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다섯 덩이의 빵과 물고기 두 마리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다섯 덩이의 빵과 물고기 두 마리

  • 승인 2020-04-01 10:16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KakaoTalk_20200401_100314541


내가 자란 고향의 면소재지엔 자그마한 교회가 있다. 워낙 궁벽한 시골이어서 면소재지라고 해도 그럴 듯한 건물은 초등학교, 지서, 면사무소 그리고 마을 끄트머리에 붙어있는 교회가 전부였다. 고딕 양식의 교회는 제법 멋들어졌다. 뾰족한 첨탑과 살구색의 건물 외양이 밀레의 그림처럼 꽤나 이국적인 분위기였다. 교회는 내가 사는 마을에서도 멀리 보였는데 아스라한 풍경에 매료돼 사춘기 적 『제인 에어』의 소설적 상상에 사로잡히곤 했다. 소박하지만 범접할 수 없는 위엄이 깃든 교회는 나에게 동경의 대상이었다.



그 교회를 초등학교 때 동네 친구들과 몇 번 간 적이 있다. 여름방학이 오면 교회 선생님(전도사)들은 마을에 와서 아이들을 데려갔다. 여름성경학교가 열리는 계절이 온 것이다. 우리는 신나서 교회 선생님을 따라갔다. 교회 안을 처음 본 나는 눈이 휘둥그레졌다. 오르간 소리가 높다란 천장에 천상의 소리처럼 울려퍼졌다. 천사의 목소리 같았다. 햇볕에 그을려 시컴댕이 같은 우리는 자애로운 선생님을 따라 찬송가를 배웠다. 노래도 부르고 사랑 충만한 하나님의 말씀을 열심히 듣고 나면 교회 선생님은 우리에게 선물을 나눠줬다. 과자와 사탕. 이거야말로 하나님의 큰 사랑이었다. 사실 그것 때문에 아이들은 교회를 갔다. 바삭바삭한 쿠키와 달콤한 사탕을 입에 넣을 때의 행복을 뭐에 비할까.

사람의 마음을 가장 사기 쉬운 것이 음식이다. 예수의 아버지 하나님도 사탕 하나, 과자 몇 개로 천진한 아이들을 마술피리처럼 꾀었지 뭔가. 맛있는 밥 한 그릇. 상대방을 무장해제시키는 데 이만한 방법도 없다. 한 친구는 회사 후배들과 식당에 가면 지갑 여는데 1초의 망설임도 없었다. 커피 값도 친구가 낸다고 했다. 그뿐인가. 일 끝나고 술집에 가도 계산은 친구 몫이었다. 이 관성에 익숙한 후배들은 나중엔 당연히 선배가 사려니 한다는 것이다. 친구는 변변찮은 월급으로 저축은 고사하고 늘 카드 값에 허덕였다. 보다못한 내가 나무랐다. 친구는 시니컬한 어조로 토로했다. "밥이라도 사주니까 걔네들이 날 상대하는 거야. 내가 외로워서, 인정받고 싶어서 돈을 지불하고 사랑을 사는 거지." 예수도 울고 갈 친구의 말 못할 허세의 사연은 이랬다.



유년 시절 교회 선생님의 '유혹'에 못 이겨 교회에 간 것 말고는 끝이었다. 그러다 대학 다니면서 개척교회에 발을 들였다. 중년의 목사는 다른 일을 하다 뒤늦게 신학대학원을 나온 신출내기 목사였다. 목사는 종교적 사명감은 투철했지만 신자가 열 명도 안됐다. 가난한 동네였기 때문에 교회도, 신자들도, 그리고 나도 가난했다. 일요일엔 오전 예배를 보고 교회 사택에서 다함께 점심을 먹었다. 목사와 사모(부인)는 두레상에 방금 푼 밥을 나르며 많이 먹으라고 손을 끌었다. 우리는 상에 둘러앉아 뜨끈한 찌개와 겉절이 등으로 한 가족처럼 밥을 먹었다. 당시 나는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교회에 나갔지만 신자가 너무 없어 목사 부부의 생계가 걱정될 정도였다. 그래도 목사 부부는 항상 미소를 띠었다. 나의 교회 입문은 두 달 만에 또 끝났다.

