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은 23일 시당 노동위원회를 출범한다. 위원장은 이종호 대전시의원(동구2·민주)이 맡는다. 노동위원회는 지역에 맞춘 노동 관련 공약 발표 등을 준비한다. 시당은 출범식 당일 당원들이 한 데 모이는 만큼, 선거법 위반 등에 대한 교육도 병행한다는 계획이다. 26일엔 여성당원을 대상으로 한 전진대회로 예고됐다. 60대 이상 지지층을 두껍게 하기 위한 '노인위원회' 출범도 다음 달 앞두고 있다. 노인위원회 위원장은 김종천 유성구 갑 지역위원회 간사다. 위원회는 노인 정책을 발굴한다. 민주당의 이 같은 행보는 지지층 기반 다지기와 더불어 중도층 표심을 사로잡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각 여론조사에서 지역 민심이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과 근소한 차이로 좁혀지자 위원회 출범을 통해 민주당 표심 확대와 발 빠른 정책 마련으로 한 발 나서겠다는 의지가 포함된다. 여기에 돌아선 민심도 돌려세우겠다는 의미도 내포된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사퇴와 문재인 대통령이 충남을 방문했음에도 지역 숙원사업인 혁신도시 지정에 대해선 공식적인 견해를 내놓지 않자 지역민의 여론이 심상치 않기 때문이다. 리얼미터가 YTN 의뢰로 지난 7~8일, 10~11일 전국 19세 이상 성인 2502명을 대상으로 조사(95% 신뢰수준 표본오차 ±2.0%p)한 결과에서 대전·세종·충청 문 대통령 국정수행 부정적 평가는 63%다. 긍정평가(34.9%)보다 턱없이 낮은 수치다. 또 여러 여론조사에서도 한국당이 뒤를 바짝 추격하자 지지층 결집에 나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당은 다음주까지 충청권 당무감사를 진행 중이다. 이번 주 원외 지역을, 다음 주엔 원내지역으로 확대해 감사 일정을 마친다. 한국당은 당원과 지역주민 등 현장 이야기를 귀담아듣고 평가한 결과를 토대로 각 당협위원장을 평가해 '세대교체' 또는 '유지'를 할 계획이다. 저평가된 지역은 중도층 표심을 가져오기 위해서라도 교체가 단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공천 지표로 활용되는 만큼 칼바람이 불 가능성도 적잖다. 결과가 나오는 대로 조직정비에 들어가고, 충청권 민심이 야권으로 향하는 만큼 '히든카드'로 표심 몰이에 반영할 가능성이 점쳐진다.
범야권인 바른미래당 대전시당은 지난 19일 핵심당원을 대상으로 한 총선준비 교육에 돌입했다. 핵심 당원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본격 총선 준비 모드에 들어가는 모양새다. 다만, 한국당과의 보수통합설과 신창당설 등이 나오고 있어 뒤숭숭한 분위기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총선이 6개월도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지역 정당별로 본격 준비상태에 들어가는 모양새"라며 "예비후보 등록일 시작인 12월 17일 전까지 탄탄한 조직정비를 통해 기반을 잡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