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여행]계절의 아름다움을 품은 일본 겐로쿠엔

  • 문화
  • 여행/축제

[주말여행]계절의 아름다움을 품은 일본 겐로쿠엔

특별명승 지정된 日 3대 정원, 다실이 한눈에 들어오는 가스미가이케 연못의 운치 여름엔 철쭉 가을엔 단풍, 사계절 내내 아름다움 뽐내

  • 승인 2016-09-01 12:34
  • 신문게재 2016-09-02 9면
  • 이성희 기자이성희 기자
[주말여행]일본 겐로쿠엔

일본의 3대 정원으로 손꼽히는 겐로쿠엔은 이시카와 현 가나자와 시 중심부에 위치해 있다. 겐로쿠엔은 1822년 12대 영주이던 나리나가가 호화로운 은거지인 다케자와 저택을 완공하면서 다쓰미 용수를 이용해 굽이굽이 흐르는 곡수와 각종 돌다리를 만들었고 송나라 시인 이 격비가 쓴 낙양명원기 속의 문장을 인용해 광대(廣大-크고 위대함), 유수(幽邃-깊고 고요함), 인력(人力-인공을 가미함), 창고(蒼古-고색창연함), 수천(水泉-샘솟는 물이 있다), 조망(眺望-조망이 좋음)의 6가지를 겸비하고 있다는 의미에서 명명됐다.

그 후 번제도가 폐지된 후 1874년 5월 7일 겐로쿠엔은 일반에 공개됐고 1922년 3월 8일 '사적명승 천연 기념물 보존법'의 규정에 의해 명승으로 지정됐다. 그 후 겐로쿠엔은 1950년 현재의 문화재 보호법에 의해 거듭 명승지정을 받았다. 1985년 3월 20일에는 특별 명승으로 승격됐다.

겐로쿠엔의 대표 볼거리로는 가스미가이케(커다란 연못), 호라이지마(연못 안에 있는 섬), 겐로쿠엔의 상징인 고토지도로(등롱), 다실인 우치하시테이와 시구레테이, 일본 최초의 분수, 유명한 흑송인 가라사키노마쓰(소나무), 기러기가 줄지어 날아가는 모습을 본따 만든 돌다리인 간코바시 등이 있다.

그중 겐로쿠엔에서 가장 유명하며 조망이 뛰어난 곳이 가스미가이케 연못이다. 관광객들이 가장 많이 기념사진을 찍는 장소이자 무지개다리, 등롱을 비롯해 다실 등이 한 눈에 들어오는 명소다. 연못 옆으로는 작은 다리가 여러 개 있는데 11개의 안산석을 이용해 기러기가 줄지어 날아가는 모습을 본따 만든 간코바시가 있다.

한 개 한 개의 돌이 거북의 등모양을 하고 있어 깃코바시라고도 한다. 그 옆으로는 겐로쿠엔 안에서 가장 가지가 아름다운 소나무가 있는데 바로 가라사키노마쓰이다. 제13대 영주 나리야스가 비파호반의 가라사키에서 종자를 얻어다 심어 키운 흑송이다. 11월 1일부터 겨울철에 내리는 눈으로부터 나뭇가지를 보호하기 위해 끈으로 나뭇가지를 동여매는 유키즈리 작업이 시작되며 이 유키즈리는 호쿠리쿠 지방에 겨울이 찾아왔음을 알려주는 풍물시가 되고 있다. 그렇게 산책로를 따라 걷다 보면 다실인 시구레테이와 유가오테이를 볼 수 있다.


1774년에 지어진 다실인 유가오테이는 정원내에서 가장 오래된 건축물이다. 다실 옆방의 벽장식이 유가오(표주박의 고어)모양을 하고 있어 유가오테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또한 렌치문 입구 앞에는 과학을 이용해 만들어진 분수가 있다.

위쪽에 있는 가스미가이케 연못으로부터 물을 공급 받는 분수는 아무런 모터 없이 연못 수면과 표고차로 인한 수압, 즉 위치에너지만으로 작동된다. 평소 분수의 높이는 3.5m이며 가스미가이케 연못의 수위에 따라 변한다.

1861년 분수가 성의 외곽 거실 앞에 솟아올랐는데 겐로쿠엔의 분수는 그를 위한 시범작이었다. 따라서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분수이기도 하다.

봄에는 벚꽃과 매화, 여름에는 철쭉과 제비붓꽃, 가을은 단풍, 겨울은 눈내린 설경 등으로 사계절 내내 아름다움을 뽐내는 겐로쿠엔. 참고로 겐로쿠엔의 개장시간은 3월부터 10월 15일까지는 오전 7시부터 오후 6시까지고 10월 16일부터 2월 말까지는 오전 8시부터 오후 5시까지다. 입장료는 성인 310엔, 청소년은 100엔이다.

