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앙공원·수목원 주차장 태양광발전설비 설치 전경. /행복청 제공 |
세종시가 태양광발전시설 확충으로 '저탄소 에너지도시' 조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저탄소 에너지 도시란 온실가스와 환경 오염을 줄이고, 녹색 기술과 청정에너지로 성장 동력과 일자리를 창출하며, 국제 사회에 녹색 성장 선도국 이미지 각인 및 이를 통해 국제적 명품 도시로 널리 알리기 위하여 조성된 도시를 말한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세종시 중앙공원과 국립세종수목원 주차장에 태양광발전시설 설치공사를 완료했다.
완료된 태양광설비는 중앙공원 1단계·수목원 주차장 약 3만7000㎡ 부지를 대상으로 약 2.4㎿의 규모다.
해당 설비로 연간 약 700가구가 사용 가능한 3000㎿h의 전력이 생산되며, 이는 약 1300t의 온실가스를 줄여 소나무 약 20만 그루를 심은 효과도 기대된다.
특히, 여름철에는 주차된 차량에 그늘을 제공하고 우천과 강설 시 비와 눈의 가림막 역할을 하는 등 부수적인 기능도 제공한다.
행복청은 오는 2030년까지 전체 에너지 소비량의 25%를 신재생에너지로 도입하기 위해 태양광 발전시설 등 다양한 신재생에너지원을 지속적으로 확충해 왔다.
현재까지 대전~유성 자전거도로, 방음터널 등 총 13곳의 상업용 태양광발전시설이 운영 중이다. 건축물 등에 도입된 자가용 태양광설비를 포함, 약 36㎿를 도입해 연간 2만200t CO2의 온실가스를 감축했다.
정경희 행복청 녹색에너지환경과장은 "행복도시를 저탄소청정에너지도시로 조성하기 위해 태양광에너지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신재생에너지원을 도입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고미선 기자 misunyd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