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지호 고암미술문화재단 대표 |
반면, 철근의 거대한 무빙셀터 옆에서 살짝 모습을 드러내는 백색의 아담한 1층 건물인 이응노미술관이 둔산대공원 내 시립미술관과 예술의 전당 그리고 수목원을 뒤로하고 하고 있습니다. 주변 다른 건축물들과는 달리 59억의 소박한 예산으로 2007년 건립된 미술관입니다. 이미 건립된 기존 건물의 크기와 높이를 넘어서지 않고, 주변 자연과의 조화를 중시하는 배려와 겸허의 미학을 담고 싶어 했던 유족의 뜻을 받아 건축가 로랑 보드엥이 구현한 문화시설입니다. 건립 초기에는 규모가 작아서 다소 약한 듯 보였습니다만, 시간이 갈수록 미술관의 명성은 작은 규모와는 달리 대전을 넘어 세계로 널리 알려지고 있습니다. 서울 리움미술관과 함께 이응노미술관은 미슐랭이 추천하는 별 2개 미술관으로 건축이 아름다운 미술관이자 동시에 1300여 점의 이응노 대표작을 소장하고 있는 부자 미술관입니다.
최근에는 대전이 이응노의 작품을 제대로 감상할 수 있는 세계 유일의 도시로 알려지면서 저명한 미술사가 및 평론가 등 전문가들의 방문과 그림을 보러오는 일반 외지인들의 발걸음이 끊이지 않습니다. 이렇다 보니 과학도시인 대전시의 모습이 점차 예술적 감성도시로 조금씩 변하고 있음을 느끼게 합니다. 지난 12일 동아시아의 주요 연구자들의 이응노미술관 국제세미나 참석과 6월 7일 파리에서 시작되는 파리시립 세루누치미술관의 이응노 회고전 개최 등, 동양의 전통을 현대화한 이응노 예술에 대한 연구와 전시가 국내외에서 크게 일어나고 있습니다. 결국 작은 규모로 시작한 미술관이 기증받은 우수한 콘텐츠, 즉 예술성이 뛰어난 소장품을 베이스로 전시내용과 미술관서비스의 질은 높인 결과입니다.
다시 한 번, 도심에 문화시설을 세운다고 문화가 형성되고 발전하는 것은 아니라고 말씀드립니다. 시설의 위치와 규모도 중요합니다. 다만 시설 이전에 콘텐츠가 있어야 하며 그 중요성을 강조하려는 것입니다. 즉 콘텐츠에 부합하는 시설이 제대로 그 기능을 할 수 있습니다. 한국과 유럽을 넘나들며 제작된 이응노의 예술작품은 미술관 건립 이전에 이미 국제적인 문화 콘텐츠로서의 조건을 갖추었습니다. 이응노미술관은 아담한 규모로 시작한 미술관이지만, 우수한 콘텐츠 덕분에 모든 행사들이 관람객들의 눈길을 사로잡으며, 전문가들의 신뢰를 얻었습니다. 문화는 하드웨어의 규모가 성공의 변수는 될 수 없습니다. 시설은 조건일 뿐입니다. 한편 개관 10주년을 맞이하는 이응노미술관은 초기와는 달리 현재 규모로는 콘텐츠의 용량을 충분히 소화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미술관 운영 측면에서는 전시와 교육 공간의 부족을 현재 직원들이 사무공간으로 사용하고 있는 2층을 전시공간으로 확대할 수 있습니다. 미술관은 콘텐츠에 대한 수요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공간으로 새롭게 변화해야 하는 문화시설입니다.
사람들은 평소 미술 감상을 즐기지 않아도 암스테르담에 갈 기회가 생기면 고호미술관만큼은 방문하고 싶어 합니다. 이응노미술관 때문에 대전을 방문하고 싶다는 방문객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마치 브랜드란 어떤 상품을 다른 것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이름이나 기호라고 한다면, 이응노미술관의 존재가 바로 대전이 다른 도시와 구별되는 이유입니다. 대표 문화브랜드를 기대한다면 이응노미술관처럼 먼저 우수한 콘텐츠를 찾아내고 그것을 발전시키고 그리고 확대해 나가는 과정과 절차가 중요합니다.
이지호 고암미술문화재단 대표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