겐로쿠엔의 맞은 편에는 가나자와 성이 자리잡고 있다. 도시의 중심부에 있어서 그런지 외적의 침입에 방어할 필요성이 없어져서 그런지 침입을 막기 위해 성 주위를 둘러서 판 못인 해자는 없어지고 지금은 큰 도로가 지나간다.

겐로쿠엔과는 다리로 연결돼 있다. 가나자와 성의 후문인 이시카와몬(石川門)은 30채가 한 지붕 아래 들어서 있는 산주켄나가야와 함께 옛 가나자와 성에 얼마 남지 않은 유적의 하나다.

1788년에 세워졌으며 국가중요문화재로 지정 돼 있다. 건물이 하얗게 빛나는 지붕은 납이 많이 함유된 기와를 사용했기 때문이다. 성 안은 이제 공원처럼 꾸며져 있어 산책하듯 한 바퀴 돌고 나오면 된다.

▲가는길=가나자와 시 중심부에 위치해 있어 대중교통으로 이동이 편리하다.

▲먹거리=주변에 각종 군것질을 비롯해 식당이 위치해 있어 골라서 먹을 수 있다.


글·사진=이성희 기자 token7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무소속 김종민 국회의원 '복당' 주목...행정수도 완성의 또다른 퍼즐
  2. [아침을 여는 명언 캘리] 2025년 5월23일 금요일
  3. 백석대, 2024학년도 연구실적 우수교원 시상
  4. 한기대 '2025 ESG 포럼' 성료
  5. 단국대병원 전홍배 교수, 'W송원 기초의학상' 수상
  1. [대입+] 5월 학평 '사탐런' 뚜렷… N수생 가세 6월 모평부턴 점수 예측 어려워
  2. 산단공 충청지역본부, 지역안전지킴이 육성 프로그램 업무협약
  3. 세종 아파트값 5주 연속 전국 상승률 1위… 대전은 하락세 이어
  4. 중구의 '일자리경제진흥원과 평생교육진흥원 이전' 제안 이뤄질까
  5. 사이언스짐 신동식, 제36회 Mr.대전 그랑프리 우승

헤드라인 뉴스


[대입+] 5월 학평 `사탐런` 뚜렷… N수생 가세 6월 부턴 예측 어려워

[대입+] 5월 학평 '사탐런' 뚜렷… N수생 가세 6월 부턴 예측 어려워

2026학년도 대입에서 '사탐런(사회탐구 과목 쏠림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면서 수험생들의 선택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N수생이 가세하는 6월 모평 이후엔 이 현상이 더욱 가중될 전망이다. 23일 종로학원이 5월 8일 실시된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채점 분석결과 사회탐구(사탐) 응시 인원이 전년보다 10만707명 증가한 43만 4155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30.2% 증가한 수치다. 과학탐구(과탐) 응시자는 21만7723명으로, 4만 4810명 줄어들며 17.1% 감소 폭을 보였다. 5월 학평 기준 사탐 응시율은 20..

천안아산 강소특구, 미래차 전장산업 중심지로… 2단계 특화발전사업 추진
천안아산 강소특구, 미래차 전장산업 중심지로… 2단계 특화발전사업 추진

천안아산 강소특구가 미래차 전장산업 혁신 중심지로 도약한다. 충남도는 천안아산 강소특구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단계 특화발전 사업계획 종합 평가'를 통과해 내년부터 5년간 국비 100억 원을 확보했다고 22일 밝혔다. 2단계 사업에는 국비와 동일한 규모의 지방비 100억 원을 포함해 총 2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할 예정이며, 1단계 사업 성과를 바탕으로 특화발전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특히 지역 전략산업인 '미래 모빌리티 전장 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고도화 전략을 집중 전개해 지역 산업의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세계적인 기술 혁신..

세종 아파트값 5주 연속 전국 상승률 1위… 대전은 하락세 이어
세종 아파트값 5주 연속 전국 상승률 1위… 대전은 하락세 이어

대통령 선거가 10여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세종시 아파트값이 고공행진하고 있다. 대통령실 이전 기대감에 따른 대선 호재를 등에 업고 5주 연속 전국 상승률 1위를 기록하고 있어서다. 23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025년 5월 셋째 주(19일 기준) 전국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세종 아파트 매매가격은 0.30% 올랐다. 전국 시도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5주 연속 기록했다. 세종은 고운·소담동 선호단지 위주로 매매 수요가 증가해 상승세가 지속됐다는 게 관계자의 설명이다. 세종 집값은 4월 둘째 주 0.04%, 셋째 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유성구, 전동보조기기 운전연습장 교육 대전 유성구, 전동보조기기 운전연습장 교육

  •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대통령선거 사전투표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대통령선거 사전투표

  • ‘실제 상황이 아닙니다’…재난현장 긴급구조 종합훈련 ‘실제 상황이 아닙니다’…재난현장 긴급구조 종합훈련

  • 한빛탑 앞 선관위 캐릭터 `참참이` 눈길 한빛탑 앞 선관위 캐릭터 '참참이' 눈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