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충남도청사 전경. |
충남도 내 거주하는 외국인 주민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도가 공개한 행정안전부 '2019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 통계 자료에 따르면, 도내 거주하는 외국인주민 비율은 5.8%(12만7057명)를 기록해 전국 평균 4.3%(221만명)을 크게 웃돌았다.
외국인 주민은 한국 국적을 가지지 않은 자와 한국 국적 취득자 및 외국인 주민 자녀를 말한다.
최근 4년간 도내 외국인주민 수는 2016년 9만5553명, 2017년 10만4854명, 2018년 11만7094명, 2019년 12만7057명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도내 시·군별 외국인주민 수는 천안시가 3만5781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아산시 3만2271명, 당진 1만674명 순으로 집계됐다. 또 시·군별 인구대비 외국인주민 비율은 아산(9.3%), 금산(7.7%), 당진(6.3%), 논산(6.2%), 예산(5.5%), 천안(5.3%), 보령(5.2%) 순으로 나타났다.
국적별로는 중국이 3만3556명으로 32.2%를 차지했고, 차순으로 태국 1만4273명(13.7%), 베트남 1만3128명(12.6%), 우즈베키스탄 6231명(6%), 캄보디아 4618명(4.5%)이었다.
도는 통계 분석 자료를 토대로 도내 외국인주민 현황을 파악하고, 외국인주민 및 다문화가족을 위한 맞춤형 정책을 발굴·추진할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외국인주민이 급속히 늘어나고 있는 만큼, 함께 살아가기 위한 인식 개선이 중요하다"면서 "맞춤형 정책을 통해 외국인주민·다문화가족의 안정적인 정착을 돕고, 지역경제에도 보탬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충남도 내 여성 및 다문화 관련 정책을 총괄하는 도 여성가족정책관실은 4개 팀으로 구성돼 있으며, 주요 업무는 여성발전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추진, 양성평등기금 및 청소년육성기금 총괄 관리, 여성정책개발원 운영 지원, 유관순상(賞) 시상제도 운영, 위촉직 여성위원 확대 추진, 여성권익증진사업 운영에 관한 사항, 성희롱 예방 및 조치에 관한 사항, 경력단절 여성일자리사업 운영에 관한 사항, 저소득 한부모 가족 지원, 한부모가족 복지 시설 운영 지원, 다문화정책에 관한 계획 수립 및 추진, 다문화가족지원거점센터 운영 지원, 다문화정책협의회 구성·운영, 청소년 정책에 관한 계획 수립 및 추진, 청소년 관련 법인 허가 및 관리, 학교폭력관련 업무 지원 등을 담당하고 있다.
내포=김흥수 기자 soooo082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