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31강 수석침류

  • 문화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31강 수석침류

장상현/ 인문학 교수

  • 승인 2020-08-11 20:22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 31강 수석침류(漱石枕流) : 돌로 양치질을 하고, 흐르는 물을 베게로 삼는다.

본 고사성어는 (실패를 인정하지 않고) 그럴 듯하게 꾸며대며 억지를 부릴 때 사용되는 용어로, 오기(傲氣)가 있고, 남에게 지기 싫어서 자기의 의견을 끝까지 고집하거나 억지 쓰기를 잘하는 사람을 비유 할 때 견강부회(牽强附會 /이치에 맞지 않는 말을 억지로 끌어다 붙여 자기의 주장을 조건에 맞도록 함)나 아전인수(我田引水), 궤변(詭辯) 등과 함께 주로 사용되고 있다.

진(晉)나라 초 풍익(馮翊) 태수를 지낸 손자형(孫子荊, 손초(孫楚)는 문재(文才/글을 짓는 재주나 솜씨)도 뛰어났고 임기응변(臨機應變)에도 대단히 능한 사람이었다.

이 고사는 손초(孫楚)가 벼슬길에 나가기 전, 젊었을 때의 일이다.



당시에는 노장사상(老莊思想/노자, 장자사상)이 성해서 속세(俗世)를 피해 숨을만한 곳을 구하는 경향이 강했고, 세속적인 도덕(道德), 명문(名聞)을 경시하며 노장사상을 논하거나 연구하는 것을 중시하는 시대였다. 이것을 청담(淸談)이라고 불렀고, 그 중심에는 죽림칠현(竹林七賢)이 있었으며, 이러한 세태가 당시의 사대부(士大夫)간에 유행처럼 번졌다.

그 중 손초(孫楚)도 죽림칠현(竹林七賢)처럼 속세를 떠나 산림에 은거하기로 작정하고 어느 날, 친구인 왕제(王濟)에게 흉금을 털어놓았다. 이때 손초는 "돌을 베개 삼아 눕고, 흐르는 물로 양치질하는 생활을 하고 싶다(枕流漱石/침류수석)"라고 해야 하는데, 잠간 헛갈려 "돌로 양치질하고, 흐르는 물을 베개로 삼겠다(漱石枕流/수석침류)"라고 반대로 잘못 말했다. 마치 '여름에 해수욕하고, 겨울에는 스키를 즐긴다'를 '여름에 스키타고, 겨울에 해수욕을 즐긴다'라는 식으로 말을 바꾸어 말함으로 실수를 하였다.

그 말을 들은 왕제가 웃으며 말의 실수를 지적하자 자존심이 강한데다 문재(文才)까지 뛰어난 손초는 서슴없이 이렇게 강변했다.

'흐르는 물을 베개로 삼겠다는 것은 옛날 은사(隱士)인 허유(許由/요임금 시대사람)와 같이 쓸데없는 말을 들었을 때 귀를 씻기 위해서이고, 돌로 양치질한다는 것은 이를 닦기 위해서라네.'

손초는 나중에 풍익(馮翊)이라는 지방의 태수(太守) 벼슬까지 하게 되는데 그는 뛰어난 문재(文才)이면서도 이 고사로 인하여 후세에 고집과 억지를 부리는 대장부(大丈夫)답지 못한 사람으로 인식되곤 한다.

인류 최고 스승인 공자는 논어(論語) 학이편(學而篇)에서 "허물이 있으면 고치기를 꺼려하지 말아야 한다.(過則勿憚改/과즉물탄개)" 라고 가르치고 있다.

과거에는 고집스럽고 억지를 부리는 사람을 고집불통이라 하고, 가까이 하지 않으려고 했다. 그런 사람은 소통(疏通)에 방해가 되고, 심하면 조직에 자중지란(自中之亂)을 초래하여 그 조직을 와해시키는 역할이 되기도 한다.

그런데 요즈음은 그런 사람을 자기주장이 확실한 사람이라 칭하고, 또는 박식하고 중심이 있는 사람으로 평하는 시대가 되었다.

'수석침류(漱石枕流)'의 경우는 세 가지로 생각 할 수 있다.

첫째, 나이가 들어 늙어 갈수록 더해지는 것 같다. 그 이유는 자기의 젊고 유능한 시절의 자기도취(自己陶醉)에 갇혀있기 때문이다. 나이 들면 시대와 환경은 급속도로 변하는데 사람의 생각은 반대로 과거에 집착하게 되고, '내가 과거에는 이런 사람이었는데…' 라는 자존심이 점점 극대화되는 것이 그 이유이다.

둘째는 많이 배운 사람일수록 고집과 억지가 강하다. 그것은 내가 다른 사람보다 아는 것이 많다고 자부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전문가나 남을 가르치는 위치일수록 그 강도는 더해간다. 그들은 자기가 전공한 학문이외의 것도 자기가 최고라고 생각하고 억지를 부리는 경우가 많다.

