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근 강남의 한 치킨집에서 열린 '깐부 회동'이 화제다.
엔비디아의 젠슨황 CEO,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 현대자동차 정의선 회장이 고급 호텔이나 프라이빗 룸이 아닌 평범한 치킨집에서 치맥을 즐겼다는 이야기는 모두가 신선함을 느끼기에 충분했다. 젠슨황 CEO의 딸이자 엔비디아 Senior Director 매디슨 황이 장소를 '깐부 치킨'으로 정한 것도 경쟁보다 협력, 이해 관계보다 동맹이라는 메시지를 은유적으로 나타낸 것이 아닐까 싶다. 하지만 조금 더 깊이 생각해보면 이 회동은 그리 단순한 회동이 아니다.
이들의 만남을 관통하는 키워드는 결국 'AI 반도체 모빌리티'다.
엔비디아는 AI의 두뇌를 설계하는 기업으로 GPU와 AI칩, 그리고 연산 플랫폼(CUDA, Omniverse)을 통해 전 세계 인공지능 생태계를 주도한다. 삼성전자는 엔비디아가 설계한 AI 칩을 위탁 생산(파운드리)하며, 고대역폭 메모리와 첨단 패키징 기술을 더해 AI 연산의 효율을 끌어올린다. 그리고 현대자동차는 엔비디아의 AI 칩을 실제 움직이는 공간에 이식한다. 자율주행차, 로봇, UAM(도심항공모빌리티) 등에서 AI 칩이 새로운 두뇌가 되어, 기존의 이동수단을 하나의 지능형 플랫폼으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즉, 엔비디아가 칩을 설계하고, 삼성이 칩을 구현하며, 현대차가 칩을 활용해 실제 공간에 적용하는 산업간 '깐부 구조'가 형성되고 있다. 이는 기존 산업이 단순한 생산 체계를 넘어 AI가 공정 데이터를 스스로 학습해 생산 효율을 높이고, 그 결과가 제품 혁신으로 이어지는 '학습하는 산업', 즉 미래형 제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한국 제조업은 오랫동안 효율과 속도를 중심으로 성장해왔다.
지금까지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산업은 정밀한 하드웨어와 숙련된 인력으로 세계 시장을 지배해 왔지만, 이제는 이것 만으로 충분하지 않다. AI 시대의 제조업의 경쟁력은 얼마나 빠르게 생산하는지가 아니라 AI 학습을 통해 데이터와 지능을 얼마나 빠르게 내재화 할 수 있는지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데이터를 중심으로 산업 구조를 재편하고, 제조 현장과 제품이 스스로 판단하여 최적화하는 구조를 갖추지 못한다면, 효율은 곧 한계로 바뀌게 될 것이다.
따라서 한국 제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분명하다. 단순히 AI 기술을 도입하는 것을 넘어, AI를 산업 생태계의 핵심 엔진으로 통합해야 한다. 제조 공장은 더 이상 단순한 생산 공간이 아니라 데이터를 학습하는 플랫폼이 되어야 하며, 제품은 단순한 하드웨어가 아닌 사용자의 맥락을 이해하는 서비스로 진화해야 한다.
이 변화의 흐름 속에서 글로벌 빅테크와의 협력은 기회이다. 엔비디아의 AI 역량을 비롯해 글로벌 기술 자원을 얼마나 유연하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한국은 3차 산업혁명 시대 제조 강국의 명성을 4차 산업혁명 시대까지 이어가 지능형 산업국가(Intelligent Industrial Nation)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최근 강남의 한 치킨집에서 열린 세 글로벌 기업 총수들의 '치맥 회동'은 단순한 만남이 아닌 한국 산업의 다음 장을 예고한 상징적 장면일지도 모른다. 기계가 효율로 경쟁하던 시대는 지나갔다. 이제 지능과 협력으로 미래를 설계하는 시대가 열리고 있다.
강전민/KAIST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석사 과정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김의화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