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바른 사법? '취중송사(醉中訟事)'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바른 사법? '취중송사(醉中訟事)'

양동길 / 시인, 수필가

  • 승인 2020-10-16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조선의 몇 안 되는 청백리(淸白吏) 중 청백리 황희(黃喜, 1363~1452, 조선 문신)정승, 모르는 사람이 없을 듯하다. 정사나 야사, 각종 설화에 수많은 얘기가 전한다. 상반되는 이야기도 많다. 성격이 우유부단하다거나 강직하다. 청백리라 하는가 하면, 그렇지 않다는 이야기도 있다.

'세종실록' 권40, 세종 10년 6월 25일 기사에 황희가 사직을 간청하는 대목이 나온다. 간통에 뇌물수수죄로 몰린 모양이다. 자신의 능력 부족과 불효 불충을 탓하고 노쇠했음을 아뢰며, "이번에는 뜬소문으로 탄핵(彈劾)을 받게 되었으나, 다행히 〈전하의〉 일월 같은 밝으심을 힘입어 무함(誣陷)과 허망(虛妄)을 변명해서 밝힐 수 있어서 여러 사람들의 의심을 조금이나마 풀게 되고, 그대로 계속 출사하라고 명하시니, 은혜가 지극히 우악(優渥)하십니다. 신은 가만히 생각하여 보니, 책임(責任)이 중대한데 품은 계책이 없다면, 곧 비방을 초래하게 되고 화를 자취(自取)하게 되는 것은 사세(事勢)의 당연한 것입니다. 스스로 생각하건대 신의 평소의 행동이 이미 남에게 신임을 받기에 부족하면서도 지위가 신하로서 지극한 자리에 있기 때문입니다. 또 신으로 인하여 누(累)가 사헌부에 미쳤으니 놀라움을 이기지 못하여 깊이 스스로 부끄러워합니다. 신이 비록 탐욕(貪慾)스럽고 암매(暗昧)한들 어찌 장오(贓汚)의 죄명을 면할 수 있겠습니까. 스스로 마음 속으로 겸연쩍어서 조정의 반열에 서기가 낯이 뜨거운데, 〈일국이〉 모두 바라보고 있는 자리에 즐겨 나갈 수 있겠습니까"라 한다. 세종이 극구 만류하나 굳게 사양하고 사퇴한다. 옳은 처신일까?



설화에는 이러한 이야기도 전한다. 황희정승 집안에 하인 부부가 있었다. 어느 날, 하인의 집 개가 새끼를 낳았는데 마침 시부의 제삿날이었다. 예나 지금이나 제사상 차리기는 애물단지인 모양이다. 여종이 와서 물었다. "아버님 제삿날인데 저희 개가 새끼를 낳았습니다. 아무래도 제사를 안 드려야 하지 않겠습니까?" 정승이 답했다. "안 드려도 되지." 조금 있다 노복도 찾아와 물었다. "아버지 제삿날인데 저희 개가 새끼를 낳았지만, 그래도 제사는 드려야겠지요?" 황희 정승이 답했다. "제사 드려야지." 그러자 옆에 있던 정승 부인이 "대감께서는 어찌 같은 일에 둘 다 옳다고 하십니까?"라고 핀잔했다. 이에 황희는 "아내는 제사 드리기 싫어하기에 지내지 않아도 된다고 한 것이고, 남편은 제사 드리고 싶어 하기에 제사 드리도록 했을 뿐이오"라고 말했다. 명판결이라 세간에 회자 되는 이야기다. 묻는 사람 뜻을 헤아려, 원하는 바 대로 답한 것이다. 옳은 일일까? 요즈음 판결이 그렇다. 영장 발부부터 오락가락이다. 누가 원하는 대로 하는 것일까?

그림은 김홍도(金弘道, 1745 ~ 1806?, 조선 도화서 화원)가 그린 '취중송사(醉中訟事)'이다. 강희언(姜熙彦, 1738 ~ ?, 조지서 별제, 화가)의 집이며 작업장이었던 담졸헌(澹拙軒)에서 그렸다고 되어있다. 팔 폭 병풍 '행려풍속도병(行旅風俗圖屛)' 중 한 폭이다. 원래 낱장으로 전해오던 것을 훗날 표구했다 한다.



우선 우아하게 장식된 일산(日傘)이 눈길을 끈다. 시종이 받치고 있고, 그 아래 남여(藍輿)에 앉은 태수(太守)가 접부채 들어 무어라 지시하는 모습이다. 의자에는 호피가 덮여있다. 왼쪽 전복 입은 사람이 함을 메고 서 있고, 비석 뒤 엎드려 숨어 보는 사람도 있다. 눕다시피 엎드려 지필묵 펼치고 받아쓰는 이도 있다. 가마꾼 주위에는 아전으로 보이는 자들이 섞여 있다. 사이로 기생 행색인 사람과 먹을 것을 담은 광주리를 이고 있는 여인이 보인다. 돗자리 등 집기를 잔뜩 들고 멘 짐꾼도 따른다. 하나같이 매무새가 몹시 흐트러져 있다. 뒤쪽 마을 가운데로 홍살문이 보이니 관아가 가까운 모양이다. 근무 중에 낮술이 지나쳐, 회가 동하여 화류놀이라도 가는 것일까? 아니면, 진탕 놀고 귀청하는 길일까?

