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다섯 덩이의 빵과 물고기 두 마리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다섯 덩이의 빵과 물고기 두 마리

  • 승인 2020-04-01 10:16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KakaoTalk_20200401_100314541


내가 자란 고향의 면소재지엔 자그마한 교회가 있다. 워낙 궁벽한 시골이어서 면소재지라고 해도 그럴 듯한 건물은 초등학교, 지서, 면사무소 그리고 마을 끄트머리에 붙어있는 교회가 전부였다. 고딕 양식의 교회는 제법 멋들어졌다. 뾰족한 첨탑과 살구색의 건물 외양이 밀레의 그림처럼 꽤나 이국적인 분위기였다. 교회는 내가 사는 마을에서도 멀리 보였는데 아스라한 풍경에 매료돼 사춘기 적 『제인 에어』의 소설적 상상에 사로잡히곤 했다. 소박하지만 범접할 수 없는 위엄이 깃든 교회는 나에게 동경의 대상이었다.



그 교회를 초등학교 때 동네 친구들과 몇 번 간 적이 있다. 여름방학이 오면 교회 선생님(전도사)들은 마을에 와서 아이들을 데려갔다. 여름성경학교가 열리는 계절이 온 것이다. 우리는 신나서 교회 선생님을 따라갔다. 교회 안을 처음 본 나는 눈이 휘둥그레졌다. 오르간 소리가 높다란 천장에 천상의 소리처럼 울려퍼졌다. 천사의 목소리 같았다. 햇볕에 그을려 시컴댕이 같은 우리는 자애로운 선생님을 따라 찬송가를 배웠다. 노래도 부르고 사랑 충만한 하나님의 말씀을 열심히 듣고 나면 교회 선생님은 우리에게 선물을 나눠줬다. 과자와 사탕. 이거야말로 하나님의 큰 사랑이었다. 사실 그것 때문에 아이들은 교회를 갔다. 바삭바삭한 쿠키와 달콤한 사탕을 입에 넣을 때의 행복을 뭐에 비할까.

사람의 마음을 가장 사기 쉬운 것이 음식이다. 예수의 아버지 하나님도 사탕 하나, 과자 몇 개로 천진한 아이들을 마술피리처럼 꾀었지 뭔가. 맛있는 밥 한 그릇. 상대방을 무장해제시키는 데 이만한 방법도 없다. 한 친구는 회사 후배들과 식당에 가면 지갑 여는데 1초의 망설임도 없었다. 커피 값도 친구가 낸다고 했다. 그뿐인가. 일 끝나고 술집에 가도 계산은 친구 몫이었다. 이 관성에 익숙한 후배들은 나중엔 당연히 선배가 사려니 한다는 것이다. 친구는 변변찮은 월급으로 저축은 고사하고 늘 카드 값에 허덕였다. 보다못한 내가 나무랐다. 친구는 시니컬한 어조로 토로했다. "밥이라도 사주니까 걔네들이 날 상대하는 거야. 내가 외로워서, 인정받고 싶어서 돈을 지불하고 사랑을 사는 거지." 예수도 울고 갈 친구의 말 못할 허세의 사연은 이랬다.



유년 시절 교회 선생님의 '유혹'에 못 이겨 교회에 간 것 말고는 끝이었다. 그러다 대학 다니면서 개척교회에 발을 들였다. 중년의 목사는 다른 일을 하다 뒤늦게 신학대학원을 나온 신출내기 목사였다. 목사는 종교적 사명감은 투철했지만 신자가 열 명도 안됐다. 가난한 동네였기 때문에 교회도, 신자들도, 그리고 나도 가난했다. 일요일엔 오전 예배를 보고 교회 사택에서 다함께 점심을 먹었다. 목사와 사모(부인)는 두레상에 방금 푼 밥을 나르며 많이 먹으라고 손을 끌었다. 우리는 상에 둘러앉아 뜨끈한 찌개와 겉절이 등으로 한 가족처럼 밥을 먹었다. 당시 나는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교회에 나갔지만 신자가 너무 없어 목사 부부의 생계가 걱정될 정도였다. 그래도 목사 부부는 항상 미소를 띠었다. 나의 교회 입문은 두 달 만에 또 끝났다.

