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금 타게 해줄게"… 인터넷·SNS 보험사기 유혹문구 봇물

  • 경제/과학
  • 건설/부동산

"보험금 타게 해줄게"… 인터넷·SNS 보험사기 유혹문구 봇물

다친 부위 바꿔가며 해외의료치료비 허위과장청구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 사고조작해 보험금 받아내
보험사기죄 처벌 강화… 하루 아침에 '범죄자' 될 수도

  • 승인 2018-06-10 11:21
  • 신문게재 2018-06-11 12면
  • 원영미 기자원영미 기자
940560702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보험사기 적발 건수가 해마다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 상반기에만 4만 4141명(3703억원)이 연루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2016년의 절반을 훌쩍 넘어선 수치다.

최근에는 대학생이나 사회초년생 등 젊은층이 보험사기의 타깃이 되고 있다. SNS 등 인터넷을 활발하게 이용하는 연령층이다 보니 금전 제공 등을 내세운 보험사기 수법에 쉽게 노출되고 있어 더욱 주의해야 한다. 사회초년생들이 연루되기 쉬운 보험사기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금감원 적발 사례를 통해 알아보자.

▲해외여행 중 휴대품 손해 허위·과장청구=해외여행 중 잃어버린 휴대품을 도난당한 것처럼 서류를 꾸며 보험금을 청구하거나, 여러 보험회사에 여행자보험에 가입한 후 같은 손해에 대해 사고 날짜를 조작하는 방법으로 보험금을 반복 청구하는 사례가 있다.

금감원 사례에 따르면 A는 해외여행자보험에 다수 가입하고 여행 중 구입한 명품가방을 도난당했다며 같은 영수증으로 4개의 보험사로부터 170만원의 보험금을 타냈다. 또 다른 B는 카메라 액정 파손에 대한 수리견적서 발급 일자를 조작해 2년간 해외여행을 하며 모두 7회에 걸쳐 200만원의 보험금을 받아내기도 했다.



해외여행경비를 조달하기 위해 소액이라도 보험금을 편취했다면 명백한 보험사기에 해당한다. 주변 경험담이나 인터넷 블로그의 '잘못된 유혹'에 이끌렸다간 하루아침에 범법자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해외치료 의료비 허위·과장 청구=발목염좌 등 가벼운 질병으로도 손쉽게 2~3주 진단을 받아 병원 치료가 가능하다는 점을 악용해 해외여행 중 특정 병원에서 장기간 통원치료를 받거나, 다친 부위를 바꿔가며 치료를 받는 방법으로 보험금을 받아낸 사례도 있다. 지난 3월 관련 혐의가 있는 80명에 대해 보험금 4억 6000만원을 편취해 부산의 한 경찰서에 수사를 의뢰했다.

C는 해외 의료비 한도가 1000만원인 해외 여행자보험에 가입한 후 미국의 한 병원에서 상해 부위를 발목, 손목, 어깨 등으로 바꿔가면서 무려 78일 동안 통원치료를 해 보험금 2100만원을 받았다.

만약 병원에서 가벼운 질병 등에 대해 허위진단서를 발급하고 치료해주겠다고 해도 일단은 보험사기로 의심하고 거절해야 범죄피해를 막을 수 있다.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 사고 조작=제삼자가 유발한 손해를 보험가입자가 일으킨 것처럼 사고내용을 뒤바꿔 보험금을 받아내는 수법도 있다.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이란 보험가입자의 일상생활 중 타인의 신체나 재물에 피해를 입혀 법률상 배상책임이 발생했을 때 이를 보상해주는 보험이다.

서로 친구관계인 D와 E, D가 부주의로 자신의 스마트폰을 떨어뜨려 액정이 깨지자 배상책임보험에 가입된 E가 본인 잘못으로 친구의 스마트폰 액정이 깨졌다며 사고내용을 조작해 보험금 30만원을 받아냈다. 이 경우엔 금액이 소액인 관계로 보험금만 환수했지만, 단순히 상대방의 호의라도 사고내용을 조작해 보험금을 받아내면 이는 보험사기다.

▲차량정비업소 브로커의 유혹=정비업체에서 차량이 파손된 차주에게 공짜로 차를 수리해주겠다거나 금전적 이익을 주겠다는 미끼로 차주에게 사고를 허위로 보험사에 접수하도록 유도하고 정비업체는 수리비를 부풀려 청구하는 경우도 있다.

