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양승숙 충남여성정책개발원장 |
이와 같은 어업인구의 감소와 노령화 과정에서 여성의 어업활동 참여 확대는 어촌사회의 안정적 발전을 위한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농림어업조사의 성별 어가인구의 분포를 살펴보면 남성이 49.8%, 여성이 50.2%를 차지하고 있어 여성어업인구는 전체의 절반을 넘어섰다. 2016년 해양수산부의『여성어업인 실태조사』에 따르면 어업가구 전체 소득에 대한 여성의 기여율은 평균 56.2%로 사실상 여성어업인들이 수산업과 어촌유지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어가의 여성들은 가사와 돌봄의 역할뿐만 아니라 채취, 어구 손질, 수산물 전처리 가공, 승선조업 등 어업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최근 수산업 6차 산업화와 관련하여 수산물 가공 및 판매, 어촌 관광 등 변화하고 있는 어촌 경제에서 여성의 참여는 더욱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여성어업인의 경제적·사회적 위상은 여전히 낮고, 남성어업인의 보조자로 인식되고 있다. 충청남도여성정책개발원에서 지난 2017년 실시한『충청남도 여성어업인 실태조사』에 따르면, 충청남도는 전국에서 두 번째로 어가가 많은 지역이며 전체 어업종사자 중 여성의 비중이 53.2%(남성 46.8%)로 여성어업인의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여성어업인 응답자의 절반 이상인 53.4%가 여성어업인 스스로를 '보조적 어업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남편과 동등한 공동어업인'으로 인식하는 경우는 23.8%, '전문적인 여성어업인'으로 자신의 지위를 인식하는 경우는 불과 5.3% 수준이었다. 여성어업인들은 성차별, 건강상의 문제, 어업 환경의 위험성, 장비 사용의 어려움, 차별적으로 제공되는 교육 기회, 제한적인 의사결정권, 활성화되지 않는 여성어업인 단체 활동의 어려움 등을 경험하고 있었다. 어촌지도자협의회, 어업인후계자, 마을개발위원회 등 주요 단체의 여성 참여율은 약 3~5%대에 머물고 있었다.
국제사회는 해양수산 분야에서 여성이 경험하는 차별과 불평등을 분석하는 성(젠더- gender)인지적 관점의 접근을 추진하고 있다. 교육훈련 참여의 성별 현황, 자원 접근과 의사 결정에 대한 성별 차이에 주목하고 수산업 분야에서 남녀 차별을 최소화하기 위한'수산업 분야의 성평등 계획'을 수립하는 등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충청남도의 해양수산정책은 서해안비전의 선포와 '해양수산발전계획' 수립을 통해 "바다에서 새로운 미래 성장 동력 창출과 수산업의 미래 산업화 및 어촌 활력화"의 실현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어촌 지역의 고령화 및 노동인력 감소 추세 속에서 해양수산 분야의 활력을 불어넣고 지역적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추진 과정에 "여성어업인의 가치"는 더욱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최근 충청남도는 여성어업인의 역량을 강화하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충청남도 여성어업인 정책 기본계획'수립의 막바지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어업 분야에서의 지역여성의 기여도를 가시화하는 한편 여성어업인들의 현안에 대한 정책적 관심과 체계적인 정책 추진을 통해 실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여성어업인들은 지역 어촌을 이끌어 나가는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미래 수산업을 이끌어 나갈 소중한 자원이다. 어촌의 발전을 위한 여성어업인들의 노고에 진심어린 격려와 지지를 보낸다. (양승숙 충남여성정책개발원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