뿔난 금산주민 "수공 人災탓…주택 204채 농경지 745ha 날아가"

  • 정치/행정
  • 충남/내포

뿔난 금산주민 "수공 人災탓…주택 204채 농경지 745ha 날아가"

용담댐 집중호우 전후 수위 및 방류량 조절 실패 지적
용담댐 "예상못한 기록적 폭우에 어쩔수 없었다" 해명
금산군수 등 수공 항의방문 피해보상 재발방지 촉구

  • 승인 2020-08-12 17:46
  • 신문게재 2020-08-13 5면
  • 신가람 기자신가람 기자
AKR20200812086300063_01_i_P4
금산 부리면 인삼밭에서 가림막 복구작업하는 자원봉사자들  사진=금산군 제공
최근 막대한 수해 피해를 입은 충남 금산군 주민들이 한국수자원공사의 안일한 대처 탓에 피해가 커졌다며 보상을 요구하고 나섰다.

용담댐이 집중호우 전 사전 수위 조절에 실패한 데다 집중호우 땐 방류량을 급격히 늘리면서 주민들에 피해가 발생한 전형적인 인재(人災)라는 주장이다.

11일 금산군 등에 따르면 용담댐은 지난 14일 저수율 87.4%로 당시 대청댐(73.1%), 보령댐(39.0%) 보다 높았고 호우피해 발생 8일 전인 지난달 31일에도 89.0% 저수율로 장마에 따른 사전 수위조절에 실패했다고 분석했다.

집중호우가 내린 지난 7일 오후 1시엔 댐 수위가 262.67m로 홍수위(265.5m)에 근접했음에도 초당 291.63t의 물을 방류했다고 파악했다. 이어 폭우가 쏟아진 8일 오전 4시 저수량이 97.5m로 치솟자 용담댐 측은 초당 1000t으로 방류량을 늘렸다고 같은날 오후 1시엔 초당 2919.45t으로 급격히 증가시켰다.



이같은 방류량은 전날보다 10배 가까운 양이라는 것이 중앙안전대책본부의 설명이다.

용담댐에서 방류된 물은 금강을 따라 전북 무주와 충남 금산, 충북 옥천·영동을 지나는데 이날 4개 지역에는 주택 204채와 농경지 745ha 상당의 침수 피해가 발생했다는 것이 해당 지역 주민들의 주장이다.

충남 금산군에 거주하는 한 주민은 "살면서 이런 적이 한 번도 없었는데 지은 농사는 어떻게 해야할지 벌써부터 막막하다"라며 "새벽에 가족끼리 급히 대피했던 생각만 하면 끔찍하다"라고 당시 심정을 전했다.

특히 피해가 가장 큰 곳은 금산지역의 인삼밭으로 수확하기까지 오랜 기간이 필요하고 침수에 취약한 작물 특성상 사안이 더 유독 심각한 상황이다.

용담댐 측은 7일 밤부터 용담댐 주변 지역에 최고 400㎜의 폭우가 쏟아지면서 댐 수위가 높아졌고 급기야 8일 오전 10시에는 수위 265m를 기록하면서 저수율 100%에 도달하는 바람에 급격한 방류가 불가피했다는 해명이다.

한국수자원공사 용담댐지사 관계자는 "보통 7월 말부터는 장마 시기가 끝나는 시기로 보고, 댐 방류량을 늘리지 않는데, 이번 집중호우는 시기적으로도 예상할 수 없었고, 당시 강수량이 371㎜에 도달한 만큼 역대 가장 많은 강수량을 기록해 방류량이 많아졌다"며 "주민들을 생각하면 참담하고 안타까운 심정이다"라고 밝혔다.

한편, 문정우 금산군수와 충북 영동·옥천군수, 전북 무주군수 등은 이날 대전 대덕구 한국수자원공사 본사를 방문해 용담댐 홍수조절 실패에 따른 책임을 추궁하면서 공동 입장문을 발표했다.

