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9일 김정섭 공주시장이 브리핑을 하고 있다. |
김정섭 공주시장은 19일 브리핑을 통해 "2021년 대백제전을 치룬 뒤, 2022년 백제문화제부터는 격년제로 치르기로 이사회에서 합의 됐다"고 밝힌 것에 대해 시민들이 "말도 안된다"며 발끈하고 있다.
백제문화제추진위는 18일 이사회를 개최하고, 2021년 제67회 백제문화제는 국제행사 규모인 '대백제전'으로 치르고, 2022년 제68회 백제문화제부터는 공주시와 부여군이 격년제로 각각 개최키로 합의했다.
백제문화제를 격년제로 치러져야 한다고 거론된 것은 지난해 제 65회 백제문화제가 치르고 난 뒤 부여지역 모 도의원이 도의회 회기중에 5분발언을 통해 거론되면서 발단 됐다.
즉 백제문화제 종합평가에서 공주에는 수십만 인파가 몰렸지만 부여에는 공주시 만큼 인파가 몰리지 않자 "예산·인력 비효율, 콘텐츠부재 및 내용중복" 등을 거론하며 "예산낭비다"라는 등의 주장이 있었다.
이 같은 사안이 거론되자 기자는 공식적인 브리핑에서 김정섭 공주시장의 입장은 뭣인가 물었는데 김 시장은 "아직 생각해 본적 없다"며 "공주시민들은 매년 개최를 원할 것이다"말하고 "(만약 부여군이 격년제를 주장한다면)계절에 따른 축제 즉 부여군은 봄에 공주시는 가을에 하면 될 것 같다는 등의 예를 들며 부여군과 심도 있게 협의를 거쳐 결정하겠다"고 답했었다.
그런데 이날 이사회에서 공주시민들에게 묻지도 않은 사안을 김정섭 시장이 전격 격년제로 치른다는 합의는 있을수 없다는 주장으로 "시민들과의 생각을 무시한 처사다"며 시민들이 분개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 백제문화제를 통해 관광의 도시 공주의 이미지를 대내외에 알리는 중요한 축제를 김 시장 단독 결정한 것에 납득이 안간다는 반응이다.
게다가 공개행정을 강조하면서 "구)공주의료원 등 활용방안" 등 일련의 사안들에 대해 SNS를 통에 시민들의 의견을 물어왔던 김 시장의 이번 결정은 "정치적인 색깔이 좌우된 것이다"라고 지적하고 있다.
이와 관련, 공주시민들은 "공주시의 대표적인 축제를 부여에 양보한 것이다"며 "김정섭 시장의 이번 결정은 절대적 수용할 수 없다. 즉시 번복돼야 한다"고 강력 반발하고 있다.
한편, 이날 백제문화제추진위원회 이사회에서는 부여군 소재 백제문화단지관리사업소 회의실에서 김정섭 공주시장, 박정현 부여군수, 재단 이사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백제문화제는 2020년까지 현행 통합개최를 유지 ▲2021년 제67회 백제문화제는 합동 대백제전으로 개최 ▲2022년 제68회 백제문화제부터 격년제로 개최한다는 등의 내용을 의결했다.
올해 치러지는 제66회 백제문화제는 오는 9월 26일부터 10월 4일까지 공주시와 부여군 일원에서 '한류원조 백제를 즐기다'란 주제로 개최키로 했다. 공주=박종구 기자 pjk006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