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다섯 덩이의 빵과 물고기 두 마리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다섯 덩이의 빵과 물고기 두 마리

  • 승인 2020-04-01 10:16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KakaoTalk_20200401_100314541


내가 자란 고향의 면소재지엔 자그마한 교회가 있다. 워낙 궁벽한 시골이어서 면소재지라고 해도 그럴 듯한 건물은 초등학교, 지서, 면사무소 그리고 마을 끄트머리에 붙어있는 교회가 전부였다. 고딕 양식의 교회는 제법 멋들어졌다. 뾰족한 첨탑과 살구색의 건물 외양이 밀레의 그림처럼 꽤나 이국적인 분위기였다. 교회는 내가 사는 마을에서도 멀리 보였는데 아스라한 풍경에 매료돼 사춘기 적 『제인 에어』의 소설적 상상에 사로잡히곤 했다. 소박하지만 범접할 수 없는 위엄이 깃든 교회는 나에게 동경의 대상이었다.

그 교회를 초등학교 때 동네 친구들과 몇 번 간 적이 있다. 여름방학이 오면 교회 선생님(전도사)들은 마을에 와서 아이들을 데려갔다. 여름성경학교가 열리는 계절이 온 것이다. 우리는 신나서 교회 선생님을 따라갔다. 교회 안을 처음 본 나는 눈이 휘둥그레졌다. 오르간 소리가 높다란 천장에 천상의 소리처럼 울려퍼졌다. 천사의 목소리 같았다. 햇볕에 그을려 시컴댕이 같은 우리는 자애로운 선생님을 따라 찬송가를 배웠다. 노래도 부르고 사랑 충만한 하나님의 말씀을 열심히 듣고 나면 교회 선생님은 우리에게 선물을 나눠줬다. 과자와 사탕. 이거야말로 하나님의 큰 사랑이었다. 사실 그것 때문에 아이들은 교회를 갔다. 바삭바삭한 쿠키와 달콤한 사탕을 입에 넣을 때의 행복을 뭐에 비할까.

사람의 마음을 가장 사기 쉬운 것이 음식이다. 예수의 아버지 하나님도 사탕 하나, 과자 몇 개로 천진한 아이들을 마술피리처럼 꾀었지 뭔가. 맛있는 밥 한 그릇. 상대방을 무장해제시키는 데 이만한 방법도 없다. 한 친구는 회사 후배들과 식당에 가면 지갑 여는데 1초의 망설임도 없었다. 커피 값도 친구가 낸다고 했다. 그뿐인가. 일 끝나고 술집에 가도 계산은 친구 몫이었다. 이 관성에 익숙한 후배들은 나중엔 당연히 선배가 사려니 한다는 것이다. 친구는 변변찮은 월급으로 저축은 고사하고 늘 카드 값에 허덕였다. 보다못한 내가 나무랐다. 친구는 시니컬한 어조로 토로했다. "밥이라도 사주니까 걔네들이 날 상대하는 거야. 내가 외로워서, 인정받고 싶어서 돈을 지불하고 사랑을 사는 거지." 예수도 울고 갈 친구의 말 못할 허세의 사연은 이랬다.



유년 시절 교회 선생님의 '유혹'에 못 이겨 교회에 간 것 말고는 끝이었다. 그러다 대학 다니면서 개척교회에 발을 들였다. 중년의 목사는 다른 일을 하다 뒤늦게 신학대학원을 나온 신출내기 목사였다. 목사는 종교적 사명감은 투철했지만 신자가 열 명도 안됐다. 가난한 동네였기 때문에 교회도, 신자들도, 그리고 나도 가난했다. 일요일엔 오전 예배를 보고 교회 사택에서 다함께 점심을 먹었다. 목사와 사모(부인)는 두레상에 방금 푼 밥을 나르며 많이 먹으라고 손을 끌었다. 우리는 상에 둘러앉아 뜨끈한 찌개와 겉절이 등으로 한 가족처럼 밥을 먹었다. 당시 나는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교회에 나갔지만 신자가 너무 없어 목사 부부의 생계가 걱정될 정도였다. 그래도 목사 부부는 항상 미소를 띠었다. 나의 교회 입문은 두 달 만에 또 끝났다.

