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현재도 출퇴근 시 상습 정체가 이뤄지고 있는데 대형쇼핑몰을 이용하기 위한 유동인구 증가와 신규 아파트 등으로 거주 인구까지 늘고 있어 관련 교통대책을 다시 검토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21일 대전시와 신세계 등에 따르면 2021년 5월 준공을 목표로 한 대전 사이언스 콤플렉스가 현재 건설 중이다.
올해 5월 착공해 현재 용지 정리 공사를 마치고 한창 토목공사를 하고 있다. 사이언스 콤플렉스는 신세계 특유의 복합시설로 이뤄질 전망이다.
규모는 지하 5층에서 지상 43층까지며, 연면적은 27만9263㎡다. 상층부에는 전망대가, 저층부에는 대전 최고 수준의 상업시설이 들어선다. 사이언스콤플렉스를 이용하는 유동인구가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 DCC를 비롯해 대전국제전시컨벤션센터 등 인근 시설도 새롭게 들어선다. 또한, 주변인 만년동과 도룡동 일대 부동산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일각에서는 사이언스콤플렉스에 대한 교통 대책이 새롭게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통합심의로 통과돼 교통대책 마련이 부족하다는 게 중론이다. 앞서 대전 사이언스콤플렉스는 지난 2017년 11월 통합심의를 통과했다. 당시 위원회는 이 사업으로 인근 교통 혼잡이 예상되는 만큼 사업 시행자인 신세계 측에 해소방안 보완을 요구하며 사업계획을 조건부로 통과시켰다.
올해 2월 개정된 도시교통정비 촉진법에 따라 21층 이상 또는 연면적 10만㎡를 넘는 건물이나 백화점 등 판매시설은 지방자치단체의 건축위원회에서 통합적으로 하던 교통영향분석·개선 대책 심의를 60명 이내의 교통영향평가 심의위원회에서 별도로 들여다보도록 관련 규정이 바뀌었다. 기존 통합심의로는 체계적인 교통 영향 분석과 대책을 논의하기 어렵다는 판단에서다.
지난 8월 발표된 대전세종연구원의 '대전시 교통영향평가심의 개선방안'에 따르면 대규모 건축물을 통합심의 하다 보니, 교통영향에 대한 고민이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부산의 경우 해운대의 엘시티 건설 당시 통합심의로 교통영향평가가 실제 교통량에 비해 지나치게 관대하게 이뤄져 현재 교통지옥이 됐다.
최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박완수 자유한국당 의원이 경기도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경기도 광명시 '이케아', '롯데 프리미엄아울렛', '코스트코' 인근 지역의 경우, 주민의 연간 교통불편 민원수가 3개 유통업체 모두가 입점하지 않았던 2012년 78건에서 2017년 1250건으로 영업 전 대비 16배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불법주정차 적발 건수도 영업 전 대비 3배가량 증가했다.
박 의원은 "업체가 입점하기 전에 실시하는 교통영향평가의 실효성을 높이고 평가 단계에서 교통체증 예방을 위한 대책들이 적극적으로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대전 사이언스콤플렉스라고 예외일 수 없다.
대전 시민 이 모씨(57·도룡동)는 "지금도 출퇴근 시간이면 교통 정체가 벌어진다. 여기에 DCC 등 주변 컨벤션시설에서 행사를 하면 더 심각하다"면서 "사이언스콤플렉스 같은 대형 시설이 들어서면 교통 지옥이 될수도 있다. 앞으로 수요를 예측해 교통 대책을 더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