포졸이 다투던 사람들 끌고 가다 태수 일행을 만났다. 즉석에서 송사가 벌어졌다. 엎드린 두 사람은 여전히 다투고 있다. 초립 쓰고 포 입은 사람과 경황이 없어 보이는 다른 한 명이 있다. 맨발에 허리를 새끼로 매고 있어 상중으로 보여, 묘지 관련 송사가 아닐까 하는 견해도 있다. 나름대로 판결하는 것일까? 앞쪽 포졸 둘은 열띤 토론 중이다. 뒤쪽 골목길엔 난데없이 멧돼지 두 마리가 가로지르고 있다. 김홍도 풍속화에 자주 등장하는 또 다른 여백이다. 마음의 여백, 정신적 휴식처이다. 어찌 이렇게 순간 포착이 치밀할까? 생생한 현장감을 줄까? 조선 풍속화 대할 때마다 풀리지 않는 의문이다.

트럼프
행려풍속도. 김홍도. 1778년 작. 90.9 × 42.7㎝. 비단에 담채
강세황(姜世晃, 1713 ~ 1791, 한성부판윤, 화가)의 화제를 살펴보자. "모시는 위치에 있는 사람들이 각기 그 물건을 가마의 앞뒤에서 쥐고 있는데, 앞쪽 태수의 행색을 보니 심히 걱정스럽지 않는가? 고을 백성이 송사를 올려 형리가 조서를 적는데 올라타서 술에 취해 부르는 걸 받아 적으니 능히 잘못된 판결이 없겠는가? 표암이 평하다.(供級之人各執其物後先於肩輿 前太守行色甚不草草 村氓來訴形吏題牒 乘醉呼寫能無誤決 豹菴 評)" 부패한 관리의 풍자다.

두말이 필요 없다. 법은 누구에게나 공평해야 한다.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판관에 따라, 피의자 위치에 따라 변하는 것이 법인가? 이현령비현령(耳懸鈴鼻懸鈴)이 되어서야 법이라 할 수 있는가? 사법부가 만취한 것은 아닐까, 종종 의문일 때가 있다.

양동길 / 시인, 수필가

양동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구미, 주민안전 무시한 보행자 보도정비공사 논란
  2. "아산페이 안 쓰면 손해"-연말까지 18% 할인 연장, 법인 10% 연장 할인
  3. 아산소방서, 전통사찰 화재 예방훈련
  4. 영천, '신성일기념관 개관 기념' 고향사랑기부 이벤트
  5. 천안시, 청소년유해환경 개선 합동점검·단속 및 캠페인
  1. 삼성디스플레이, 취약가정에 1억5천만원 후원
  2. 아산시 음봉어울림도서관, '시선 너머의 이야기' 전시
  3. 천안법원, 음주 측정 거부한 50대에 '징역형'
  4. 천안법원, 지인 간 법적소송에서 위증한 혐의 50대 남성 무죄
  5. 천안시 서북구, 동절기 제설작업 대비 안전교육 나서

헤드라인 뉴스


국정자원 화재 나비효과 막아라

국정자원 화재 나비효과 막아라

사상 초유의 국가 전산망 마비를 불러온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정부는 신속한 시스템 복구에 나서 최악의 상황은 막았지만, 이번 사태가 대전 등 충청권에 가져온 과제는 만만치 않다. 무엇보다 지역 공공 자산인 국정자원 이전설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나온다. 공공기관이 특정 지역의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달갑지 않다. 갈수록 심화되는 수도권 일극체제를 극복하고 국가균형발전을 견인하기 위해선 지역의 공공기관을 지키고 새로운 인프라를 유치하는 노력이 시급하다. 중도일보는 '국정자원 화재 나비효과 막아라' 시리즈를 통해..

한미 통상·안보 팩트시트 발표… 상호관세 15% 인하, 핵잠 승인 담겨
한미 통상·안보 팩트시트 발표… 상호관세 15% 인하, 핵잠 승인 담겨

자동차와 반도체 분야 관세율을 포함한 한미 간의 무역 협상이 최종 마무리됐다.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 건조와 우라늄 농축 및 사용후핵연료 재처리를 포함한 양국의 안보 협상도 문서 형태로 공식화됐다. 대통령실과 백악관은 14일 오전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양국의 관세·안보 협상에 대한 '조인트 팩트시트'(공동 설명자료)를 동시에 공개했다. 지난달 한미정상회담 직후 나올 예정이던 팩트시트 발표가 지연되면서 세부 내용에서 이견을 보이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왔지만, 이날 공개된 팩트시트에는 지난 정상회담 당시 발표된 내용이 고스란히 반영됐다..

대전시의회, "대전교도소 이전 지지부진…市 대책시급"
대전시의회, "대전교도소 이전 지지부진…市 대책시급"

대전교도소 이전사업이 8년째 진척을 보지 못하면서 대전시의 명확한 추진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제기됐다. 교도소 과밀화와 시설 노후 문제는 이미 한계를 넘었지만, 이전 사업이 장기간 답보 상태에 놓이며 후적지 개발 계획 역시 실효성이 떨어지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4일 열린 대전시의회 제291회 정례회 도시주택국 행정사무감사에서 방진영 의원(더불어민주당·유성구2)은 "대전교도소는 수용률이 142.9%에 달해 전국 평균(122.1%)을 크게 웃돌고, 노후 시설로 국가인권위원회의 개선 권고까지 받..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