이들은 입장문에서 "수자원공사는 피해주민 지원과 배상에 완전하고도 신속한 이행에 성실히 임하고 피해원인 규명과 댐 방류체계 개선 등 재발방지를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수자원공사측과 대책 방안을 논의한 문정우 금산군수는 "4개 지역 군수들과 함께 피해보상과 재발방지 대책을 논의했는데, 수자원공사측에서는 정확한 피해 조사 끝나고 다시 논의하자는 원론적인 답만 내놨다"며 "지금 전재산이 날라간 주민들이 한 둘이 아닌 상황인데, 성난 민심을 달래기 위해서 수자원공사 측에 지속해서 항의할 예정이다"라고 강조했다. 금산=송오용·신가람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사망 20일 뒤 발견된 모자 왜?…사회 단절된 채 수개월 생활고
  2. 대전교육청 리박스쿨 이어 이번엔 극우 교원단체 '대한교조' 홍보 배정 논란
  3. 저스티스 유한 법무법인 첫 전환…전문성·법률서비스 강화
  4.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완성… 외국인 관광객 유치 특례 추가
  5. 의대생 전원 돌아온다지만... 지역 의대 학사운영·형평성 논란 등 과제
  1. 유성선병원 대강당의 공연장 활용 의료계 의견 분분…"지역 밀착형vs감염병 취약"
  2. ‘민생회복지원금 21일부터 사용 가능합니다’
  3. 전재수 "해수부, 세종보다 부산이 더 효과" 발언에 충청권 '발끈'
  4. 대전.충남 행정통합 결실 위해선 초당적 협력 시급
  5. 지질자원연 탐해3호 서태평양 출항, 해저 희토류 정밀 탐사 시작

헤드라인 뉴스


정부세종청사 첫 국무회의 언제?… 이재명 정부는 다를까

정부세종청사 첫 국무회의 언제?… 이재명 정부는 다를까

오는 8월 청와대의 대국민 개방 종료와 함께 이재명 새 정부의 '국가균형발전' 시선이 어디로 향할지 주목된다. 청와대는 새 정부 로드맵에 따라 7월 말 일단 문을 닫는다. 2022년 5월 첫 개방 이후 약 3년 만의 폐쇄 수순이다. 빠르면 9월경 종합 보안 안전과 시설물 등의 점검 과정을 거친 뒤 대통령실의 심장부로 다시 거듭날 예정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국정 운영을 시작할 시점이기도 하다. 청와대가 다시 수도 서울의 상징이자 중앙권력의 중심부로 돌아오는 과정이나 우려되는 지점은 분명하다. 수도권 초집중·과밀을 되레 가속..

이번엔 스포츠다!… 대전시 `스포츠 꿈돌이` 첫 공개
이번엔 스포츠다!… 대전시 '스포츠 꿈돌이' 첫 공개

대전시가 지역 대학생들과 협업해 새롭게 탄생시킨 '스포츠 꿈돌이' 캐릭터를 시민들에게 공개했다. 15일 대전시에 따르면 오는 17일까지 대전시청 1층 로비에서 '2025 꿈씨패밀리 스포츠디자인 산학협력 프로젝트 전시회'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대전시 대표 마스코트인 '꿈돌이'와 '꿈씨패밀리'를 스포츠 테마로 재해석한 작품들로, 한남대학교 융합디자인학과와 목원대학교 시각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재학생 38명이 참여해 지난 한 학기 동안 완성한 결과물을 시민들에게 공개하는 자리다. 전시장에는 캐릭터별 등신대, 티셔츠·선캡 등 굿즈, 그리..

제23회 이동훈미술상 본상 임송자 화백… 특별상 김은희, 정의철 작가
제23회 이동훈미술상 본상 임송자 화백… 특별상 김은희, 정의철 작가

충청을 대표하는 미술상인 제23회 이동훈 미술상 본상 수상자로 임송자 화백이 선정됐다. 이동훈기념사업회는 15일 중도일보 4층 대회의실에서 진행한 제23회 이동훈미술상 수상 작가 심사 결과, 본상에 임송자 화백, 특별상에 김은희, 정의철 작가를 각각 수상자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동훈 미술상은 대전·충청 미술의 토대를 다진 고 이동훈 화백의 예술정신을 기리고자 2003년 제정됐다. 대전시와 이동훈기념사업회가 공동 주최하며, 중도일보와 대전시립미술관이 주관한다. 본상은 한국 근·현대미술에 큰 업적을 남긴 원로 작가에게, 특별상은 대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제22회 이동훈미술상 특별상 수상 작가전 제22회 이동훈미술상 특별상 수상 작가전

  • ‘스포츠 꿈돌이’ 캐릭터 첫 공개 ‘스포츠 꿈돌이’ 캐릭터 첫 공개

  •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완성…충청 새 미래 열린다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완성…충청 새 미래 열린다

  • 요란한 장맛비 요란한 장맛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