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상촬영이 가능한 다목적 스튜디오 부지 모습 |
21일 대전시와 한국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한국콘텐츠진흥원은 지난달 30일 '수상촬영이 가능한 다목적 스튜디오 조성 기본계획 및 설계용역' 공고를 냈다. 입찰은 다음 달 6일 진행되며 10일 마감된다. 용역 기간은 8개월이다.
이 용역은 방송영상 산업계의 다양한 촬영수요를 반영하고 시설 활용가치 극대화를 위해 수상촬영이 가능한 다목적 스튜디오 구축을 통한 방송영상콘텐츠 생산 거점 확충 및 지역 인프라와 연계한 시너지 효과 도모하기 위해서다.
수상촬영이 가능한 다목적 스튜디오는 대전시 엑스포과학공원(유성구 대덕대로 480) 스튜디오큐브 내 조성될 예정이다. 건축 연면적은 3600㎡(스튜디오 3,025㎡+부대시설 575㎡)로 수조의 크기 및 깊이는 50m×47.5m (깊이: 1.2m)로 구축될 전망이다. 4면에 크로마키보드 설치가 설치되며 그리드아이언+바튼(바튼까지 높이18m)이 설치된다.
수상촬영이 가능한 다목적 스튜디오는 가상공간이 배경이 돼 VFX합성이 많이 필요한 판타지물과 수상촬영(폭풍,폭우,재난 등의 상황연출), 실내 일반 세트 촬영 등으로 쓰이게 된다. 예상 공사비는 70~79억원이다.
당초에는 야외 수상·해양복합 시뮬레이션 촬영장으로 구축될 계획이었지만, 사업 부지 적합 여부 때문에 지지부진했다. 사업을 추진하는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외부 연구 기관에 사업 타당성 연구 용역을 한 결과 대상 부지가 적합하지 않다는 결론을 받기도 했다.
인근에 조성 중인 사이언스콤플렉스 영향이 컸다. 40층 이상의 고층 건물이 인근에 위치하기 때문에 촬영 보안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제작사들이 가장 신경 쓰는 부분 중 하나가 보안이다. 소음 문제 해결도 쉽지 않다. 더욱이 현재 수상 촬영 수요가 많지 않아 운영에 어려움도 예상됐다.
결국 시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은 전문가 회의를 통해 다목적 시설로 궤도 수정을 했고, 타당성 조사를 통해 경제성이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대전시는 스튜디오 큐브와 함께 영상산업을 이끄는 기반시설이 될 것으로 기대감을 내비쳤다. 더욱이 시가 앞으로 이 일대를 융복합특수영상콘텐츠 클러스터로 조성할 계획을 갖고 있어 큰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전망했다.
대전시 관계자는 "기존 스튜디오 큐브에 수상 다목적 스튜디오까지 조성된다면 좀 더 많은 영화나 드라마 등 영상촬영 유치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대전시가 고부가가치 영화·드라마 산업 중심지 도약할 계기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한편 대전시는 2021년부터 2024년까지 유성구 도룡동 일대에 연면적 5만3808㎡, 지하 4층, 지상 10층 규모로 특수영상 제작 스튜디오와 특수 촬영장비 특화시설, 5G 기반 영상전송·저장, 회의 시스템 등 집적 단지를 조성할 예정이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