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의 취재기록-41]제천 청풍승평계 실체 입증할 80여년 전, ‘제적등본’ 등 입수

[10년간의 취재기록-41]제천 청풍승평계 실체 입증할 80여년 전, ‘제적등본’ 등 입수

1871년에 태어난 이태흥, ‘1940년 4월29일 오전 8시에 사망했다’
청풍승평계(1893년)·속수승평계(1918년) 소속 이태흥, 우두머리 단원
'이태흥'의 4대후손 이화연 선생, "방에서 가야금 등 봤고, 증조부는 국악기 연주"

  • 승인 2022-02-14 09:32
  • 수정 2022-02-14 14:10
  • 손도언 기자손도언 기자
이태흥 제적등본
'80여년 전, 제천 대규모 국악단체인 청풍승평계·속수승평계 단원인 이태흥(李泰興·1871~1940년)의 제적등본'…제적등본 아래 부분에 '이태흥(빨간색 부분)'이라고 한자로 적혀있다.제적등본은 제천군지 기록과 일치했다. 본보가 입수한 제적등본은 '제천 대규모 국악단체가 실제로 존재했다'는 것을 증명했다.이태흥은 속수승평계 43명 중, 서열 2위였다.  제천=손도언 기자 k-55son@
'제천지역 대규모 국악단체가 실제로 존재했다'는 결정적인 문서가 80여년 만에 처음으로 발견됐다.

제천 청풍지역에서 창단한 국악단체인 청풍승평계(1893년)·속수승평계(1918년) 소속 단원의 직계 후손(後孫) '가족관계 문서'가 발견된 것인데, 문서 분석결과 두 단체는 실제로 존재했었다. 특히 지난해 11월, 중도일보의 '128년 전 제천에서 조직된 대규모 국악단체가 실제로 존재했나' 최초 보도는 문서 발견으로 실체에 대한 '마지막 퍼즐'을 완성했다. 추적, 3개월 만이다. 따라서 제천지역 대규모 국악단체의 '실체와 전모'가 조금씩 모습을 드러내고 있고, 학계도 이 문서와 함께 제천 대규모 국악단체를 다시한번 주목하고 있다. 무엇보다 제천 대규모 국악단체 단원 직계 후손(後孫)의 생생한 구술증언과 결정적 문서까지 밝혀지면서 '국내 최초' 국악관현악단 타이틀도 한층 탄력을 받게 됐다.

이태흥 족보
'이태흥의 전의 이씨 족보'…이태흥(위)은 족보에서 '이근하'로 돼 있지만 자는 '악삼', 호는 '태흥'으로 돼 있다.이같은 기록은 제천군지의 기록과 일치한다.  제천=손도언 기자 k-55son@
◆본보, 추적 3개월째 국악단체 서열2위 이태흥 '직계 후손·제적등본·족보' 확인, 입수

본보 취재팀은 지난해 11월부터 현재까지 약 3개월간 제천지역 대규모 국악단체를 추적 보도했다. 특히 취재 두달여 만에 첫 구술증언자를 찾았다. 그리고 석달여 만에 국악단체의 실체를 확실하게 입증할 결정적인 문서를 입수했다.



본보는 1893년도 국악단체인 청풍승평계 단원이면서 1918년 속수승평계 우두머리 단원의 직계 후손을 어렵게 찾아냈다. 또 두 국악단체의 실체를 입증할 결정적 문서인 '직계 후손 제적등본'과 '전의 이씨 족보' 등도 입수했다. 첫 구술증언자에 만족하지 않고, 문서로 된 단서 등을 찾은 것이다. 그동안 두 국악단체의 기록은 제천군지(1969년 제천군지편찬위원회 편찬)가 유일했다. 그러나 기록에 대한 사실여부가 불분명했다. 기록만 있을 뿐, 증언자나 결정적 문서 등이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번에 입수한 제적등본과 족보 등은 제천군지에 기록된 명단 등과 일치했다. 또 본보의 보도 내용과도 정확하게 맞아 떨어졌다.

본보는 지난 10일 경기도 성남시의 한 공원에서 두 국악단체 단원의 직계 후손인 이화연(여·67) 선생을 만났다. 이 선생은 청풍승평계(1893년)·속수승평계(1918년) 소속 단원인 이태흥(李泰興·1871~1940년)의 4대 후손이자, 그의 증손녀다.

'이태흥'의 증손녀인 이화연 선생은 "어릴적, 방안에서 가야금·거문고·아쟁·해금 등을 봤고, 증조할아버지(이태흥)가 국악 악기를 연주했다고 들었다"고 말했다.
2
'제천 대규모 국악단체 첫 증언자 이장용 선생'…그는 본보 인터뷰에서 "국악단체 단원들은 갓과 도포, 두루마기 등을 입었고, 각종 국악악기를 연주했다"고 증언했다.  제천=손도언 기자 k-55son@
◆한달 전, 제천 대규모 국악단체 첫 증언자 확인

앞서 본보 취재팀은 지난 1월 중순, 첫 증언자를 찾아 생생한 이야기를 전해 들었다. 첫 증언자는 "당시 속수승평계 단원들은 갓을 썼고, 도포와 두루마기 등을 착용했다. 단원들은 각종 국악악기를 연주했는데, 담장 너머로 그 모습을 봤다"고 처음으로 구술 증언했다. 첫 증언자는 국악단체가 주로 모이는 연습실 인근에 거주했던 인물이다. 그러나 첫 증언자는 청풍승평계와 속수승평계 소속 단원의 직계 후손은 아니었다. 첫 증언자의 성함은 이장용 씨다. 1934년 생으로 올해나이로 89살이다. 90살을 바라보고 있다. 거주지는 제천시다.

