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in 충청] 위험 노출된 보행자 안전…"교통문화 개선이 답이다"

  • 사회/교육
  • 환경/교통

[데이터 in 충청] 위험 노출된 보행자 안전…"교통문화 개선이 답이다"

대전, 보행자 교통사고 증가 추세
절반 이상 고령자 무단횡단 사고"
보행자 중심 교통 교통체계 전환
운전자·보행자 안전수칙 준수해야"

  • 승인 2021-10-06 17:18
  • 수정 2021-10-07 15:20
  • 신문게재 2021-10-07 5면
  • 송익준 기자송익준 기자

컷-데이터인충청 copy
대전은 명실상부한 교통의 도시다. 국토 중심에 위치한 입지적 특성을 지닐 뿐만 아니라 실제 교통이 편리하기 때문이다. 전국을 잇는 철도, 시내버스와 도시철도로 구축된 대중교통, 주요지점마다 잘 뻗은 도로망은 교통도시 대전의 자랑이다.

 

특히 운전자들의 만족도가 높다. 대전 주요 도로는 대부분 평지에 직선화되어 널찍하다. 신호만 잘 받으면 도시 양 끝 지점인 동구에서 유성까지 20~30분대 주파가 가능하다. 잘 구축된 도로망 덕에 승용차 이용률은 높은 수준으로, 대전의 교통수단 분담률 절반 이상을 승용차가 차지하고 있다.

 

222
그래픽=한세화 기자
그렇다면 보행자 환경은 어떨까. 편리한 운전환경과 달리 보행자는 안전사고에 노출된 상태다. 대전세종연구원이 수행한 보행자 교통사고 특성 및 감소 방안 연구(연구책임 이범규·연구원 신혜림)에 따르면 대전의 보행자 교통사고 건수는 증가추세다. 2018년 1515건에서 2019년 1595건으로 늘었다.


부상자는 1525명에서 1632명으로 증가했다. 사망자는 47명에서 40명으로 줄었지만,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77명) 중 51.9%를 차지하고 있다. 차대차는 36.4%(28명), 차량 단독은 11.7%(9명)에 불과했다.

 

111
그래픽=한세화 기자

인구 10만 명당 보행자 사망자 수를 계산하면, 2.7명으로, 전국 평균(2.5명)보다 많았다. 세종 0.9명, 서울·울산 1.5명, 인천·대구 1.7명, 부산 2.1명, 광주 2.3명 등 특·광역시 중에선 최하위를 기록했다. 연평균 감소율도 전국 평균(4.60%)에 훨씬 못 미치는 1.58%를 기록 중이다.


5개 구별로 보행자 교통사고 현황은 서구 562건, 중구 323건, 유성구 273건, 동구 252건, 대덕구 185건 순이었다. 사망자 수는 서구가 13명으로 가장 많았고, 중구(9명), 유성구(7명), 동구(6명), 대덕구(5명)가 뒤를 이었다.

사망자 절반 이상은 65세 이상(21명) 고령자로 나타났다. 사고 유형별로는 절반에 가까운 18명(45.0%)이 무단횡단으로 목숨을 잃었다. 시간은 오후 8~10시(12명), 장소는 교차로(22명)에 집중됐다. 스쿨존에선 교통사고 16건이 발생했으나, 사망자는 없었다.

 

333
그래픽=한세화 기자
보행자 교통사고가 늘고, 보행자 사망비율이 높은 이 같은 상황은 교통도시 대전의 오점으로 지적된다. 문제 해결을 위해 대전시와 대전경찰청은 올 초부터 보행자 중심의 교통안전 정책을 추진 중이다. 안전속도 5030 시행에 맞춰 사고 다발구간에 무단횡단 방지 펜스를 설치하고, 집중단속을 벌이는 등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이와 관련 전문가들은 보다 실질적인 보행자 중심의 교통체계 전환을 주문한다. 사고가 특정 지역에 집중되기도 하지만 산발적으로 발생하는 만큼 도시 전역의 보행 안전체계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는 게 이들의 공통된 제안이다. 운전자뿐만 아니라 보행자들의 교통 인식 개선도 요구된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의 교통문화실태조사에서 지난해 대전의 무단횡단 비율은 37.17%, 횡단보도 보행 중 스마트폰 사용률은 21.59%로 나타났다. 그 결과, 대전의 보행행태 교통문화지수(16.24점)는 전국 평균(16.74점)을 밑돌고 있다.

