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채점결과] 국어·영어 다소 쉽고 수학 어려워… 전과목 만점자 15명

  • 사회/교육
  • 교육/시험

[수능 채점결과] 국어·영어 다소 쉽고 수학 어려워… 전과목 만점자 15명

  • 승인 2019-12-03 22:23
  • 신문게재 2019-12-04 3면
  • 고미선 기자고미선 기자
clip20191203222315
올해 수능은 지난해보다 국어와 영어는 다소 쉬웠고, 수학은 가형과 나형 모두 어렵게 출제됐다. 또 전과목 만점자는 모두 15명이 나왔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11월 14일 전국적으로 실시된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채점 결과를 3일 발표했다. 성적표는 4일 수험생 개인별로 배부된다.



올해 수능 응시자는 재학생 34만7765명, 졸업생 13만6972명으로 총 48만4737명이다. 50만명 아래로 떨어진 것은 수능 시행이후 처음이다.

영역별 표준점수 최고점(만점자)의 경우 국어영역은 140점, 이공계열 학생들이 선택하는 수학 가형은 134점, 인문사회계열 학생이 주로 치르는 수학 나형은 149점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국어영역 표준점수 최고점은 150점, 수학 가형은 133점, 수학 나형은 139점에 비교해 볼 때 국어는 10점 내려가고, 수학 가와 수학 나는 각각 1점, 10점 높아졌다.



표준점수는 수험생의 원점수가 평균성적과 얼마나 차이 나는지 나타내는 점수다. 시험이 어려워 평균이 낮으면 표준점수 최고점은 높아지고, 시험이 쉬우면 표준점수 최고점은 낮아진다.

올해 국어 만점자는 전년도 148명(0.03%)에 비해 777명(0.16%)으로 늘었다. 수학 만점자는 지난해 가형 655명(0.39%), 나형 810명(0.24%)에서 올해 가형 893명(0.58%), 나형 661명(0.21%)으로 가형은 늘고 나형은 줄어 들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채점 결과 발표를 통해 "2020학년도 전과목 만점자는 모두 15명이며 이 중 재학생이 13명, 졸업생은 2명"이라고 밝혔다.

1등급과 2등급을 구분하는 표준점수(1등급 컷)은 국어영역에서 131점, 수학 가형 128점, 수학 나형 135점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각각 132점, 126점, 130점에 비해 국어는 1점 떨어지고 수학 가형 2점, 나형이 5점 올랐다.

절대평가인 영어영역 1등급 비율은 7.43%인 3만5796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수능 5.3%보다 늘어 다소 쉬웠던 것으로 보인다. 정시에서는 영어 등급간 점수차이가 적은 대학이 많아 당락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사 영역 1등급 비율은 20.32%인 9만8490명이었다.

탐구영역 1등급 컷은 사회탐구 62∼68점, 과학탐구 64∼68점, 직업탐구 65∼76점이다. 제2외국어/한문 영역의 경우 과목에 따라 65∼80점으로 나타났다.

탐구영역은 과목별 난이도 편차가 컸다. 사회탐구 표준점수 최고점은 경제가 68점으로 가장 높았고 윤리와 사상이 62점으로 가장 낮았다. 과학탐구는 물리Ⅱ가 68점으로 가장 높고 물리Ⅰ·화학Ⅰ·생명과학Ⅱ이 각각 64점으로 낮았다.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올해도 아랍어가 93점으로 가장 높아 '아랍어 로또' 현상은 계속됐다. 독일어·스페인어·일본어는 각 65점으로 낮았다.

한기온 제일학원 이사장은 "지난해보다 국어와 영어는 다소 쉽게 출제됐지만 전체적으로 변별력이 있는 시험이었다"며 "2020학년도 정시모집에서 인문계는 국어와 수학, 자연계는 국어와 과학탐구가 당락을 좌우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고미선 기자 misunyd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2. 베일 벗은 대전역세권 개발계획…내년 2월 첫삽 확정
  3. 고양시, 2026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 모집
  4. 파주시, 운정신도시 교통혼잡 교차로 신호체계 개선
  5.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1.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2.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3. 전국 학교 릴레이 파업… 20일 세종·충북, 12월 4일 대전·충남
  4.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5.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헤드라인 뉴스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논란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논란

새 정부의 국정과제인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둘러싼 잡음이 끊이질 않고 있다. 전국 거점국립대 9곳 모두 서울대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재정을 집중 지원한다는 방침이지만, 예상과 달리 평가에 따라 일부 대학에 예산을 몰아주거나 차등 지원한다는 얘기가 나오면서다. 여기에 일반 국립대와 사립대까지 지원 대상을 확대해야 한다는 건의까지 속출하면서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19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전날인 18일 내년도 예산안을 심의한 국회 예결위 예산소위는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위한 '국립대학 육성' 사업비 심사를 보류한 것으로..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을 넘어'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7년 두 개 섬에서의 행사 이후에는 2029년 3개 섬에서, 2031년에..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