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3회 대전 특성화고 안전지식 경진대회'에 참가한 학생들이 정답을 들어보이고 있다. /사진=이성희 기자 |
제3회 특성화고 안전지식경진대회가 15일 한국폴리텍대학 대전캠퍼스에서 열렸다.
![]() |
'제3회 대전 특성화고 안전지식 경진대회'에 참석한 주요 내빈들이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사진 왼쪽부터> 양형규 한국폴리텍IV대학 학장, 유영돈 중도일보 사장, 안원환 안전보건공단 대전세종광역본부장, 김도형 대전고용노동청장, 설동호 대전교육감. /사진=이성희 기자 |
대회 초반 김도형 청장과 유영돈 사장 등 내외빈이 직접 출제한 문제로 몸풀기에 나선 학생들은 이후 난이도 높은 주관식 문제들이 이어지자 희비가 엇갈렸다. 특히 60번 문제에서는 '대통령령'을 묻는 빈칸 채우기 문제에서 3분의 1이 탈락하면서 본격적인 지식대결의 서막을 알렸다.
탈락자가 절반가량 발생하자 주최 측은 패자부활전을 준비했다. 먼저 즉시 부활 가능한 '댄스 배틀'로 분위기를 달군 뒤, OX 퀴즈를 통해 대부분 탈락자에게 재도전의 기회를 제공했다.
![]() |
'제3회 대전 특성화고 안전지식 경진대회'에 참가한 한 학생이 난이도 높은 문제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 /사진=이성희 기자 |
대회 막바지, 사업주나 경영책임자를 처벌할 수 있는 중대재해처벌법을 묻는 문제에서 최후의 2인이 남았다. 주인공은 대전여상 박채원·이희주 학생. 이들이 계속해서 정답행진을 이어나가자, 사회자는 난이도를 끌어올렸다. 승부를 가른 건 주관식 100번 문제였다. '직업성 질병자가 연간(A)명 이상 발생한 사업장(B명 이상은 C명 이상)은 안전보건진단을 받아 안전보건개선계획을 수립, 시행토록 명할 수 있는 사업장이다'. 박채원 학생이 'A=2, B=1000, C=3'이란 정답을 정확히 맞추며 골든벨을 울렸다.
![]() |
'제3회 대전 특성화고 안전지식경진대회'에서 3년 연속 골든벨을 울린 대전여상 학생들과 교직원들이 기념촬영하고 있다. /김흥수 기자 |
김기정 대전여상 교장은 "평소 진로개척에 관심이 많아 스스로 열심히 공부하는 우리 학생들이 자랑스럽다"면서 "대회 3회 연속 우승자를 배출했고, 올해에는 대상과 최우수상까지 모두 석권해 너무 기쁘다"는 소감을 전했다.
한편, 특성화고 안전지식 경진대회는 지역의 미래 산업인재인 청소년들의 안전 의식을 높이는 자리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대회를 주최한 김도형 대전고용노동청장은 "안전은 단지 지켜야 할 규칙이 아니라 서로를 지키는 약속"이라면서 "앞으로도 대전노동청은 산업현장의 새로운 문화를 이끌어가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김흥수 기자 soooo082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