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지난 4일 한 대학 기숙사 건물에 균열이 간다는 글이 온라인 커뮤니티 등을 통해 확산이 됐다. 해당 대학은 즉각적으로 현장 확인에 돌입했으며, 학생들이 퇴실한 이후 20일부터 보수공사를 할 예정이다.
건물 시공에 사용된 ALC블럭은 단열, 난연(불이 잘 안 붙는 것), 불연(연기가 안 나는 것)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흡음력이 뛰어나 시공 당시 뛰어난 건축 재질로 평가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때문에 당시 신축 원룸 등 2010년께 지어진 건물들 중 일부는 이 블럭을 사용했다고 전했다. 하지만 재질의 특성상 수축 현상이 발생하며 균열이 생겨 최근에는 잘 사용하지 않는 재질로 드러났다.
대학 시설팀 관계자는 "건물 구조는 철근 콘크리트로 돼 있다"며 "호실 간막에 생긴 균열이라 건물 전체적으로 퍼지거나 구조에 영향을 줄 위험은 없다"고 설명했다.
또 보수 과정에 대해서는 "균열이 심한 곳은 브이 컷팅을 하고 그라우팅이라는 재료를 주입해 균열 부분을 메울 예정이다. 심하지 않은 곳은 망사 테이프를 붙이고 미장으로 마감할 계획"이라며 "재료의 특성상 일정 시간이 지나면 또 이런 현상이 발생할 수는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부천의 A대학에서도 이와 유사한 사례가 발생했다. 이 대학도 건물 구조안전진단에서 '양호' 판정을 받았지만 벽 갈라짐 현상 등이 발생한 것으로 밝혀져, 해당 대학은 정밀안전점검을 시행했다.
지은 지 10년이 된 건물에서 균열이 발생한 만큼 대학 구조물의 안전 관리 규정을 보다 엄격하게 해야 한다는 지적도 잇따르고 있다. 현재 준공 40년 이상이 된 건물은 정밀진단을 실시해야 한다.
9일 대학알리미 '2019년 시설 안전관리 현황'에 따르면 대전지역 대학 중 40년 이상 건물은 배재대 1곳, 우송대 4곳, 한남대 13곳이며, 7개 대학 모두 올 해빙기, 국가안전대진단 기간에 건물을 점검했다. 7개 대학의 안전점검 결과 '우수'인 A등급을 받은 건물은 40년 이상 건물 3곳, 40년 미만 건물 176곳이다. '양호'인 B등급은 각각 11곳, 111곳으로 밝혀졌다.
한 대학 관계자는 "학생들이 생활하는 공간인 만큼 타 건물들보다 꼼꼼하게 점검해야 한다"며 "안전에 문제가 없을지라도 학생들을 불안에 떨게 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김유진 기자 1226yujin@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