한 정비업체 대표와 직원은 자기 차량 수리비에 대해 보험계약자가 부담해야 하는 '자기부담금' 없이 차량을 수리해준다며 사고차량 차주를 꼬드겼다. 차주와 공모해 사고를 위장하거나 일부러 차량을 추가 파손하는 방법으로 미수선 수리비 등 보험금 6000만원을 편취해 덜미를 잡혔다. '무상 수리' 조건으로 보험접수를 요구하면 보험사기 업체일 가능성이 커 현혹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2016년 9월 '보험사기방지특별법'이 본격 시행되면서 보험사기죄가 신설돼 처벌도 강화됐다. 인터넷이나 블로그 등에서 쉽게 돈을 벌 수 있다는 문구에 혹해 하루아침에 '범죄자'가 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해야 한다. 보험사기 신고는 금감원 전화 1332나, 각 보험회사 홈페이지 신고센터를 통해 하면 된다.
원영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한화이글스의 도전이 끝나는 순간! 마지막 육성응원 최강한화 1
  2. 대전의 가을밤을 뜨겁게 달군 과학관 응원단장! 한화팬-대전시민여러분께 1
  3. 대전사랑메세나, 취약계층과 지역주민이 함께한 '더 노은로 작은음악회' 성료
  4. 샛별재가노인복지센터, 가을나들이 행사 진행
  5. 식장산부터 장동까지 평화견학…제8회 평화발자국 참가자 모집
  1. 대전과학기술대 여자 배드민턴부, 전국종별배드민턴대회 3위 쾌거
  2. 군의관과 간호장교 부부에서 시작, 을지재단 창립 69년 기념식
  3. 심사평가원 대전충청본부, 보건의료지원단 빅데이터 역량 교육
  4. 건양사이버대-대덕파트너스, 미래 인재 양성 위해 맞손
  5. 육군군수사령부, '미식별 선박 대응체계 고도화' 발표 32사단 최우수상 선정

헤드라인 뉴스


대전 부동산시장 "민간임대 비율 조정" 목소리 커져

대전 부동산시장 "민간임대 비율 조정" 목소리 커져

지방에서 미분양이 쏟아지는 등 부동산 한파가 심각한 가운데 지방 도시개발사업에서 천편일률적인 임대주택건설 의무 비율 조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대전시는 이 같은 여론을 주시하면서 지역 부동산시장의 면밀한 분석을 통한 '조정'카드를 만지작 거리고 있어 주목된다. 민간임대주택의 장점과 수요를 침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건설 경기 부양 등 지역경제 활성화까지 염두한 최대공약수 찾기에 나선 것이다. 최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9월까지 분양이 이뤄진 아파트 단지 청약 미달률은 1순위 기준 41.9%에 달했다. 반면 서울만 0%를..

`호남고속도로지선 확장 공사`예타 통과
'호남고속도로지선 확장 공사'예타 통과

대전의 숙원 사업인 '호남고속도로지선 확장 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함에 따라 충청과 호남의 축 병목 해소에 청신호가 켜졌다. 최근 대전시에 따르면 '호남고속도로지선 확장 사업'은 10월 31일 기획재정부 제10차 재정사업평가위원회 예비타당성조사 심의 결과 최종 통과했다. 이 사업은 총사업비 3522억 원 규모로 호남고속도로지선 서대전분기점~회덕분기점 구간(총 18.6㎞)이 4차로에서 6차로로 확장하는 사업이며 사업기간은 약 8년으로 계획하고 있다. 대전시와 지역 정치권은 이 구간을 '충청·호남을 잇는 병목지점'으로 지목하며..

대전 소상공인·전통시장 경기 체감 지수 상승 뒤 유지... 11월 전망지수도 `밝음`
대전 소상공인·전통시장 경기 체감 지수 상승 뒤 유지... 11월 전망지수도 '밝음'

대전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상인들이 느끼는 경기 체감 지수가 상승 곡선을 그린 뒤 유지하고 있다.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원 등으로 반등한 지수가 우상향하고 있는 것인데, 11월 경기 상황을 내다보는 전망 지수도 올라서면서 경기가 나아질 것이란 희망을 내비친다. 2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발표한 '소상공인시장 경기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대전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상인들의 10월 경기 체감 지수는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원으로 상승한 이후 평행선을 유지 중이다. 경기 동향 조사는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사업체 운영자의 체감 경기 파악..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