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에서]'빚투' 꼭 해야겠니?

  • 오피니언
  • 편집국에서

[편집국에서]'빚투' 꼭 해야겠니?

원영미 디지털룸2팀 차장

  • 승인 2021-01-12 20:58
  • 수정 2021-05-09 16:36
  • 신문게재 2021-01-13 18면
  • 원영미 기자원영미 기자
GettyImages-jv12001968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2020년을 보내는 마지막 날, 점심을 먹기 위해 후배들과 한 식당에 들렀다. 우리 옆 테이블에 자리 잡고 앉은 손님들은 주식 얘기가 한창이었다. 얼핏 보기에도 60~70대 정도로 지긋해 보이는 남자분 둘은 "얼마를 투자했다", "작년 초만 해도 얼마였는데 지금 두 배가 올랐네" 등 식사 내내 주식 이야기에 여념이 없었다. 한때는 커피숍에만 가도 다들 부동산 이야기만 하더니 이제는 화제가 주식으로 넘어간 모양이다. 이처럼 너나 할 것 없이 주식열병을 앓고 있는 듯 그 열기가 어느 때보다 '핫' 하다. 이에 힘입어 새해 시작부터 '코스피 3000' 시대가 열렸다.

나는 지금까지 주식은 절대로 손대선 안 되는 영역으로만 생각했었다. 친구 중 하나가 일명 '테마주'라는 것을 사서 크게 2장을 날리고 수년째 그 빚을 갚고 있다. 한 10년 전쯤인가 다른 친구의 동생은 주식에 손을 댔다가 큰 것 몇 장을 날렸다. '인생 공부' 비싸게 한 동생 탓에 당시 친구 집은 말로 표현하기 힘들 정도로 심난했던 기억이 있다. 주변에서 그런 모습들을 봐왔던 나로선 '아, 주식 잘못하면 인생이 힘들어지는구나'라는 인식이 컸다. 살면서 절대로 나는 주식은 하지 말아야지 했다.

그런데 지금은 남들 다한다는 주식을 안 하는 사람이 되레 바보가 되는 것 같다. 나만 빼고 다 돈을 번 것은 아닌지 박탈감도 커지고 있다고 한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아파트 갭 투자도 못하면 '루저('실패자'라는 뜻)'라더니, 이제는 유행인 '주식도 안 하는 사람'이 그렇다. 누구는 차를 바꿨네, 수익률이 '따블'이 됐네 하며 너도나도 주식을 하고 있다. 청년부터 노인까지 세대를 막론하고 '빚투 족'도 급증하는 추세다. 시중은행 금리가 싸다 보니 사람들은 연금보험이나 적금을 깨는 것은 물론 마이너스 통장까지 끌어 써가며 주식에 돈을 넣고 있다. 투자를 해 놓고도 원금이 날아갈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에 정신과 상담을 받는 사례도 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과열을 경계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갈 곳을 잃은 자금이 부동산과 주식으로 몰려들면서 거품이 심각해졌고, 조만간 그 '버블'이 터져버릴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세계적인 투자가인 짐 로저스는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끝이 다가오고 있다"며 "투자에 신중하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주식 투자에 있어서 꼭 명심해야 할 것이 있다고 한다. 투자하려는 주식에 대해 충분히 공부할 것, 반드시 '여유 자금'으로 하라는 것이다. 투자 자체가 잘못됐다는 것이 아니다. 인생역전을 꿈꾸며 감당도 하지 못할 빚을 내 주식에 '올인'하는 것은 위험하다. 무슨 일이든 신중해서 나쁠 것은 없다. 불확실 할 수록 돌다리도 두들기는 지혜가 필요하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KINS 기밀 유출 있었나… 보안문서 수만 건 다운로드 정황에 수사 의뢰
  2. 수도권 뒤덮은 러브버그…충청권도 확산될까?
  3. [춘하추동]새로운 시작을 향해, 반전하는 생활 습관
  4. [대전다문화] 열대과일의 나라 태국에서 보내는 여름휴가 ? 두리안을 즐기기 전 알아야 할 주의사항
  5. 대전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 대전시에 공청회 요구... 경쟁 입찰 조회수 부풀리기 의혹 제기도
  1.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 대전시에 공청회 요구
  2. 3대 특검에 검사 줄줄이 파견 지역 민생사건 '적체'…대전·천안검찰 4명 공백
  3. [대전다문화] 세계 일회용 비닐봉투 없는 날
  4. 한국영상대 학생들, 웹툰·웹소설 마케팅 현장에 뛰어들다
  5. aT, 여름철 배추 수급 안정 위해 총력 대응

헤드라인 뉴스


대전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 대전시에 공청회 요구... 경쟁 입찰 조회수 부풀리기 의혹 제기도

대전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 대전시에 공청회 요구... 경쟁 입찰 조회수 부풀리기 의혹 제기도

대전 중앙로지하상가 비상대책위원회와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가 상가 정상 운영을 위한 대전시민 1000여 명의 서명을 받아 대전시에 공청회 개최를 요구하고 나섰다. 비대위는 경쟁 입찰 당시 상인 대부분이 삶의 터전을 잃을까 기존보다 많게는 300% 인상된 가격으로 낙찰을 받았는데, 높은 조회수를 통해 조바심을 낼 수밖에 없도록 조작한 게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했다.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와 대전참여연대는 2일 대전시청 북문에서 '지속 가능한 중앙로 지하상가 운영을 위한 시민참여 공청회 청구 기자회견'을 열고 대전시에서 입찰을 강행한 결과 여..

요즘 뜨는 대전 역주행 핫플레이스…반석역 3번출구, 버드내초인근 상권 등
요즘 뜨는 대전 역주행 핫플레이스…반석역 3번출구, 버드내초인근 상권 등

숨겨진 명곡이 재조명받는다. 1990년대 옷 스타일도 다시금 유행이 돌아오기도 한다. 이를 이른바 '역주행'이라 한다. 단순히 음악과 옷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권은 침체된 분위기를 되살려 재차 살아난다. 신규 분양이 되며 세대 수 상승에 인구가 늘기도 하고, 옛 정취와 향수가 소비자를 끌어모으기도 한다. 원도심과 신도시 경계를 가리지 않는다. 다시금 상권이 살아나는 기미를 보이는 역주행 상권이 지역에서 다시금 뜨고 있다. 여러 업종이 새롭게 생기고, 뒤섞여 소비자를 불러 모으며 재차 발전한다. 이미 유명한 상권은 자영업자에게 비싼..

"직원 대부분 반대·이직 동요"…해수부 이전 강행 무리수
"직원 대부분 반대·이직 동요"…해수부 이전 강행 무리수

"해수부 전체 직원의 86%, 20대 이하 직원 31명 중 30명이 반대하고, 이전 강행 시 48%가 다른 부처나 공공기관으로 이직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최민호 세종시장이 7월 2일부터 예고한 '해수부 이전 철회' 1인 시위에 돌입했다. 이날 어진동 정부세종청사 5동 해수부 정문 앞에서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 옳지 않은 것은 옳지 않은 것입니다'란 캐치프레이즈와 함께 거리로 나섰다. 해수부 이전 철회를 촉구하는 입장을 정부부처 공무원을 넘어 시민들과 함께 나누기 위한 발걸음이다. 그가 해수부 이전에 반대하는 입장은 '지역 이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의정활동 체험 ‘재미있어요’ 의정활동 체험 ‘재미있어요’

  • 도심 열기 식히는 살수차 도심 열기 식히는 살수차

  •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 대전시에 공청회 요구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 대전시에 공청회 요구

  •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