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울릉도 사동항 동방파제(640m)는 선박의 피항지를 확보하고 독도 영토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지난 2018년 지어졌으나, 지난해 9월 발생한 태풍(제9호 마이삭, 제10호 하이선)피해로 방파제 일부 구간(220m)이 유실됐다.
해수부는 이상 파랑에 따른 추가피해를 막고 항만운영을 조기에 정상화하기 위해 피해 발생 직후 복구공사를 위한 실시설계를 착수해 1월 완료했다.
이후 인근에서 진행되고 있는 울릉공항 건설사업과 연계해 공사를 신속히 추진하기 위해 국토부와 지속적으로 협업, 최근 복구공사 세부 시행계획에 대한 협의를 마쳤다.
울릉공항 건설사업과 연계해 복구공사를 추진할 경우, 입찰 기간이 단축되어 올해 태풍이 내습하기 전까지 응급복구가 가능하며, 울릉공항에 필요한 소파블록을 활용함으로써 국가 예산도 크게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복구공사는 응급복구(소파블록 거치)와 항구복구(호안단면 복구)로 나뉘어 진행되며, 우선 올해 6월까지 응급복구를 마치고, 항구는 울릉공항 추진 공정에 맞추어 2023년까지 복구해 나갈 예정이다.
이상호 해수부 항만개발과장은 "울릉도가 해상 작업여건이 좋지 않은 섬이라 어려움이 있지만, 사동항이 독도 수호를 위한 해군 전진기지로서 역할과 항만 기능을 온전히 수행할 수 있도록 빠른 시일 내에 복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울릉도는 경상북도 동북단 동해상에 위치한 군으로 사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다. 면
적 72.9km2, 해안선 길이 64.43km인 울릉도는 성인봉(聖人峰, 986m)이 최고봉이다. 육지와의 거리는 경상북도 포항에서 217km, 후포에서 159km, 동해 묵호에서 161km, 강릉에서 178km이다.
울릉군의 주도(主島)는 울릉도이며, 부속도인 관음도는 예전에 유인도였다가 지금은 무인도로 변했으나 연도교가 놓여서 관광객들이 즐겨 찾는다. 그 외 울릉도의 저동항 바로 앞에 있는 죽도(1가구 2명), 독도의 서도(1가구 2명) 동도(등대원들과 독도 경비대원)로 이루어져 있다.
성인봉을 중심으로 하여 남쪽은 가두봉, 동북쪽은 두루봉에 이르는 능선이 사방으로 뻗어 있다. 섬의 북서부에는 나리분지가 있는데 동남과 서남부가 높이 500m 정도로 단애(斷崖)에 둘러싸였고, 북쪽에는 200m 정도의 낮은 산지가 가로막혀 있는 울릉도 유일한 평야이며 유명한 관광지이다.
세종=오주영 기자 ojy8355@
![]() |
해양수산부는 지난해 9월 태풍 피해를 본 울릉도 사동항 동방파제에 대해 6월까지 응급복구를 완료할 계획이라고 28일 밝혔다. 길이 640m인 동방파제는 지난해 9월 제9호 마이삭과 제10호 태풍 하이선이 연이어 강타하면서 220m에 이르는 일부 구간이 부서져 사라졌다. 사진은 태풍 피해 현장. /연합DB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