대전세종연구원 이범규 선임연구위원은 "도로와 신호, 안전시설 등 교통체계 전반을 보행자 중심으로 과감하게 전환하고, 이를 전역으로 확대 적용해야 한다"며 "무단횡단 교통사고에 대한 집중적인 관리와 함께 고령자 등을 대상으로 한 안전교육 강화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교통안전공단 관계자도 "전국적으로 안전속도 5030 정책이 시행되며, 보행자 중심의 정책이 자리를 잡고 있다"며 "보행자들의 교통문화 인식 개선도 중요한 시점으로, 스스로 보행 안전수칙을 지키면서부터 교통안전이 시작된다"고 밝혔다.


송익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한화이글스의 도전이 끝나는 순간! 마지막 육성응원 최강한화 1
  2. 대전의 가을밤을 뜨겁게 달군 과학관 응원단장! 한화팬-대전시민여러분께 1
  3. 대전사랑메세나, 취약계층과 지역주민이 함께한 '더 노은로 작은음악회' 성료
  4. 샛별재가노인복지센터, 가을나들이 행사 진행
  5. 식장산부터 장동까지 평화견학…제8회 평화발자국 참가자 모집
  1. 대전과학기술대 여자 배드민턴부, 전국종별배드민턴대회 3위 쾌거
  2. 군의관과 간호장교 부부에서 시작, 을지재단 창립 69년 기념식
  3. 심사평가원 대전충청본부, 보건의료지원단 빅데이터 역량 교육
  4. 건양사이버대-대덕파트너스, 미래 인재 양성 위해 맞손
  5. 육군군수사령부, '미식별 선박 대응체계 고도화' 발표 32사단 최우수상 선정

헤드라인 뉴스


대전 부동산시장 "민간임대 비율 조정" 목소리 커져

대전 부동산시장 "민간임대 비율 조정" 목소리 커져

지방에서 미분양이 쏟아지는 등 부동산 한파가 심각한 가운데 지방 도시개발사업에서 천편일률적인 임대주택건설 의무 비율 조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대전시는 이 같은 여론을 주시하면서 지역 부동산시장의 면밀한 분석을 통한 '조정'카드를 만지작 거리고 있어 주목된다. 민간임대주택의 장점과 수요를 침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건설 경기 부양 등 지역경제 활성화까지 염두한 최대공약수 찾기에 나선 것이다. 최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9월까지 분양이 이뤄진 아파트 단지 청약 미달률은 1순위 기준 41.9%에 달했다. 반면 서울만 0%를..

`호남고속도로지선 확장 공사`예타 통과
'호남고속도로지선 확장 공사'예타 통과

대전의 숙원 사업인 '호남고속도로지선 확장 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함에 따라 충청과 호남의 축 병목 해소에 청신호가 켜졌다. 최근 대전시에 따르면 '호남고속도로지선 확장 사업'은 10월 31일 기획재정부 제10차 재정사업평가위원회 예비타당성조사 심의 결과 최종 통과했다. 이 사업은 총사업비 3522억 원 규모로 호남고속도로지선 서대전분기점~회덕분기점 구간(총 18.6㎞)이 4차로에서 6차로로 확장하는 사업이며 사업기간은 약 8년으로 계획하고 있다. 대전시와 지역 정치권은 이 구간을 '충청·호남을 잇는 병목지점'으로 지목하며..

대전 소상공인·전통시장 경기 체감 지수 상승 뒤 유지... 11월 전망지수도 `밝음`
대전 소상공인·전통시장 경기 체감 지수 상승 뒤 유지... 11월 전망지수도 '밝음'

대전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상인들이 느끼는 경기 체감 지수가 상승 곡선을 그린 뒤 유지하고 있다.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원 등으로 반등한 지수가 우상향하고 있는 것인데, 11월 경기 상황을 내다보는 전망 지수도 올라서면서 경기가 나아질 것이란 희망을 내비친다. 2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발표한 '소상공인시장 경기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대전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상인들의 10월 경기 체감 지수는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원으로 상승한 이후 평행선을 유지 중이다. 경기 동향 조사는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사업체 운영자의 체감 경기 파악..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