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진성준 정무기획비서관이 사의를 표명한데다 수석급 이상의 내각행 가능성까지 제기되면서 인사수요가 커진 탓인데 충청권 인사의 발탁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청와대에 따르면 진성준 정부기획비서관이 최근 사의를 표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사직 절차가 진행중이며 조만간 사표가 수리되는 대로 청와대를 떠날 것으로 알려졌다.
진 비서관은 앞으로 21대 총선에 도전하기 위해 더불어민주당 서울 강서을 지역위원장 공모를 준비할 것으로 정치권은 보고 있다. 이로써 청와대 비서관급 인사 폭은 기존 공석으로 남아 있던 정무비서관, 제도개선비서관, 균형발전비서관 등 3자리에서 4자리로 늘어날 전망이다.
일각에선 수석급 이상의 인사 수요도 생길 수 있다는 전망도 조심스럽게 제기된다. 이는 청와대 수석의 내각 이동설과 무관하지 않다. 문재인 정부 출범 2년째로 지방선거가 끝난 뒤 본격적인 개혁 드라이브를 걸기 위해선 청와대 안에서 지근거리에서 문 대통령을 보좌하며 의중을 잘파악하고 있는 수석들이 국정의 일선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본인 의지와 무관하게 장하성 정책실장의 경제부총리 발탁, 정의용 국가안보실장과 조국 민정수석의 경우 각각 외교부 장관, 법무부 장관 이동설이 회자되는 이유가 이 때문이다. 하지만, 문 대통령이 지난 18일 주재한 수석보좌관회의에서 6·13지방선거 여당 압승을 거론하면서 "좋은 결과를 얻게 된 것은 전적으로 청와대 비서실과 내각이 아주 잘해준 덕분"이라고 언급한 것으로 미루어 개각폭을 최소한으로 제한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이럴 경우 청와대 수석급 이상 인사수요는 제한될 수 밖에 없을 전망이다.
보통 청와대 참모진은 여권의 초·재선급 전직 의원이나 대학교수 등 현 정권과 결을 같이하는 인사들이 기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는 시민단체 경력자도 등용되고 있다. 지방선거 끝난 현 시점에선 아예 불출마를 선언했거나 민주당 경선에서 탈락했던 인사도 대상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청와대 참모발탁은 전적으로 인사권을 쥔 문 대통령의 의중에 달려 있기 때문에 어느 누구도 예단키는 힘들다.
한편, 현재 청와대 내에서 차관급인 수석에는 충청출신 인사들이 없다. 앞서 전병헌(홍성) 전 정무수석은 검찰소환을 앞두고 스스로 사퇴한 바 있다. 다만, 수석과 같은 반열인 주영훈 경호처장이 금산출신이다. 비서관급(1급)으로는 나소열 자치분권비서관(서천), 조한기 의전비서관(서산), 최우규 홍보기획비서관(보령) 등이 있다. 역시 비서관급이었던 박수현 전 대변인(공주)은 지방선거 출마를 위해 사퇴한 바 있다. 선임행정관(2급)으로는 박영순(대전), 유행렬(청주), 이장섭(제천) 전 행정관이 있었지만 박 전 행정관과 유 전 행정관은 지방선거 출마를 이유로 사표를 제출했고 이 전 행정관 역시 충북도 정무부지사로 이동한 관계로 청와대에는 남아있지 않다.
서울=강제일 기자 kangjei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