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선생님 다리 뒤가 너무 저려요"… '이상근 증후군'

  • 문화
  • 건강/의료

[건강] "선생님 다리 뒤가 너무 저려요"… '이상근 증후군'

■ 전문의 칼럼

  • 승인 2018-05-29 09:12
  • 박전규 기자박전규 기자
신모씨는 30세 회사원이다. 신씨는 콜센터 직원이었는데 6개월 전부터 왼 엉치에서 시작해서 오왼 다리 뒤로 전기 오듯이 저리고 쑤시는 느낌이 생겼다. 주로 앉거나 서 있으면 증상이 심해졌다. 신씨는 병원에 내원하여 요추 X-ray 촬영 후 요추 디스크가 의심된다고 듣고, 2개월간 물리치료와 도수 치료를 시행하였으나 호전이 없어 타 병원에 내원했다. 타 병원에서 요추 MRI 촬영 후 허리에 퇴행성 디스크가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2회 신경 치료 하였으나 1-2일만 잠시 호전만 있을 뿐 3일이 지나면 증상이 다시 악화되었다.

신모씨는 본원에서 이상근 증후군이라 진단받고 치료 후 잘 지내고 있다. 이상근 증후군이란 엉치에 위치하는 이상근 근육이 이상근 근육 밑으로 지나가는 좌골 신경을 압박하여 마치 허리 디스크 증상처럼 엉치에서 다리 뒤로 저리고 쑤시는 느낌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이상근 증후군의 원인은 오래 걷거나 뛰거나 또는 딱딱한 물체에 오래 앉아 있으면 이상근이 딱딱해지고 두꺼워져서 그 결과로 이상근 밑을 지나가는 좌골 신경을 누른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이상근 증후군의 정확한 원인을 몰라서 병명에 증후군(syndrome)이라는 말이 불어 있다. 각종 유병률 보고에 의하면 40-50대가 많고, 여자가 골반 모양이 남자와 다르기 때문에 3배 정도 많다고 되어 있으나 진료 현장에서 만나는 환자는 20대부터 다양한 나이의 환자가 오며 남녀의 차이는 크지 않다. 그러나 확실히 오래 앉아서 생활하는 사람들에게서 호발한다.

이상근 증후군은 허리 디스크와 증상으로만 감별이 어렵다. 거의 증상이 똑같다. 허리 디스크와 이상근 증후군의 가장 중요한 감별점은 허리 MRI에서 신경 눌림이 심하지 않으면서 병변 측의 이상근을 압박시 정상측 보다 더 심한 통증이 유발된다. 본원에서는 이상근 증후군을 진단도 하면서 치료를 동시에 할 수 있는 근육 신경 자극술 (IMS)을 시행하는데 도수치료나 물리치료나 투약보다 훨씬 효과가 탁월하다.



근육신경 자극술이란 근육, 신경, 관절 등 통증의 원인이 되는 부위를 IMS 바늘로 자극하여 치료하는 통증 시술이다. 약물이 안 들어가 부작용이 없는 것이 최대 장점이다. 특히 초음파 유도하에 이상근을 많이 치료하는데, 그러면 정확한 부위에 중요한 혈관 신경을 피하여 오차 없이 안전하게 시술할 수 있다. 시술 시간도 1분 이내로 매우 짧다. 1주 간격으로 3회 정도 시술하는데 처음 시술 후 통증이 50% 이상 감소하면 이상근 증후군이라 쉽게 진단할 수 있다. 증상이 호전된 다음에는 이상근 스트레칭을 병행하면 병의 재발을 줄일 수 있다. 스트레칭은 15초간 하루 5회 시행한다.



대전우리병원 척추관절 비수술센터 홍진성 진료원장

대전우리병원 척추관절 비수술센터 진료원장 홍진성
대전우리병원 척추관절 비수술센터 홍진성 진료원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청주시에 코스트코 입점한다
  2. 대전 중·서구 새마을금고 파크골프 어울림 한마당 성황
  3. 금강환경청, 논산 임화일반산단 조성 환경영향평가 '반려'
  4. 9월의 식물 '아스타', 세종호수·중앙공원서 만나보세요~
  5. 둔산경찰서, 기초질서 확립 교통안전 캠페인 실시
  1. 한남대, 대전 소제동서 로컬 스타트업 Meet-up Day 개최
  2. 대산산단 산업위기대응지역 지정에도 '대기업들은 효과 글쎄'
  3. 대전 양성평등주간 기념식
  4. 찾아가는 복지서비스 '경로당 활성화 지원사업' 맞춤형 프로그램 마무리
  5. 대전성모병원 홍유아 교수, 최적화된 신장질환 치료 전략 제시

헤드라인 뉴스


소아과 전문의 절반 수도권에 집중… 환자 당 전문의 편차 2배

소아과 전문의 절반 수도권에 집중… 환자 당 전문의 편차 2배

국내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절반가량이 서울과 경기에 쏠려있는 사이 충청권은 대전 217명, 세종 78명, 충남 175명, 충북 146명으로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소아청소년 인구 1000명당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수 격차는 서울 1.15명일 때 충남 0.56명으로 최대 격차(0.59명)를 보였다. 3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소아·청소년 의료체계 개선방안연구'에 따르면 2024년 6월 말 기준 전국의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수는 6490명으로, 지역별로는 서울(1510명)과 경기(1691명), 인천(350명) 등 수도권이 전체의 56%를..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충남 서산의 한 중학교에서 남성 교사 A씨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개월간 성추행과 성희롱을 했다는 고소장이 접수돼 경찰이 수사 중이다. 일부 피해 학생 학부모들은 올해 학기 초부터 해당 교사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복된 부적절한 언행과 과도한 신체접촉을 주장하며, 학교에 즉각적인 교사 분리 조치를 요구했다. 이에 학교 측은 사건이 접수 된 후, A씨를 학생들과 분리 조치하고, 자체 조사 및 3일 이사회를 개최해 직위해제하고 학생들과의 접촉을 완전히 차단했으며, 이어 학교장 명의의 사과문을 누리집에 게시했다. 학교 측은 "서산교육지원청과..

메가충청스퀘어, 연내 첫 발 뗄 수 있을까
메가충청스퀘어, 연내 첫 발 뗄 수 있을까

대전 도심융합특구의 중심 사업인 '메가충청스퀘어'가 연내 청신호가 켜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부의 공공기관 2차 이전이 초읽기에 들어감에 따라 대전 혁신도시에 자리한 '메가충청스퀘어 사업'의 차질 없는 추진이 중요해지고 있다. 3일 대전시에 따르면 메가충청스퀘어 조성 사업은 대전 역세권 동광장 일원에 연면적 22만 9500㎡, 지하 7층-지상 49층 규모로 컨벤션, 상업·주거시설, 호텔 등 주요 시설을 포함한 건물 2개 동을 짓는 사업이다. 대전역 동광장 일대를 중심으로 조성되는 대규모 복합 개발 프로젝트로 경제와 문화의 중심지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 2026학년도 수능 전 마지막 모의평가 2026학년도 수능 전 마지막 모의평가

  • 꼬마선비의 유생체험 꼬마선비의 유생체험

  • ‘5대 반칙운전 집중 단속합니다’ ‘5대 반칙운전 집중 단속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