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리포트2021④] "하숙하실래요?", "쉬었다가" 중동의 100년은 변하지 않았다

[도시재생리포트2021④] "하숙하실래요?", "쉬었다가" 중동의 100년은 변하지 않았다

[도시재생, 외면했던 진실을 보다] ③춘일정 100년, 중동 10번지를 가다

  • 승인 2021-08-11 16:01
  • 수정 2021-08-24 10:32
  • 신문게재 2021-08-12 6면
  • 김소희 기자김소희 기자
컷-도시재생리포트

 

 

논과 밭이 전부였던 대전은 철로가 놓이면서 대도시로 발전한 대표적 도시다. 대전역세권을 중심으로 충청권 제1의 도시로 자리 잡는 동안 일제강점기의 잔재로 불리는 유곽(遊廓: 허가받은 성매매 집결지)이 형성된다. 1990년 대전이 폭발적인 발전을 이뤄낼 때도 동구 정동과 중동, 원동(행정동 명칭:중앙동)은 ‘춘일정’과 ‘영정’으로 불리는 유곽, 성매매 집결지로 명성을 날렸다. 성매매가 호황 누리던 시절은 지났다고 하지만, 2021년 이곳은 여전히 어둡고, 음침했고, 은밀했다. 100년이란 시간 동안 역세권의 중심부에서 공존해온 일명 중동 10번지를 다녀왔다.

 

KakaoTalk_20210811_101302526_01

옛 춘일정 일대의 모습. 춘일신지라고 쓰여 있는 안내판에 신지 '新地'는 신개지에 생긴 유곽을 뜻한다. 사진=대전시 제공
중동 10번지, 대전의 성매매 집결지는 십자거리를 중심으로 모여 있다. 대전역 서광장에서 거리로 나와 횡단보도 하나만 건너면 한약·미용·인쇄거리가 모여 있는 곳이다. 성매매 집결지임을 모르고 들어선다면 1980~90년대에 머물러 있는 옛 동네로 오해하기 쉽다. 유명한 맛집도 있고, 운영하지 않지만 오래된 극장도 있고, SNS를 통해 입소문 난 커피숍도 있다. 하지만 간판 하나하나를 살펴보면 이곳은 복고풍의 동네라 부르기 민망할 정도로 수많은 성매매 업소가 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KakaoTalk_20210810_223029686_09
중동 10번지에 위치한 일명 십자거리 일대. 이곳에 위치한 가게 90%는 성매매 업소로 사용되고 있다. 사진=김소희 기자
KakaoTalk_20210810_223029686_14
대전시에서 공사하는 도심형플랫폼 건물 옆 바로 성매매 업소들이 즐비해있다. 청객을 위한 작은 천막 공간과 의자들이 놓여 있어, 아직 영업 중이라는 걸 확인할 수 있다. 사진=김소희 기자
오후 4시쯤, 차를 몰아 정동으로 들어섰다.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온 건 대전시에서 진행하는 '도심형산업지원플랫폼' 건립 공사였다. 공사 현장 바로 옆에 성매매 업소가 있었다. 우뚝 솟은 공사 현장은 낮게 위치한 성매매 업소를 그늘지게 만들었다. 이 모습은 성매매 업소가 음지 있다는 것을 더욱 실감케 했다. 호객행위를 하는 '청객'은 없었지만, 업소를 방문하는 손님을 위한 의자나 청객을 위한 대기 장소가 보였다. 아직 '영업 중'이라는 걸 증명하는 흔적이었다.



십자거리로 향했다. 지역 활동가들에 의하면 십자거리 주변 90%가 성매매 업소라고 했다. 빨간 간판이 달린 여인숙이 즐비했고, 해가 지지도 않은 대낮인데 이미 청객(호객행위 담당)들이 오갔다. 성매매는 주로 밤에만 이뤄지는 것이라 여겼는데, 유동인구가 있고 일반인이 지나다니는 곳에서 호객행위와 성매매가 일상처럼 있을 정도다.

