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소통의 지혜 '나한문슬(羅漢?蝨)'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소통의 지혜 '나한문슬(羅漢?蝨)'

  • 승인 2020-10-30 18:06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기린이 사자를 뒷발로 차고 짓밟는 장면이 TV에 나온다. 놀라 멈추어 서서 지켜본 일이 있다. 사자가 새끼 기린을 건드린 모양이다. 분노한 어미 기린이 사자 무리를 공격한다. 자신을 돌보지 않으며 위험을 감수하는 모성애가 경이롭다. 곱게 생기고 순하디순한 눈을 가진 기린이 사자를 공격하다니, 관심이 치솟아 수십 개의 동물 영상을 본다. 기린뿐 아니라 초식동물이 다른 동물을 먼저 공격하는 모습은 보기가 쉽지 않다. 공격받을 때, 위험을 느낄 때 등 공격보다 방어 차원인 경우가 많다.

최고 맹수로 알던 호랑이나 사자도 새끼를 잃는다. 자신조차 스스로 건사하지 못하기도 한다. 절대 강자는 없다. 승패 결과는 상황에 따라 다르다. 놀랍게도 전투력 순위 다섯 손가락 안에 육식동물은 없다. 코끼리, 코뿔소, 하마, 기린, 야생 소 순이다. 자신을 지키기 위해 덩치를 키웠을까? 하나같이 덩치가 크다. 사자, 하이에나, 들개 등은 숫자 싸움을 벌인다. 협동 공격, 서로 역할 분담도 한다. 사회성으로 우위를 점한다.



사람은 한없이 나약하다. 여타 영장류와 다르지 않게 손발 사용이 자유롭고, 지능이 뛰어나며 민첩한 장점이 있긴 하다. 혼자는 살지 못한다. 게다가 잡식성이다. 다른 동물과 싸워 이겨야 한다. 가지고 있는 상대적 장점과 사회성 덕분에 오늘이 있다.

대인관계가 좋은 사람을 사회성이 좋다고 하며, 그런 사람을 마당발이라 하기도 한다. 강점이 되는 것은 분명하지만 무한정 사람을 사귈 수는 없다. 한 명이 맺을 수 있는 최대 인간관계는 몇 명이나 될까? 옥스퍼드 대학 로빈 던바(인류학자, 디지털 전문가) 교수가 세계 여러 부족을 조사했더니, 부족 평균 주민 수가 153 명이었다고 한다. 이를 근거로 한 사람이 맺을 수 있는 사회적 관계 인원을 150명이라 주장한다. 던바의 수(Dunbar's number)라 한다. 진정한 관계 형성의 최대 한계라며, 그 이상이 되면 나누는 것이 낫다고 한다. 전투를 위한 최적 인원 역시 150명, 집단을 관리하는데 가장 적합한 것도 150명, SNS를 통해 맺을 수 있는 친구 역시 150명 남짓이라 주장한다. 정확한 기억의 한계 수치라고도 한다. 이중 진정한 친구는 삼사 명에 불과 하다는 것이다.



관계에서 중요한 하나가 심신의 접촉이다. 그것도 주고받기요, 쌍방향이다. 계산적이지 않은 듯 점잔 빼도, 서로 회계(會計)한다. 누구나 손해 보기 싫어한다. 어떤 언행이 일방적으로 지속 되면, 결국 관계가 소원해지거나 단절된다. 따라서 크든 작든 어떤 표시를 한다. 공감 표시, 반응이 클수록 상대에게 좋은 인상을 준다. SNS에서 '좋아요' 눌러 주거나 댓글 달아주기도 다르지 않다고 한다.

원숭이 이 잡아주기도 지혜로운 관계유지 방법의 하나라 한다. 실제 이 잡기도 하지만, 그저 흉내만 내는 관계유지 행동이기도 하단다. 사람도 이 잡기를 했다. 양지녘에 앉아, 웃통 벗어부치고 이 잡는 광경이 다반사였다. 이가 얼마나 번성하고 일상화되었던지, 구석구석 빈틈없이 모두라는 의미로 '이잡듯' 하라는 말이 있을 정도다.

이는 숙주인 포유동물 털에 기생하며 피를 빨아먹고 산다. 사람에게 기생하는 것으로 몸이, 머릿니, 사면발이 3종이 있다. 다른 질병을 매개하기도 하고 가려움증으로 다른 질병을 유발하거나 감염시키기도 한다. 고문헌에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출현이 꽤 오래되었으나 번식력이 강한 탓인지 아직도 사라지지 않고 있다. 과밀하고 위생이 불량한 환경에서 만연되는 경향이 있다. 지금은 환경도 많이 개선되고, 퇴치 방법의 발달로 간단하게 구제할 수 있다.

dfdff
이인문 作 '나한문슬(羅漢?蝨)', 18세기, 종이에 담채, 41.5×30.8cm, 간송미술관
그림은 이인문(李寅文, 1745 ~ 1821?, 도화서 화원)의 <나한문슬(羅漢?蝨)>이다. 특이한 소재를 다루었다. 나한은 불제자 중에 번뇌 끊고 지혜 얻어, 하늘과 중생으로부터 공양받는 성자를 의미한다. 아라한(阿羅漢)의 준말이다. 문슬은 '이 잡기' 이다. 계곡물이 시원스레 흐르는 언덕 위, 늙은 소나무가 빼곡한 송림 속 바위에 걸터앉은 나한이 이 잡고 있다. 간송미술관이 소장한 이인문 화첩 『한중청상첩(閒中淸賞帖)』 열네 폭 중 하나이다.