◆'이태흥'은 누구?

속수승평계 43명 중, 서열 2위인 '이태흥'은 누구일까.

이태흥은 청풍승평계(1893년 창단)에서 율원, 즉 단원이었다. 그는 청풍승평계에서 속수승평계(1918년)로 자리를 이동한다. 그는 자리 이동과 동시에 직책을 맡게 되는데, 바로 '주찰(周察)'이라는 직책이다. 주찰은 모든 단원의 우두머리다. 지금의 국악관현악단으로 보면 지휘자 역할쯤 된다. 이렇게 이태흥은 청풍승평계에서 속수승평계로 자리를 이동하면서 속수승평계의 가장 중요한 업무를 맡게 된다. 이때 그는 단원 43명 중에서 '서열 2위'였다.

이태흥은 아버지 이치인(李致仁)과 어머니 석씨(石氏)의 사이에서 고종 8년(1871) 6월 24일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본적은 행정주소인 제천군 금성면 교리 67번지다. 그는 1940년 4월 29일 오전 8시, 제천군 금성면 교리 67번지에서 사망했다. 사망 장소는 지금의 제천시 청풍면 교리(校里)다. 그의 묘는 제천시 청풍면의 한 공동묘지에 안장됐다.
제천=손도언 기자 k-55son@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한국여성경제인협 대전지회, 여성기업주간 맞이 디지털 역량 강화 '톡톡'
  2. 대전신세계, 무더위 피해 실내 공간 찾는 이들 위한 백캉스 쿠폰팩 선봬
  3. "서민 보양식은 옛말"... 대전 삼계탕 평균 1만 6400원까지 고공행진
  4. [현장취재]고 오기선(요셉) 신부 35주기 및 돌아가신 모든 사제를 위한 추모미사
  5. "법 사각지대가 만든 비극"…대전 교제폭력 살인에 '방지 법 부재' 수면 위
  1. [인터뷰]김정수 오기선요셉장학회 회장… "‘고아들의 아버지’ 오기선 요셉신부를 기리며"
  2. ‘대전 0시 축제 구경오세요’…대형 꿈돌이 ‘눈길’
  3. 대전교육청 "여름철 물놀이 조심하세요~" 안전 캠페인
  4. 을지대병원, 임금협상 잠정 합의…'진료 공백 없어'
  5. 과기연전 "PBS 폐지, 과기 생태계 정상화 첫걸음… 실질적 구조 개편 이어져야"

헤드라인 뉴스


[기획 시리즈-①] 대전의 미래, 철도굴기로 열자

[기획 시리즈-①] 대전의 미래, 철도굴기로 열자

대전은 1905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본격적인 도시 성장을 시작했고, 이후 호남선 분기점으로서 교통의 중심지가 됐다. 하지만, 현재 한국 철도망은 고속철도의 등장과 함께 수도권 중심으로 고착화되고 있다. 서울역·수서역에서 출발한 열차는 대부분 경부고속선 또는 호남고속선을 따른다.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모멘텀이 필요하다. 대전도 마찬가지다. 충청권광역철도와 충청급행철도(CTX) 등 신속한 광역교통망 구축과 더불어 국가철도의 지역 연결성 강화로 재설정해 대전 성장 동력으로 활용해야 한다. 새 정부 국정과제 발굴과 5차 국가철도망 계획 수..

한미 상호관세 15% 타결에 충청권 반도체·자동차부품 수출 탄력받나
한미 상호관세 15% 타결에 충청권 반도체·자동차부품 수출 탄력받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하면서 충청권 주력 수출품인 반도체와 자동차부품 수출이 힘을 받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충남은 17개 시·도 중 2위의 수출실적을 자랑하고 있어 이번 상호관세로 전반적인 탄력이 기대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국이 미국에 3500억달러(약 487조원)를 투자하는 등의 조건으로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했다고 7월 30일(현지시간) 밝혔다. 한국은 미국과 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8월 1일부터 25..

2025년도 시공능력평가 계룡건설산업 부동의 1위
2025년도 시공능력평가 계룡건설산업 부동의 1위

계룡건설산업(주)가 2025년도 시공능력평가에서 대전지역 부동의 1위 자리를 지켰다. 국토교통부와 대한건설협회는 7월 31일 전국 종합건설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5 시공능력평가' 결과 계룡건설산업이 전년 대비 2633억 원(9.7%) 증가한 2조9753억 원으로 5년 연속 2조 원을 돌파했다. 전국 순위도 두 계단 오른 15위를 차지했다. 뒤를 이어 (주)금성백조주택이 3884억 원으로 2위(전국 75위), 파인건설(주)는 2247억 원으로 3위(전국 114위), 크로스건설(주)는 1112억 원으로 4위(전국 217위), (..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0시 축제 준비 완료…패밀리테마파크 축제 분위기 조성 대전 0시 축제 준비 완료…패밀리테마파크 축제 분위기 조성

  • 교제 범죄 발생한 대전 찾은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 교제 범죄 발생한 대전 찾은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

  • 청소년 발명 페스티벌 ‘송치완 학생’ 대통령상 청소년 발명 페스티벌 ‘송치완 학생’ 대통령상

  • 이동 노동자 위한 얼음물 및 폭염 예방 물품 나눔 이동 노동자 위한 얼음물 및 폭염 예방 물품 나눔