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11월 14일 전국적으로 실시된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채점 결과를 3일 발표했다. 성적표는 4일 수험생 개인별로 배부된다.
올해 수능 응시자는 재학생 34만7765명, 졸업생 13만6972명으로 총 48만4737명이다. 50만명 아래로 떨어진 것은 수능 시행이후 처음이다.
영역별 표준점수 최고점(만점자)의 경우 국어영역은 140점, 이공계열 학생들이 선택하는 수학 가형은 134점, 인문사회계열 학생이 주로 치르는 수학 나형은 149점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국어영역 표준점수 최고점은 150점, 수학 가형은 133점, 수학 나형은 139점에 비교해 볼 때 국어는 10점 내려가고, 수학 가와 수학 나는 각각 1점, 10점 높아졌다.
표준점수는 수험생의 원점수가 평균성적과 얼마나 차이 나는지 나타내는 점수다. 시험이 어려워 평균이 낮으면 표준점수 최고점은 높아지고, 시험이 쉬우면 표준점수 최고점은 낮아진다.
올해 국어 만점자는 전년도 148명(0.03%)에 비해 777명(0.16%)으로 늘었다. 수학 만점자는 지난해 가형 655명(0.39%), 나형 810명(0.24%)에서 올해 가형 893명(0.58%), 나형 661명(0.21%)으로 가형은 늘고 나형은 줄어 들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채점 결과 발표를 통해 "2020학년도 전과목 만점자는 모두 15명이며 이 중 재학생이 13명, 졸업생은 2명"이라고 밝혔다.
1등급과 2등급을 구분하는 표준점수(1등급 컷)은 국어영역에서 131점, 수학 가형 128점, 수학 나형 135점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각각 132점, 126점, 130점에 비해 국어는 1점 떨어지고 수학 가형 2점, 나형이 5점 올랐다.
절대평가인 영어영역 1등급 비율은 7.43%인 3만5796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수능 5.3%보다 늘어 다소 쉬웠던 것으로 보인다. 정시에서는 영어 등급간 점수차이가 적은 대학이 많아 당락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사 영역 1등급 비율은 20.32%인 9만8490명이었다.
탐구영역 1등급 컷은 사회탐구 62∼68점, 과학탐구 64∼68점, 직업탐구 65∼76점이다. 제2외국어/한문 영역의 경우 과목에 따라 65∼80점으로 나타났다.
탐구영역은 과목별 난이도 편차가 컸다. 사회탐구 표준점수 최고점은 경제가 68점으로 가장 높았고 윤리와 사상이 62점으로 가장 낮았다. 과학탐구는 물리Ⅱ가 68점으로 가장 높고 물리Ⅰ·화학Ⅰ·생명과학Ⅱ이 각각 64점으로 낮았다.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올해도 아랍어가 93점으로 가장 높아 '아랍어 로또' 현상은 계속됐다. 독일어·스페인어·일본어는 각 65점으로 낮았다.
한기온 제일학원 이사장은 "지난해보다 국어와 영어는 다소 쉽게 출제됐지만 전체적으로 변별력이 있는 시험이었다"며 "2020학년도 정시모집에서 인문계는 국어와 수학, 자연계는 국어와 과학탐구가 당락을 좌우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고미선 기자 misunyd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