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과학상 수상에 근접한 대한민국 연구자는 13명?

  • 경제/과학
  • IT/과학

노벨과학상 수상에 근접한 대한민국 연구자는 13명?

물리학상 3명, 화학상 8명, 생리의학상 2명
화학분야 세계적으로 성과 활발, 한국도 비슷한 현상
우리나라 과학자, 기초과학 아닌 응용과학에 편중
정부 차원 해외 저명학자들과 연구 교류 추진해야

  • 승인 2018-09-24 11:05
  • 이해미 기자이해미 기자
2018031601001302700056231
올해는 과연 노벨 과학상 한국인 수상자를 만날 수 있을까.

매년 한국인 수상자에 대한 기대감은 높아지고 있지만 현실이 되지 못하는 안타까운 실정이다.



올해도 노벨상 수상 발표가 다가오면서 또다시 수상자에 대한 기대감은 증폭되고 있다.

이에 한국연구재단은 노벨 수상자에 근접한 한국의 과학자들을 분석해 발표했다.



최근 10년간 노벨과학상 수사자의 연구성과와 비교할 때 이에 근접한 연구자를 추출해 분석했다. 피인용 수가 노벨상 수상자의 평균치에 도달했거나, 3년 이내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되는 연구자들이다.

다만 이는 노벨과학상 수상자의 연구업적에 근접한 한국 연구자를 탐색하기 위한 것으로, 노벨과학상 수상 가능성을 가늠하는 자료는 아니다.

한국연구재단은 현재까지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노벨과학상 수상의 연구성과에 근접한 연구자 13명을 선정했다.

물리
왼쪽부터 김필립, 정성욱, 이영희 교수
물리학은 3명이다. 김필립(하버드대, 51), 정성욱(럿거스대, 61), 이영희(성균관대, 63)교수다.

김필립 교수는 그래핀의 물리적 특성을 규명했다. 김 교수의 논문은 1996년부터 230편이 나왔고, 64.8%가 피인용 상위 10% 논문에 해당한다. 총 피인용 수는 6만429회로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의 평균치보다 무려 113% 더 많다.

정성욱 교수는 강상판작용전자계 신물질 합성이라는 연구 업적으로 가지고 있다. 현재까지 766편의 논문이 발표했고, 이 가운데 69.4%가 상위 10% 저널에 게재됐다.

이영희 교수는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전자소자와 연료전지를 연구한다. 논문의 총 피인용 수가 3만334회로 수상자들보다 6% 높은 수치다. 528편의 논문이 있고, 최근 5년간 피인용 수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다.

화학
왼쪽부터 현택환, 김광수, 유룡, 선양국, 윤주영, 조재필, 박남규, 석상일 교수.
화학은 8명으로 가장 많다. 현택환(서울대, 54), 김광수(UNIST, 68), 유룡(KAIST, 61), 선양국(한양대, 57), 윤주영(이화여대, 54), 조재필(UNIST, 51), 박남규(성균관대, 58), 석상일(UNIST, 59)교수다.

서울대 교수이자 IBS 나노입자 연구단 소속의 현택환 교수는 균일한 나노입자를 합성하는 승온법을 개발했다. 현 교수는 359편의 논문이 있고, 피인용 수가 4만6941회로 노벨화학상 수상자의 평균치보다 42% 많다. 최근 논문 발표 비율은 늘었지만 상위 저널 게재는 다소 감소했다.

리튬이차전지 양극과 음극 소재 원천기술을 개발한 김광수 교수. 80년부터 461편의 논문으로 이 가운데 68.8%가 상위 10% 저널에 게재됐다. 피인용 건수도 4만1370회다. 최근 5년 동안에도 102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유룡 교수는 KAIST 소속으로 새로운 구조 규칙적 메조다공성 실리카 및 탄소합성법을 개발했다. 유 교수의 논문은 279편이고 최근 5년 동안 63편의 논문을 통해 피인용 상위 10% 논문 비율이 33.3% 증가했고, 저널 게재 비율도 41.3% 증가했다.

선양국 교수는 차세대 고성능 리튬공기전기 기술을 개발했고 546편의 논문이 있다. 최근 5년간 논문 수와 피인용 수가 증가하는 추세로 230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이화여대 윤주영 교수는 생체 주요물질 이미징용 형광 센서 개발 및 분자인식 연구를 한다. 128편의 최근 논문 중 75%가 피인용 상위 10% 논문이다.

조재필 교수는 리튬이차전지 양극, 음극 소재 원천기술을 연구 중이다. 2013년부터 112편의 논문을 통해 피인용 상위 10% 논문 비율이 53.7%로 증가했다.

성균관대 박남규 교수는 2017년 노벨상 수상 예측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었다. 고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개발했고 최근 5년간 122편의 논문으로 68.9%가 피인용 상위 논문이다.

석상일 교수도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효율성 향상을 연구한다. 석 교수의 논문은 최근 5년 피인용 수가 급격히 상승하는 추세다. 50편의 논문 중 82% 피인용 상위 논문, 89.9%는 Cite Score 상위 10%에 게재됐다.

생리의학상
왼쪽부터 이서구, 김빛내리 교수
생리의학상은 이서구(연세대, 75), 김빛내리(서울대, 49)교수다.

이서구 교수는 진핵세포의 생리작용에 관여하는 인지질 분해효소를 발견하고 역할과 작용을 규명했다. 노벨과학상 수상자와 비슷한 성과를 도출한 연구자로 총 피인용 수가 3만4850회다.

김빛내리 교수는 13명의 연구자 중 유일한 여성과학자다. 김 교수는 신체 성장조절 MicroDNA와 표적 유전자 발견을 연구한다. 김 교수의 피인용 수 기준은 3년 내외에 노벨상 수상자와 비슷한 성과를 도출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다만 아쉬운 것은 우리나라 연구자들의 연구주제는 기초과학이 아닌 응용과학에 편중돼 있었다. 국제 경쟁력 강화 및 다양한 기술 분야로 발전과 활용을 위해 기초과학 활성화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3. 파주시, 운정신도시 교통혼잡 교차로 신호체계 개선
  4. 고양시, 2026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 모집
  5.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1.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2.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3.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4.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5. 대전 환경단체, 열병합발전 발전용량 증설 승인 전기위 규탄

헤드라인 뉴스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대전지역에 1000만원 이상 고액·상습 체납자 247명의 명단이 공개됐다. 대전시는 19일 지방세 및 지방행정제제·부과금 체납액이 각 1000만 원 이상인 고액·상습체납자의 명단을 시 누리집 및 위택스를 통해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고액·상습체납자는 올해 1월 1일 기준 체납 발생일부터 1년이 지난 1000만 원 이상 체납자이며 지난 10월까지 자진 납부 및 소명 기회를 부여한 후 지방세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됐다. 공개된 정보는 체납자의 성명·상호(법인명), 나이, 직업, 주소, 체납세목, 납부기한 및 체납요지 등이며..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을 넘어'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7년 두 개 섬에서의 행사 이후에는 2029년 3개 섬에서, 2031년에..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