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다문화] 아빠에게 보내는 노란 장미

  • 다문화신문
  • 대전

[대전다문화] 아빠에게 보내는 노란 장미

  • 승인 2025-06-04 15:56
  • 신문게재 2025-06-05 9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5월 8일은 한국에서 어버이날이다. 어버이날은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날이다. 일본에도 부모님께 감사의 인사를 전하는 날이 있는데 바로 '어머니의 날'과 '아버지의 날'이다.

한국과는 다르게 어머니의 날과 아버지의 날이 각각 따로 있다. 어머니의 날은 매년 5월 둘째 주 일요일이고 아버지의 날은 6월 셋째 주 일요일이다. 사실 둘 다 미국에서 시작됐다. 어머니의 날은 미국의 안나 자비스란 여성이 자신의 어머니를 추모하기 위해 교회 신도들에게 흰 카네이션을 나누어준 데서 유래했다. 이후 1914년 미국 윌슨 대통령이 5월 둘째 주 일요일을 '어머니의 날'로 지정했고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아버지의 날은 어머니의 날보다 조금 늦게 생겼다. 1909년 어머니의 날 축하 행사에 참석했던 한 여성이 "왜 아버지의 날은 없는 걸까?"라고 생각하면서 아버지의 날 제정 운동을 시작했다. 그렇게 1910년 6월 셋째 주 일요일에 첫 번째 아버지의 날 축하 행사가 열렸고 현재는 미국뿐 아니라 일본, 중국 등 다양한 국가에서 기념일로 자리 잡았다.

일본에선 1950년대부터 아버지의 날이 있었지만 그땐 아는 사람이 별로 없었다고 한다. 아버지의 날이 대중화되기 시작한 건 1980년대다. 그때부터 유명인들 사이에서 멋진 아빠를 뽑는 '베스트 파더상'이란 시상식이 생겼고 점차 확산되었다.



일본엔 어머니날과 아버지날에 각각 다른 꽃을 선물하는 전통이 있다. 어머니날엔 빨간 카네이션을 주고 아버지날엔 노란 장미를 준다. 노란 장미엔 '아름다움', '헌신' 같은 뜻이 담겨있다. 1981년 만들어진 일본 파더스데이위원회가 개최한 '아버지의 날 노란 리본 캠페인'이 계기였다. 노란색엔 사랑하는 이의 안녕을 바라는 의미가 있어 노란 해바라기, 노란 가베라 그리고 노란 넥타이 같이 일상생활에 쓸 수 있는 물건들을 선물하기도 한다.

하지만 최근 일본의 한 기업이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아버지들은 감사의 말이나 편지를 가장 받고 싶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다음으로는 자녀들이 그려준 그림이라고 답했다.

어느새 한국의 어버이날은 지났지만, 다가오는 6월 셋째 주 일요일(6월 15일)에 아빠에게 노란색 선물이나 직접 쓴 편지를 주면서 평소 전하지 못한 고마움을 표현해 보는건 어떨까?

시바타노조미 명예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시, 나노반도체 국가산단 축소 해명 나서
  2. 새정부 유일 충청 출신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 ‘지명 철회’
  3. 한솔제지 "신탄진공장 사망사고 근로자 깊은 애도"
  4. 폭우 구름띠 좁고 강해졌는데 기상관측망은 공백지대 '여전'
  5. 폭우 지나고 폭염·열대야 온다…당분간 곳곳 소나기
  1. 자연계 강세 4년째 지속… 인문계와 격차 벌어져
  2. 나흘간 물폭탄에 충청권 3명 사망·1명 실종, 이재민 965명 (종합 2보)
  3. 3년째 축소된 지방교육재정, 전국교육감들 "깊은 우려… 축소 논의 멈춰야"
  4. [한성일이 만난 사람-성지순례 특집]세계평화를 위한 한국가톨릭순례단 동행 취재
  5. '법인카드 유용 의혹' 이진숙, 경찰 2차 출석…7시간 조사

헤드라인 뉴스


[대전 둔산지구의 새로운 미래를 그리다] 대전 둔산지구의 탄생과 번영…그리고 변화의 기로

[대전 둔산지구의 새로운 미래를 그리다] 대전 둔산지구의 탄생과 번영…그리고 변화의 기로

대전 둔산(屯山) 신도시가 30년을 넘기며 변곡점을 맞이하고 있다. 최근 노후계획도시 정비 특별법이 마련되면서 둔산의 미래를 새롭게 그릴 기회가 열리면서다. 둔산은 과거 군부대가 다수 주둔하던 작은 군사도시에서 행정, 경제, 문화가 집약된 중심지로 성장했다. 이제는 대전의 '강남' 또는 '심장'이라 불릴 정도로, 지역의 상징적인 계획도시다. 하지만 둔산 신도시도 세월의 흐름에 따라 노후화된 인프라와 기존 도시 계획의 한계를 마주한 게 현실이다. 도시 미래를 새롭게 디자인할 기회가 어렵게 찾아온 만큼, 단순 주거 재건축을 넘어 미래세..

이진숙 후보 낙마 왜?”… 분열한 충남대·침묵한 대전 국회의원
이진숙 후보 낙마 왜?”… 분열한 충남대·침묵한 대전 국회의원

“사안으로 보면 강선우 후보가 더 문제 아니냐.”“지역대 총장 출신이라 희생양이 된 거다.”“대전 국회의원들은 엄호했어야 했다.”“충청 출신 장관이 1명은 있어야 하지 않나.”이재명 정부 초대 신임 내각 후보 중 유일하게 충청 출신이던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의 낙마를 놓고 여러 반응이 나오고 있다.집권당 내에서 별다른 조력자조차 없이 장관 후보까지 지명돼 기대감을 모았던 이 전 후보. 인사청문회에서도 여러 논란을 정면돌파하면서 비판 여론을 일부 잠재우기도 했지만, 끝내 대통령실의 문턱을 넘지 못했다. 인사청문회 전부터 쏟아진 의혹..

`요일제 몰라 헛걸음에 신청접수처 오인까지`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첫 날 잇단 해프닝
'요일제 몰라 헛걸음에 신청접수처 오인까지'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첫 날 잇단 해프닝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이 시작된 21일 대전에서는 시민들의 관심이 폭발하면서 곳곳에서 혼선을 빚었다. 일부 시민들은 요일제 운영을 숙지하지 못해 헛걸음했고, 대부분 행정복지센터에서는 선불카드가 조기 마감됐다. 또한 행정안전부 홈페이지에는 신청 접수처로 오인한 접속자들이 몰리면서 서버가 폭주하는 해프닝도 벌어졌다. 이날 오전 9시 대전 서구의 한 행정복지센터. 민생회복 소비쿠폰 1차 신청접수가 시작되자 어르신들이 삼삼오오 센터로 몰렸다. 벽에 붙은 안내문을 확인하거나 직원에게 설명을 듣는 모습이 이어졌고, 대부분 신분증을 손에 쥐고..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 첫 날…북적이는 행정복지센터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 첫 날…북적이는 행정복지센터

  • 쿨링포그로 식히는 더위 쿨링포그로 식히는 더위

  •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지급 D-1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지급 D-1

  • 위험한 하굣길 위험한 하굣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