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거창군 국정자원 화재 총력 대응, 민원 불편 최소화<제공=거창군> |
군은 화재 직후인 27일부터 자체 운영 시스템과 주요 정부 서비스를 긴급 점검했다.
불편이 예상되는 분야에 대한 대처 방안을 마련하고, 매일 최신 정보를 반영해 대응책을 보완하고 있다.
현재 행정전자서명과 전자문서유통 등 필수 행정서비스는 재개됐다.
그러나 국민신문고, 모바일 신분증 등 일부 서비스는 여전히 전국적으로 접속이 중단된 상태다.
이에 따라 군은 구인모 군수 주재로 대책 회의를 열고, 군 누리집 알림창을 통해 서비스 제한 현황과 대처 방안을 실시간 안내하고 있다.
민원 불편을 줄이기 위해 29일부터는 방문·전화·팩스 등 오프라인 접수 창구를 운영 중이다.
부동산·세무 등 주요 민원 분야에는 대체 처리 절차도 마련했다.
또한 정보 기반 시설 안전 강화를 위해 배터리와 백업 장치 보강 등 개선책도 추진하고 있다.
구인모 군수는 "이번 화재는 국가 기반 시설 안전 관리의 중요성을 환기한 사건"이라며 "군민이 안심할 수 있도록 대응 역량을 높이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행정서비스의 신뢰는 일시적 대책만으로는 확보되지 않는다.
지역 차원의 보완책과 함께 중앙정부의 근본적 안전관리 체계 강화가 병행돼야 한다.
한편 최근 서비스 중단을 악용한 보이스피싱과 문자사기 사례가 늘고 있다.
군은 공공기관 명의 문자의 경우 인터넷 주소가 포함되지 않는다며, 의심 문자를 받으면 링크를 클릭하지 말고 즉시 삭제할 것을 당부했다.
또한 카카오톡 '보호나라' 채널과 경찰·불법스팸대응센터를 통한 신고 방법을 군 누리집에 안내하고 있다.
불이 꺼진 뒤 드러난 것은 시설의 취약함이었다.
그러나 불편을 최소화하려는 군의 대응은 위기 속에서 더욱 분명해졌다.
거창=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