여인숙으로 들어가는 젊은 여성들도 여럿 있었다. 낡고 오래된 건물, 유곽이 형성됐던 시간을 생각하면 종사자들은 당연히 고령일 것이라 생각했다. 편견이었다. 2019년 여성가족부에서 발표한 자료를 보면 중앙동 성매매 집결지 종사자는 40대 이상의 여성이 다수였다고 했지만, 그 이하인 종사자들도 적지 않았다.



KakaoTalk_20210810_223029686_05
<사진 왼쪽부터> 중동 10번지 일대에서 젊은 남성들이 걸어 나오고 있고, 바로 옆 청객들이 모여 있다. 한 여관 입구에 청객이 부채를 흔들며 호객 행위를 하고 있다. 사진=김소희 기자
밤 10시, 다시 정동을 찾았다. 정동은 밤이 되니 한없이 어두웠다. 기분 탓인지는 몰라도 유난히 가로등도 없었고 골목 곳곳이 너무나 어둡게 느껴졌다. 취재 후 들은 이야기로는 가로등을 설치해놔도 업주들이 파손한다고 했다. 이들에겐 업무 방해 요소일 뿐이기 때문이다.

밤이 되자 낮에는 서너 명에 불과하던 청객이 부쩍 늘었다. 작은 골목 의자에 앉아 손님을 기다리는 듯했다. 십자거리에는 더 많은 청객이 있었는데, 차량이 진입하자 부채를 흔들며 호객행위를 시작했다. 그때 한 남성이 나타났다. 청객과 대화를 나누던 남자는 안내를 받으며 어디론가 홀연히 사라졌다.

"하숙 안 하세요?" 1950년대 제작한 '신천지'라는 잡지를 보면 하숙이라는 단어는 한국전쟁 이후 성매매 호객 단어였다. 지금은 "잠시 쉬었다 가라"는 표현이 쓰이지만, 속뜻은 70년 전이나 현재는 다를 바가 없었다.

십자거리 옆 골목으로 이동하자 젊은 남성 두 명이 나왔다. 남성들을 보면 으레 호객행위를 하는 것이 청객인데, 이들에게는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방금 업소에서 나왔다는 걸 한눈에 짐작할 수 있었다.

최근 경찰이 단속을 시작하면서 그나마 활동이 줄어든 모습이라지만, 성매매를 권하고, 성을 사고, 파는 행위는 100년 전이나 지금이나 여전했다. 대전시의 도시재생 정책에도 의문이 들었다. 청년공간과 도시재생 지원센터를 성매매 업소 곳곳에 건립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묵인하고 있는 것일까.

밤이면 이곳은 외딴 섬이 된다. 대전은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 방침이라 밤 10시부터는 영업을 중단해야 하는데, 이곳은 4단계나 코로나와는 무관한 듯 보였다. 세계를 뒤흔든 감염병도, 행정과 경찰의 눈도 무섭지 않다. 대전이지만, 대전처럼 보이지 않는 중동의 밤, 과연 도시재생이라는 정책이 바꿔놓을 수 있을까. 김소희 기자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위원회의 지원을 통해 작성됐습니다.
KakaoTalk_20210811_101302526
옛 중앙동의 모습. 게이샤로 추정되는 여인들이 유곽 앞에서 있다. 사진 출처 = 호남일보사, 충청남도발전사, 193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3. 파주시, 운정신도시 교통혼잡 교차로 신호체계 개선
  4. 고양시, 2026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 모집
  5.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1.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2.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3.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4.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5. 대전 환경단체, 열병합발전 발전용량 증설 승인 전기위 규탄

헤드라인 뉴스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대전지역에 1000만원 이상 고액·상습 체납자 247명의 명단이 공개됐다. 대전시는 19일 지방세 및 지방행정제제·부과금 체납액이 각 1000만 원 이상인 고액·상습체납자의 명단을 시 누리집 및 위택스를 통해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고액·상습체납자는 올해 1월 1일 기준 체납 발생일부터 1년이 지난 1000만 원 이상 체납자이며 지난 10월까지 자진 납부 및 소명 기회를 부여한 후 지방세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됐다. 공개된 정보는 체납자의 성명·상호(법인명), 나이, 직업, 주소, 체납세목, 납부기한 및 체납요지 등이며..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을 넘어'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7년 두 개 섬에서의 행사 이후에는 2029년 3개 섬에서, 2031년에..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