내가 종교적 인간이 아닌 것은 분명하다. 신이 날 거부하는 건지 내가 신의 부름에 응답 못하는 건지는 모르겠으나 도대체가 감응이 안 생긴다. 이런 나에 대해 고민도 했지만 교회에 가는 일은 앞으로도 없을 것이다. 한국 종교는 자본의 관점에서 해석이 가능하다. 권력은 부패한다고 했다. 돈의 맛을 본 종교도 부패의 악취가 진동한다. 네 이웃을 사랑하라? 지금 상식을 뭉갠 일부 교회의 행태는 한국 종교가 철학의 부재에서 출발했다는 걸 증명한다. 설교는 재미없었지만 '다섯 덩이의 빵과 물고기 두 마리'로 가난한 이들을 배불리 먹인 개척교회 목사는 지금 어떻게 살고 있을까. <미디어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환자 목부위 침 시술 한의사, 환자 척수손상 금고형 선고
  3. 대전서 교통사고로 올해 54명 사망…전년대비 2배 증가 대책 추진
  4. 인천 연수구, ‘집회 현수막’ 단속 시행
  5. 인문정신 속의 정치와 리더십
  1. 대학 라이즈 사업 초광역 개편 가능성에 지역대학 기대·우려 공존
  2. 대전교육청 교육위 행감서도 전국 유일 교권보호전담변호사 부재 지적
  3. "행정수도 세종 완성, 당에서 도와달라"
  4. 당진읍성광장, 주민 손으로 활짝 펴다!
  5.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헤드라인 뉴스


충남도, 보령에 2조원 투입해 도내 3번째 AI 데이터센터 건립

충남도, 보령에 2조원 투입해 도내 3번째 AI 데이터센터 건립

충남 보령에 도내 3번째 AI 데이터센터가 들어선다. 도는 2조 원의 사업비가 투입되는 해당 센터를 통해 전력 절감, 일자리 창출 등의 기대효과가 있을 것이라 내다봤다. 김태흠 지사는 18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김동일 보령시장, 김용호 웅천에이아이캠퍼스 대표와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르면 웅천에이아이캠퍼스(이하 캠퍼스)는 보령 웅천산업단지 내 10만 3109㎡의 부지에 AI 특화 최첨단 데이터센터를 건립한다. 캠퍼스 측은 민관 협력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을 구성하고, 내년부터 2029년까지 2조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데이터..

대전시 국방·우주반도체 공급망 중심축 만든다
대전시 국방·우주반도체 공급망 중심축 만든다

K-방산 산업의 미래 경쟁력과 국가 안보를 위한 국방·우주반도체 개발 및 제조 생태계 구축에 대전시와 산학연이 뭉쳤다. 대전시와 KAIST,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화시스템, 대전테크노파크는 18일 시청에서 '국방·우주반도체 국내 공급망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이장우 대전시장, 이광형 KAIST 총장, 방승찬 ETRI 원장, 손재일 한화시스템㈜ 대표, 김우연 대전테크노파크 원장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국가 안보에 필수적인 국방·우주반도체 개발 및 제조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협약 기관들은..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 성황리 마무리… `풋살 기량 뽐냈다`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 성황리 마무리… '풋살 기량 뽐냈다'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11월 15~16일 이틀간 충남 청양공설운동장에는 선수들을 향한 환호와 응원으로 떠들썩했고, 전국에서 모인 풋살 동호인들은 신선한 가을 하늘 아래 그동안 갈고닦은 기량을 맘껏 뽐냈다. 중도일보와 청양군체육회가 공동으로 주최·주관하고, 청양군과 청양군의회가 후원한 이번 대회엔 대전, 세종, 충남, 충북 등 충청권 4개 시도를 비롯해 서울, 경기, 대구, 경북, 전북 등 전국 각지에서 선수들과 가족, 지인, 연인 등 2500여 명이 참여해 대회 분위기를 뜨겁게 달궜다. 이날..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