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이하 KISTEP) 이경재 정책위원이 집필한 이슈페이퍼 '지속가능한 출연연 융합생태계 조성의 조건' 편은 융합연구 필요성이 강조되는 시점에서 국가과학기술연구회(이하 NST)의 융합연구사업 발전을 위해 전담 조직 신설 필요성을 제안했다.
융합연구 수행 전담조직으로 가칭 융합연구센터를 두고 하부에 연구단을 구성해 참여 연구원의 유연한 유·출입 형태로 운영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참여기관 연구진 간 화학적 융합연구문화를 촉진하고 연구원의 연구몰입 제도와 연구수행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융합연구사업의 중장기 발전전략을 기획하고 연구단의 통합적 운영·지원을 전담하는 융합연구 플랫폼 구축 방안도 제시했다. 전문인력과 예산 확보 등 전 주기 운영체계를 구축해 국가·사회문제 해결뿐 아니라 기술사업화·연구원 창업·연구단 독립 등으로 발전할 수 있는 중장기적 육성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조직 신설과 함께 융합연구 고유 목적을 감안한 새로운 평가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는 제언도 나왔다.
단계별 평가관점과 방식을 차별화하고 정량·정성적 평가를 통해 결과 분석과 지속적 관리 후 추후 사업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체계다.
정부 출연연은 경제 발전에 핵심 주체 역할을 했지만 1990년대 이후 대학과 산업계 역량 확대에 따라 역할 재정립이 요구되고 있다. 출연연 간 칸막이를 제거하고 융합연구 활성화를 위한 변화가 필요한 시점으로 현재 미세먼지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등 일부 출연연 간 특정 분야를 놓고 융합연구가 이뤄지고 있긴 하지만 단기 과제별 융합연구의 한계를 지니고 있다. 융합연구를 위한 조직과 시스템 등을 놓고 과학기술계도 다양한 의견을 내놓고 있는 상황으로 지속적인 논의가 필요한 사안이다.
이경제 정책위원은 보고서를 통해 "향후 출연연 융합연구 생태계의 안정적 조성과 미래 국가·사회적 문제 해결 플랫폼 역할을 위해 중장기 비전과 발전전략 등을 수립해야 한다"며 "출연연이 추진할 수 있는 과학기술 후보 분야를 발굴하고 융합연구 포트폴리오 기획 등 전략적 투자를 위한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