내가 종교적 인간이 아닌 것은 분명하다. 신이 날 거부하는 건지 내가 신의 부름에 응답 못하는 건지는 모르겠으나 도대체가 감응이 안 생긴다. 이런 나에 대해 고민도 했지만 교회에 가는 일은 앞으로도 없을 것이다. 한국 종교는 자본의 관점에서 해석이 가능하다. 권력은 부패한다고 했다. 돈의 맛을 본 종교도 부패의 악취가 진동한다. 네 이웃을 사랑하라? 지금 상식을 뭉갠 일부 교회의 행태는 한국 종교가 철학의 부재에서 출발했다는 걸 증명한다. 설교는 재미없었지만 '다섯 덩이의 빵과 물고기 두 마리'로 가난한 이들을 배불리 먹인 개척교회 목사는 지금 어떻게 살고 있을까. <미디어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안양시, 평촌신도시 정비 ‘청신호’ 가속
  2. 환자 목부위 침 시술 한의사, 환자 척수손상 금고형 선고
  3. 대전서 교통사고로 올해 54명 사망…전년대비 2배 증가 대책 추진
  4. 위기 미혼한부모 가정에 3000만 원 후원금 전달
  5. 인문정신 속의 정치와 리더십
  1. 대학 라이즈 사업 초광역 개편 가능성에 지역대학 기대·우려 공존
  2. 자립준비청년 자기계발비 300만원 후원
  3.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4. [썰] 박범계, 검찰 대장동 항소 포기 사태… "득 or 실?"
  5. "행정수도 세종 완성, 당에서 도와달라"

헤드라인 뉴스


라이즈사업 초광역 개편 가능성에… 지역대 기대·우려 공존

라이즈사업 초광역 개편 가능성에… 지역대 기대·우려 공존

새 정부 '5극 3특' 국가균형발전전략에 따라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라이즈) 사업' 초광역화 개편 가능성에 지역사회에서 기대와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사업 수행지역이 시도 단위에서 권역으로 확장되면 지역대학들의 시도 간 협업이 가능해지지만, 공동과제 부담이나 경쟁이 심화 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특히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있어 초 광역화 개편 시점에 대한 우려가 크다. 기존에 각 시도가 사업 수행 과제를 정하고 대학들이 이에 맞추는 경직된 구조가 이어진다면 권역 단위에서도 공동과제 추진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대전 청약시장 쏠림현상 뚜렷… 옥석가리기 심화되나
대전 청약시장 쏠림현상 뚜렷… 옥석가리기 심화되나

올해 대전 아파트 청약시장에서는 특정 지역으로 수요가 집중되는 쏠림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입지와 분양가 등 경쟁력을 갖춘 인기 단지가 선별되면서 '옥석 가리기'가 한층 심화되는 분위기다. 17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분양에 나선 '도룡자이 라피크'가 침체된 분양 시장에서 높은 인기를 끌었다. GS건설이 공급한 도룡자이 라피크는 1~2순위 청약에서 214세대 모집에 3636건이 접수되며 평균 16.9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특히 84㎡B형은 59.16 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이며 대부분 1..

민주당, 내년 지방선거 공천 위해 모든 당원 ‘1인 1표’ 도입
민주당, 내년 지방선거 공천 위해 모든 당원 ‘1인 1표’ 도입

2026년 6월 3일 지방선거를 앞두고 더불어민주당이 공천을 위해 모든 당원에게 ‘1인 1표’를 부여하는 내용의 당헌·당규 개정에 착수한다. 그동안 대표나 최고위원 선출 시 대의원과 권리당원 투표 반영 비율을 20:1 미만으로 했던 규정을 개정해 모든 당원에게 투표권을 동등하게 부여하겠다는 것이다. 정청래 대표는 17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에서 "내년 6·3지방선거에서 열린 공천 시스템으로 공천 혁명을 이룩하겠다"며 "19일과 20일 이틀간 1인 1표 시대 당원 주권 정당에 대한 당원 의사를 묻는 역사적인 전 당원 투표를 실시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