치권을 중심으로 불씨를 되살리려는 노력이 구체화 되고 있다. 도심융합특구 사업을 추진 중인 5대 광역시의 국회의원들은 포럼을 만들어 공동대응에 나서고, 사업에 필요한 원활한 재원 확보를 위한 법률 개정안도 발의됐다. 우선 국회 도심융합특구발전포럼(포럼)은 4월 29일 오후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출범식을 개최하고, 국회와 지방자치단체, 정부, 민간, 학계 등이 모여 도심융합특구 추진 전략을 발표하는 자리를 가진다. 도심융합특구는 판교 테크노밸리를 모델 삼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당원 만난 한동훈 대선 경선 후보 대전 당원 만난 한동훈 대선 경선 후보

  • 향토기업과 함께 대선 홍보…선거 김 출시 향토기업과 함께 대선 홍보…선거 김 출시

  • 유심 교체의 긴 줄 유심 교체의 긴 줄

  • 내가 만든 모형항공기 하늘로 슝~ 내가 만든 모형항공기 하늘로 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