셋째는 사회적 지위가 높으면 높을수록 억지와 고집은 하늘을 찌른다. 세상만사가 자기를 위해 있는 것으로 착각한다. 국가를 좌지우지하는 중요한 정책분야도 자기 의도대로 해야 맞는 것으로 억지를 부린다. 더 웃기는 일은 자기가 억지를 부린 정책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알고도 인정하려고 하지 않고 왕고집(王固執)이 된다는 점이다.

노자(老子)의 도덕경(道德經)에서 군주의 모습에 대한 교훈을 되새겨본다.

'太上 下知有之 其次親而譽之 其次畏之 其次侮之'(태상 하지유지 기차친이예지 기차외지 기차모지)

곧 최상의 군주는, 백성들이 다만 임금이 있다는 것을 알 뿐인 군주이다.(조용히 군주 역할에만 충실한 군주). 그 다음은 백성들이 다정함을 느끼고 칭송하는 군주이며, 그 다음은 백성들이 두려워하는 정치를 하는 군주이고, 그 다음은 백성들이 업신여기는 군주이다.

역대 대통령 분들은 이 가운데 어느 부류에 속한 군주였을까? 자기는 자기가 최상의 군주라고 생각하겠지만 그렇지 않다. 백성들은 그분에 대한 모두를 알고 있다. 그러므로 자신을 정중히 깨닫고 인정하는 지혜도 함께 가져야 할 것이다.

장상현/ 인문학 교수

img1.daumcdn.net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학 교직원 사칭한 납품 주문 사기 발생… 국립한밭대, 유성서에 고발
  2. [문화 톡] 대전 진잠향교의 기로연(耆老宴) 행사를 찾아서
  3. 대전특수교육수련체험관 마을주민 환영 속 5일 개관… 성북동 방성분교 활용
  4. 단풍철 맞아 장태산휴양림 한 달간 교통대책 추진
  5. 대전 중구, 교육 현장과 소통 강화로 지역 교육 발전 모색
  1. [내방] 구연희 세종시교육청 부교육감
  2. "함께 땀 흘린 하루, 농촌에 희망을 심다"
  3. [한 장, 두 장 그리고 성장] 책을 읽으며 사람을 잇고 미래를 열다
  4.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2026년 장애예술 활성화 지원사업 공모 접수 시작
  5. 대전도시공사,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 표창’ 수상

헤드라인 뉴스


"일본 전쟁유적에서 평화 찾아야죠" 대전 취재 나선 마이니치 기자

"일본 전쟁유적에서 평화 찾아야죠" 대전 취재 나선 마이니치 기자

"일본에서도 태평양전쟁을 겪은 세대가 저물고 있습니다. 80년이 지났고, 전쟁의 참상과 평화를 교육할 수 있는 수단은 이제 전쟁유적뿐이죠. 그래서 보문산 지하호가 일본군 총사령부의 것이었는지 규명하는 게 중요합니다."일본 마이니치 신문의 후쿠오카 시즈야(48) 서울지국장은 5일 대전 중구 보문산에 있는 동굴형 수족관 대전아쿠아리움을 찾아왔다. 그가 이곳을 방문한 것은 올해만 벌써 두 번째로 일제강점기 태평양전쟁의 종결을 앞두고 용산에 있던 일본군 총사령부를 대전에 있는 공원으로 옮길 수 있도록 지하호를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그..

학생·학부모 10명 중 8명 "고교학점제 폐지 또는 축소해야"… 만족도 25% 미만
학생·학부모 10명 중 8명 "고교학점제 폐지 또는 축소해야"… 만족도 25% 미만

올해 고1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고교학점제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도 시행 첫 학기를 경험한 응답자 중 10명 중 8명 이상이 '제도를 폐지하거나 축소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학생들은 진로 탐색보다 대학입시 유불리를 기준으로 과목을 선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종로학원은 10월 21일부터 23일까지 고1 학생과 학부모 47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75.5%가 '만족하지 않는다'고 답했다고 6일 밝혔다. 반면 '만족한다'는 응답은 4.3%, '매우 만족한다'는..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 개장 한달만에 관광명소 급부상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 개장 한달만에 관광명소 급부상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이 개장 한 달여 만에 누적 방문객 22만 명을 돌파하며 지역 관광명소로 주목받고 있다. 6일 대전시에 따르면 갑천생태호수공원은 9월 말 임시 개장 이후 하루 평균 7000명, 주말에는 최대 2만 명까지 방문하는 추세다. 전체 방문객 중 약 70%가 가족·연인 단위 방문객으로, 주말 나들이, 산책과 사진 촬영, 야간경관 감상의 목적으로 공원을 찾았다. 특히 추석 연휴 기간에는 10일간 12만 명이 방문해 주차장 만차와 진입로 혼잡이 이어졌으며, 연휴 마지막 날에는 1km 이상 차량 정체가 발생할 정도로 시민들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국민의힘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 국민의힘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

  • ‘야생동물 주의해 주세요’ ‘야생동물 주의해 주세요’

  • 모습 드러낸 대전 ‘힐링쉼터 시민애뜰’ 모습 드러낸 대전 ‘힐링쉼터 시민애뜰’

  • 돌아온 산불조심기간 돌아온 산불조심기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