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6일 오전 대전 중구의 한 대형마트에서 확인한 결과 유정란(특란, 15구)가 8760원에 판매되고 있었다.<사진=한세화 기자> |
경기도와 호남을 비롯한 전국 곳곳의 산란계 농가가 조류독감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충남 천안과 충북 진천 등 충청권까지 확산세를 보이면서 달걀과 닭·오리 가격이 치솟고 있다.
방역당국에 따르면 24일 충남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에 있는 농장에서 검출된 H5형 AI 바이러스가 고병원성으로 확인돼 산란계 12만 마리와 반경 500m 이내의 농장들의 14만1000마리를 매몰 처분했다. 또 10km 이내에 있는 50여 농가의 가금류 160여만 마리가 이동제한 조치됐다. 앞서 22일에는 충북 진천군 광혜원면의 한 종오리 농장에서 H5N1형 조류인플루엔자가 확인되면서 의심되는 오리 9000여 마리를 살처분했다.
![]() |
유정란에 비해 알이 작은 신선란(30구)은 행사가격임에도 7650원에 판매되면서 통계보다 21% 비쌌다. <사진=한세화 기자> |
aT 농수축산물 도소매 가격정보(KAMIS)에 따르면 26일 기준 달걀(특란, 30개)는 대전역시장이 5980원, 대형마트(롯데마트 노은점·이마트 둔산점 평균치)는 6380원이다. 하지만 체감 물가는 더했다. 같은 날 기준 대전 중구의 한 대형마트에서 직접 확인해보니 유정란(특란, 15구)은 8760원에, 신선란(특란, 30구)은 7650원에 판매되고 있었다.
2021년 초부터 시작된 AI 확산세로 달걀값이 수개월째 상승세를 유지하면서 '금란'이라 불리며 연일 최고치를 경신한 데 이어, 정부의 수입란 무관세 정책마저 실패로 돌아가면서 이 같은 가격 상승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대전에 사는 40대 주부 안 씨는 "유정란이나 동물복지란의 경우에는 한판도 아닌 15구가 8000원이 훌쩍 넘어 장보기가 무서울 정도"라며 "명절 차례음식에 달걀이 안 들어가는 음식이 거의 없는데, 가격이 계속 오름세를 유지한다면 전체 음식량을 줄여야 할지를 고민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aT 관계자는 "전통시장의 경우 지난주부터 달걀값이 소폭 하락세로 돌아서는 추세"라며 "산란계 농가 상황이 장바구니 물가에 적용되기까지 시간적 공백이 있으며, 향후 추이를 살펴 정확한 물가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세화 기자 kcjhsh9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