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엘지화학 폭발사고 현장 수습 사진 |
지난 19일, 1명이 숨지고 2명이 다친 서산 대산공단 내 LG화학 폭발 사고와 관련해 경찰이 폭발 원인 규명에 나섰다.
서산경찰서는 20일 '현장에 있던 근로자 2명을 불러 어떤 경로로 사고가 발생했는지 등을 확인하고 있다'고 밝혔다.
LG화학이 전날 "미세한 가루 형태의 촉매제 일부 성분이 분출하면서 불이 시작됐다"고 밝힌 만큼, 경찰은 기계에 이상이 있었는지, 화학적 반응이 어떻게 일어났는지 등도 수사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또한 경찰은 업체 측으로부터 건네받은 현장 내부 폐쇄회로(CC)TV 영상을 분석할 계획이다.
아울러, 건물 내부에 남아 있는 폭발 위험요소를 제거하면 소방당국,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 관계 기관과 합동 감식도 벌일 예정이며, 또 고용노동부 산하 충남권중대산업사고예방센터도 사고 건물에 대해 작업 중지 명령을 내리고, 산업안전보건법 준수 여부를 집중적으로 살펴볼 예정이며, 위반 사항을 발견하면 처벌 여부 등을 검토한다.
고용노동부의 한 관계자는 "아직 추가 폭발 가능성이 있어 현장에 접근하기 어려운 상태"라면서 "폭발 원인을 밝히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민주노총 대전지역본부는 성명을 통해 수사기관 등의 정확한 사고 원인 규명을 촉구하면서 "중대 재해를 반복하는 LG화학에 책임을 묻고 강력하게 처벌하라"고 요구했다.
서산태안환경운동연합은 성명서를 통해 "이번 사고는 대산공단에서 연이어 발생하는 중대 산업사고란 점에서 심각한 우려를 표하지 않을 수 없다"며 "공장 안에서 일하는 노동자는 물론 인근 지역 주민까지도 불안한 나날을 계속 보내고 있는 만큼 특단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LG화학은 현장 노동자가 참여하는 노사 공동조사를 통해 사고 원인을 규명해 지역사회와 노동자에게 결과를 공개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세워야 한다"며 "고용노동부와 충남도, 서산시는 대산공단에 대한 안전대책을 서둘러 세우고 실질적인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권경숙 사무국장은 "대산공단의 잇단 사고를 막을 수 있는 길은 노후설비에 대한 투자를 법제화하는 것"이라며 "정부와 정치권은 산업단지 노후설비안전관리특별법을 서둘러 제정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또한, 민주노총 대전지역본부도 성명을 통해 수사기관 등의 정확한 사고 원인 규명을 촉구하면서 "중대 재해를 반복하는 LG화학에 책임을 묻고 강력하게 처벌하라"고 요구했다.
한편, 대산공단 내 LG화학 촉매센터 촉매포장실에서는 전날 오후 2시 19분께 폭발음과 함께 불이 났으며, 이 사고로 연구원 A(39)씨가 숨지고, 공장 직원 B(47)씨와 C(27)씨 등 2명이 얼굴과 목 등에 2도 화상을 입어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
서산=임붕순 기자 ibs99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