이인문은 단원 김홍도와 동갑내기다. 둘은 기량이나 격조에서 쌍벽을 이루었다. 독창성에서 단원에 뒤진다고 평가되기도 한다. 이인문은 다방면에 뛰어난 재능을 발휘하였으나, 특히 송림 그림에서 새로운 경지를 보여준다.

당시는 글짓기, 글쓰기, 그림 그리기가 전문화되고 분업화되어가고 있었다. 그림 주문이 쇄도하고 매매가 활성화된 탓이리라. 글씨 전담 서예가가 탄생한 것이다. 이인문 화첩의 화평이나 시는 모두 유한지(兪漢芝, 1760 ~ 1834, 조선 문신, 서예가)와 홍의영(洪義榮, 1750 ~ 1815, 조선 문신, 서예가)이 썼다.

그림 좌하에 홍의영이 쓴 화제가 있다. '짙은 눈썹과 흰머리 아무 집착도 없다네(?眉皓首無住著)' 두보(杜甫, 712 ~ 770, 중국 당나라 시인)가 읊은 「희위언위쌍송도가(戱韋偃爲雙松圖歌)」 중간쯤에 나오는 구절이다. 시 전체를 형상화하기보다, 무소유(無所有) 속 유유자적(悠悠自適)하는 소요유(逍遙遊)에 시구(詩句) 하나 차용하여 얹은 듯하다. 자연과의 소통에서 나아가 하나 된 모습, 한없이 편안하며 청량(淸凉)하기 이를 데 없다. 사람과 사람도 그러하면 얼마나 좋으랴.

양동길/시인, 수필가

202009250100205640007814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중호 "한밭대전, 대전의 고유 e스포츠 축제로 키워야"
  2. [2026 수능] 국어·수학 변별력 있게 출제 예상… 수험생 증가·사탐런·의대정원 조정 등 '변수'
  3. 서해안 해양치유산업 핵심거점 '태안 해양치유센터' 개관
  4. 충청 4개 시도 수험생 5만 5281명 응시… 수능 한파 없어
  5. "시민 빠진 문화행정"…대전시, 수치만 채운 예술정책 도마에
  1. ‘선배님들 수능 대박’
  2. 당진시, 거산공원…동남생활권 '10분 공세권' 이끈다
  3.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4. 김영삼 "대덕특구 순환버스 중단 우려"… 산건위 市 교통국 행정사무감사
  5. 이장우 시장 "지방재정 부담 사전협의 및 예타제도 개선 필요"

헤드라인 뉴스


국어 `독서`·수학 `공통·선택` 어려워… 영어도 상위권 변별력 확보

국어 '독서'·수학 '공통·선택' 어려워… 영어도 상위권 변별력 확보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국어는 독서가 어렵게, 수학은 공통·선택 모두 까다로운 문항이 배치되면서 수험생 체감 난도가 크게 오른 것으로 분석됐다. 영어도 지난해 수준을 유지했지만 일부 고난도 문항이 포함돼 상위권 변별력을 갖췄다는 평가다. 13일 입시 전문가들에 따르면 국어 영역은 지난해 수능보다 약간 어렵고 9월 모평보다는 부담이 덜한 수준으로 출제된 것으로 파악된다. 독서는 지문 난도가 높았던 반면 문학과 선택과목은 비교적 안정적으로 구성됐다. 법 해석·담보 기능을 다룬 사회 지문은 개념 추론 과정이 복잡했고,..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14일 오후 8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볼리비아의 친선경기가 개최된다. 13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번 경기는 2026 북중미 월드컵 본선을 향한 준비 과정에서 열리는 중요한 평가전으로, 남미의 강호 볼리비아를 상대로 대표팀의 전력을 점검하는 무대다. 대전시는 이번 경기를 통해 '축구특별시 대전'의 명성을 전국에 다시 한번 각인시킨다는 계획이다. 대전에서 A매치가 열리는 것은 2년 5개월 만의 일이다. 2023년 6월 엘살바도르전에 3만9823명이 입장했다. 손흥민, 이강인, 김민재 등 빅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

"다시 찾고 싶은 도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다시 찾고 싶은 도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한때 '노잼도시'라는 별명으로 불리던 대전이 전국에서 가장 눈에 띄는 여행지로 부상하고 있다. 과거에는 볼거리나 즐길 거리가 부족하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 각종 조사에서 대전의 관광·여행 만족도와 소비지표가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도시의 이미지가 완전히 달라졌다. 과학도시의 정체성에 문화, 관광, 휴식의 기능이 더해지면서 대전은 지금 '머물고 싶은 도시', '다시 찾고 싶은 도시'로 자리 잡고 있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실시한 '2025년 여름휴가 여행 만족도 조사'에서 대전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9위를 기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 ‘선배님들 수능 대박’ ‘선배님들 수능 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