내가 종교적 인간이 아닌 것은 분명하다. 신이 날 거부하는 건지 내가 신의 부름에 응답 못하는 건지는 모르겠으나 도대체가 감응이 안 생긴다. 이런 나에 대해 고민도 했지만 교회에 가는 일은 앞으로도 없을 것이다. 한국 종교는 자본의 관점에서 해석이 가능하다. 권력은 부패한다고 했다. 돈의 맛을 본 종교도 부패의 악취가 진동한다. 네 이웃을 사랑하라? 지금 상식을 뭉갠 일부 교회의 행태는 한국 종교가 철학의 부재에서 출발했다는 걸 증명한다. 설교는 재미없었지만 '다섯 덩이의 빵과 물고기 두 마리'로 가난한 이들을 배불리 먹인 개척교회 목사는 지금 어떻게 살고 있을까. <미디어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AI헬스케어부터 전통음식까지… 중소기업들 제품 홍보 '구슬땀'
  2. 국민의힘 대전시당 "이재명 정부, 충청권 철저히 배제"… 이 대통령 방문 전 기자회견
  3. 충남도의회 오인철 의원, 후계농업인 미래 위한 헌신 공로 인정받아
  4. 건양대병원, 전 교직원 대상 헌혈 참여 캠페인 전개
  5. 2025 대한민국 중기박람회 부산서 개막 '전국 중소기업 총출동'
  1. 대전시한의사회, 한국조폐공사와 우즈베키스탄 의료봉사 협약
  2. 이재명 대통령, ‘충청의 마음을 듣다’
  3. 중도일보·대전MBC, 2025년 2분기 '목요언론인클럽 이달의 기자상' 수상
  4. 월드비전, 아산시에 1,000만원 냉방용품비 지원
  5. 동구아름다운복지관, 폭염대비 시원한 여름나기 사업 진행

헤드라인 뉴스


대전 온 李대통령 "대전, 前정부 R&D 예산 삭감에 폭격"

대전 온 李대통령 "대전, 前정부 R&D 예산 삭감에 폭격"

이재명 대통령은 4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국민소통 행보, 충청의 마음을 듣다'라는 제목으로 진행된 타운홀미팅에서 "우리가 기억하는 박정희 시대에는 성장을 위해 결국 한 쪽으로 (자원을) 집중할 수밖에 없었다"며 "고도성장기에는 성장을 위한 자원 배분이 한 쪽으로 몰릴 수밖에 없었고, (그 결과) 거의 특권 계급화된 사람들이 생겼다. 이제 이를 근본적으로 바꾸고 균형발전 전략을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식민지에서 해방된 나라 중 경제성장과 민주화를 이룬 나라는 대한민국밖에 없다"며 "재벌이라고 하는 대기업 군단으로 부작..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41. 대전 서구 가장동 돼지고기 구이·찜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41. 대전 서구 가장동 돼지고기 구이·찜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

트로트 신동 김태웅, 대전의 자랑으로 떠오르다
트로트 신동 김태웅, 대전의 자랑으로 떠오르다

요즘 대전에서, 아니 대한민국에서 가장 잘 나가는 초등생이 있다. 청아하고 구성진 트로트 메들리로 대중의 귀를 사로잡고 있는 대전의 트로트 신동 김태웅(10·대전 석교초 4) 군이다. 김 군이 대중에게 얼굴을 알린 건 2년 전 'KBS 전국노래자랑 대전 동구 편'에 출연하면서부터다. 당시 김 군은 '님이어'라는 노래로 인기상을 받으며 관객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공중파 TV를 통해 강렬한 인상을 남긴 김 군은 이후 케이블 예능 프로 '신동 가요제'에 출연해 화제를 모았다. 김 군은 이 무대에서 '엄마꽃'이라는 노래를 애절하게 불러 패..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이재명 대통령, ‘충청의 마음을 듣다’ 이재명 대통령, ‘충청의 마음을 듣다’

  • 취약계층을 위한 정성 가득 삼계탕 취약계층을 위한 정성 가득 삼계탕

  • 대통령 기자회견 시청하는 상인들 대통령 기자회견 시청하는 상인들

  • 의정활동 체험 ‘재미있어요’ 의정활동 체험 ‘재미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