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암살 소재 신간 ‘신의 속삭임’저자 하용성과의 만남

  • 전국
  • 부산/영남

김정은 암살 소재 신간 ‘신의 속삭임’저자 하용성과의 만남

  • 승인 2017-03-15 16:23
  • 최경식 기자최경식 기자
▲ 신의 속삭임 저자 하용성
▲ 신의 속삭임 저자 하용성
최근 말레이시아에서 김정남이 피살된 가운데, 이와 유사한 소재를 채택한 신간 장편소설 <신의 속삭임>(행복우물)이 출간돼 화제다.

<신의 속삭임>은 이처럼 통일 대통령 김정은 암살사건을 소재로 해 주목을 받지만, 숨은 주제는 따로 있다. 기독교를 비롯한 주류종교에 대한 날선 비판과 대안제시 등이 바로 그것이다. 반수구, 반일 등과 같은 저자의 관념을 엿볼 수 있는 소주제들도 곳곳에 녹아있다.



<신의 속삭임>의 저자인 하용성 작가를 만나 책과 그 자신에 대한 얘기를 들었다. 아래는 일문일답.

-책을 쓰게 된 특별한 계기가 있나?



계기는 명료하다. 현 단계에서 좀 더 앞으로 나아가기 위한 시도로 보면 된다. 거기에다 굳이 ‘특별’이란 수식어까지 붙일 필요는 없을 것 같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지금보다 더욱 발전한 자신의 모습을 원하듯이, 나 역시 마찬가지다. 이게 바로 계기가 됐다.

-북한의 김정은을 소재로 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간 전부터 화제였다. <신의 속삭임>, 한 마디로 어떤 책인가?

조금은 무겁게 느껴질 수도 있는 메시지 전달을 위해 이와 같은 관심을 끌만한 소재를 끌어다가 대입한 게 바로 <신의 속삭임>의 특징이다. 특히 소재로 대입한 ‘북한 김정은을 상징적인 국가원수로 하는 통일국가’라는 게 전혀 개연성이 없는 건 아니라고 본다. 남북 정치권의 합의 여부에 따라 얼마든지 실현 가능한 시나리오라고 생각한다.

-배경설정이 상당히 흥미롭다. 어디에서 동기를 얻었나?

동기는 따로 없다. 문득 떠오른 생각이다. 꽤 오래됐다. 내가 음악활동을 할 때에 이미 이에 대한 기본적인 구상을 했다. 물론 당시엔 통일국가의 대통령으로 상상한 인물이 김정일이었다. 하지만 그는 이미 사망했다. 그래서 훨씬 젊은 김정은이 이를 대신하게 됐다. 오히려 이게 더욱 많은 상상력을 끌어낼 수 있는 요인이 됐다.

-이 책을 통해 전하고 싶은 메시지는 뭔가?

기독교를 비롯한 주류종교에 대한 날선 비판이 바로 그것이다. 많은 교인들에게는 미안한 얘기가 될지는 모르나, 현존하는 주류종교들이 그 태동이 오래된 까닭에 모순을 가득 안고 있는 게 사실이다. 이에 대한 진지한 고민을 반드시 해야만 한다고 여겼다. 수구세력, 그리고 여전히 잔존하는 친일세력에 대한 정제되지 않은 공격은 덤이라고 보면 된다.

-조금은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들었는데...

우선 ‘여는 글’과 ‘닫는 글’을 일반적인 통념과는 다르게 소설 속에다 완벽하게 끌어들였다. 두 개의 주된 플롯이 씨줄과 날줄처럼 서로 교차하면서 스토리가 이어진다는 점도 주목할 부분이다. 가장 주된 특징은 소설의 스토리가 33장의 본문이 끝나고 이어지는 네 개의 에피소드들로 인해 퍼즐처럼 맞춰지며 모두 마무리된다는 점이다. 반전의 상당부분이 여기에 담겼다.

-이 책이 독자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매력이 있다면..

우선 거론하고 싶은 게 ‘속도감’이다.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불필요한 미사여구를 생략한 것과 더불어, 내용 전개상 반드시 필요한 부분만을 지면에 담았다. 일부 독자들은 종교적인 내용이 다소 부족한 점에 아쉬움 또는 비판을 보일지는 모르겠으나, <신의 속삭임>이 재미를 추구하는 대중소설인 점을 감안하면 어쩔 수 없는 부분이다. 다른 무엇보다도 마지막에 이르러 예상치 못한 반전이 잇달아 펼쳐진다는 점은 독자들에게 많은 흥미를 가져다 줄 것이라고 본다.

부산=최경식기자 joongdo114@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2.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3.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4. 대전시와 5개구, 대덕세무서 추가 신설 등 주민 밀접행정 협력
  5. 대전 출입국·외국인사무소, 사회통합 자원봉사위원 위촉식 개최
  1. 대전시 '제60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선수단 해단'
  2. 충남대·한밭대, 교육부 양성평등 평가 '최하위'
  3. 9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전 토론과 협의부터" 공개 요구
  4. 대전경찰, 고령운전자에게 '면허 자진반납·가속페달 안전장치' 홍보 나선다
  5. [종합] 누리호 4차 발사 성공… 차세대중형위성 3호 양방향 교신 확인

헤드라인 뉴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