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노래] 애니멀스의 'The House of The Rising Sun'

  • 문화
  • 문화 일반

[나의 노래] 애니멀스의 'The House of The Rising Sun'

  • 승인 2021-03-03 11:10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house in the  slum for poor  people
게티이미지 제공
예술의 한계는 어디일까. 근사한 예술작품을 대할 때마다 드는 생각이다. 예술은 한 인간의 인생을 좌우하기도 한다. 지상에서 예술만큼 위대한 분야도 없다. 천부적인 재능이 따라야 한다. 하늘이 내린 능력! 선택받은 인간이다. 대중가요만큼 사람의 심금을 울리는 게 있을까. 고단한 삶에 지친 이를 위로한다. 애니멀스의 'The House of The Rising Sun'은 내 가슴을 마구 뛰게 한다. 깊고 음울하면서 단조로운 기타 전주곡이 흐르면서 블루스 록의 달콤한 노래가 가슴을 파고든다. 멜로디는 단순하다. 알고보니 이 노래는 미국 민요란다. 1964년에 나왔다. 이 노래를 부르는 애니멀스의 동영상을 보면 참 촌스럽다. 뻣뻣하게 서서 노래부르는 모습이라니, 정겨워서 웃음이 절로 나온다. 그렇지만 노래의 가사는 단순하지 않다. '뉴올리언스에는 집이 한 채 있는데 모두들 '라이징 선'이라고 부르죠. 그곳은 많은 불쌍한 소년들의 폐허랍니다. 그리고 저도 그 중 한 명이죠~' 뒷골목의 가난한 소년과 청년들. 미래에 대한 꿈도 없고 희망은 더더욱 없다. 뉴올리언스가 어딘가. 노예출신 흑인들이 사는 곳. 그 곳에 사는 백인들의 삶도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정도상의 소설 '꽃잎처럼'에도 이 노래가 언급된다. '꽃잎처럼'은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이 시대배경이다. 저녁에서 다음날 새벽까지 하룻밤을 다뤘다. 광주시청에서 어린 소년소녀들과 청년들이 계엄군이 밀어닥치기 전의 공포와 두려움, 비장감이 감도는 상황이다. 소설의 등장인물들도 이름없는 꽃들이다. 들판에, 길가에 아무렇게나 피어나는 잡초같은 꽃들. 밟고 밟아도 다시 일어나는 민들레같은 꽃들 말이다. 돈이 없어 배우지 못해 공장에 나가 전투적으로 살지만 마음은 한없이 순수한 청년들과 대학생 청년들. 불의에 항거하는 청년들은 숨막히는 초조함 속에서 노래를 부른다. 그 중 하나가 애니멀스의 '더 하우스 오브 라이징 선'이다. 뉴올리언스의 청년과 80년 5월의 불의에 맞선 광주 청년들. 한 사람의 운명은 어디로 가는가. 인간의 삶은 운명지워질까. 독재자의 개가 되어 명령에 따라 곤봉을 휘두르고 총부리를 겨누는 특공대 청년들의 운명은 조물주의 장난인가. 두개골이 쪼개지고 내장을 흘리며 한 조각 마지막 숨을 내쉬는 청년들은 무슨 생각을 할까. 찌질한 인생들이라고 자조하지만 정의를 위해 목숨을 기꺼이 내놓은 청년들은 씩씩하게 '해뜨는 집'을 불러제낀다. '한 쪽 발은 플랫폼에 다른 발은 기차 위에 올리고 저는 뉴올리언스로 돌아갑니다. 발에는 족쇄를 차게 될 테고요~' 언제 들어도 가슴 뭉클해지는 노래다.
우난순 기자 rain4181@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의정부시, 시민 김지민 씨 저소득층에 성금 100만 원 전달
  2. 김해시, 2026년 노인일자리 7275명 확대 모집
  3. 인천 미추홀구, ‘시 특색 가로수길 평가’ 최우수기관 선정
  4. 대전을지대병원, 바른성장지원사업 연말 보고회 개최
  5. 대전상의, 청양지회-홍성세무서장 소통 간담회 진행
  1.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2. 공공사업 낙찰 규모 계룡건설산업 연말에 1위 탈환할까
  3. 이장우 시장 맞은 충남대병원, "암환자 지역완결형 현대화병원 필요" 건의
  4. 노사발전재단 충청중장년내일센터, '대전 기업 밋업데이' 개최
  5. 대청호 가을녹조도 하향추세…조류경보 '관심'으로

헤드라인 뉴스


`K-스틸법` 국회 본회의 통과… 대한민국 철강산업 재도약 발판

'K-스틸법' 국회 본회의 통과… 대한민국 철강산업 재도약 발판

침체를 겪는 대한민국 철강산업의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할 이른바, ‘K-스틸법’이 27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국가 경제의 탄탄한 동력을 확보하게 됐다. 충청 의원들이 대표 발의한 여러 민생법안들도 국회 문턱을 넘었으며, 여야 갈등의 정점인 국민의힘 추경호 의원 체포동의안도 국회 가결됐다. 국회는 이날 오후 본회의장에서 여야 합의로 상정된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및 탄소중립 전환을 위한 특별법안’(K-스틸법)에 대한 표결을 진행한 결과, 재석 의원 255명 중 찬성 245명, 반대 5명, 기권 5명으로 가결했다고 밝혔다. K-스틸..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